독서와 논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교재와 프로그램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프로그램별로 읽기, 쓰기, 말하기 등 각기 다른 특징이 있어 자녀의 수준에 맞춰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요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거의 명함을 ‘논술’로 바꿨다. 2008년 대학입시부터 논술이 강화된다고 하니, 정작 당사자인 고등학생보다 오히려 초등학생 쪽에서 야단인 모양이다. 말로만 듣던 논술시장의 피라미드 구조가 현실로 검증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논술이 강화되더라도 현재 고3에서는 논술과 직접 관련되는 학생이 많지 않다. 고2·고1로 갈수록 더 많아지고, 중학생·초등학생으로 갈수록 밀도는 낮아지지만 시장은 더 커지는 것이다. 게다가 ‘조기교육의 귀재’인 일부 학부모의 선구적인 노력 덕택에 논술학원은 초등학생들의 필수 코스가 돼가는 듯하다. 과연 논술도 조기교육을 해야 하는가? 필자의 대답은 단연코 ‘아니오’다.
느낌과 감정 표현이 더 중요한 시기 … 감상문 쓰기 강화를
초등학생에게 ‘논술’을 내세우는 프로그램은 잘되든 잘못되든 문제가 있다. 상당수는 간판만 ‘논술’이지 실제로는 논술 프로그램이 아니다. 이름만 바뀌었을 뿐 예전에 하던 글쓰기교실 그대로다. 그나마 이 경우는 문제가 덜한 편이다. 기껏해야 ‘논술’이란 개념에 혼란을 일으키는 정도다. 어차피 시일이 지나면 학생이나 학부모나 논술이 논리적인 요소가 주도하는 ‘논증적 글쓰기’이며, 정서보다는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라는 것을 알게 될 테니 별 문제는 없다.
문제는 오히려 ‘논술’이란 이름에 걸맞게 논증적 글쓰기를 시키고자 하는 경우다. 우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갖춘 곳이 드물다. 논증적 글을 쓰려면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 먼저인데, 그냥 글쓰기 기법과 테크닉 중심으로 접근하는 곳이 많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 꼴이다.
설령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교육한다 하더라도 초등학생에게 논술을 본격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시기는 자기주장을 논리적으로 표현해 상대를 설득하는 것보다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더 중요한 때다. 그래서 초등학교 시기는 자아 형성을 위한 정서교육이 글쓰기 교육에서 주도적인 차원이 돼야 한다. 일기를 쓰건, 독후감을 쓰건 자신의 느낌이나 깨달음을 표현하는 감상문 쓰기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해야 한다. 자칫 논술만 강조하다가 따지기에만 바쁜 사람을 길러내게 될까 걱정된다.
나중에 논술을 잘하기 위해서도 어린 시절에는 감상문 쓰기가 중요하다. 느낌을 풍부하게 표현하는 기초능력이 바탕이 돼야 생각을 논증적으로 표현하는 능력도 기를 수 있다. 대입 논술 답안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자기 나름의 얘기를 하는 글이 드물다는 것이다. 과연 나름의 생각이 없기 때문일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단지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고 그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하루아침에 되는 일도 아니다. 어릴 때부터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표현하는 데에서 시작해야 한다. 느낌과 감정은 자신의 것일 수밖에 없고, 이것이 자기표현의 출발점이다. 그러다가 생각이 얼개를 잡고, 이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게 되면 생각을 논증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초등학생의 경우 논리적인 사고를 훈련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도 의미가 있겠지만 그 비중을 낮춰야 한다. 논술의 진정한 조기교육을 위해서는 감상문 쓰기를 더 강화해야 한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진리를 곱씹어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