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 챗GPT 성능 2배로 올리는 새 AI용 칩 ‘H200’ 공개
지난해 11월 오픈AI의 챗GPT가 도입되면서 인공지능(AI) 환경이 크게 바뀌기 시작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등 주요 빅테크 기업의 AI 데이터센터에서 그래픽처리장치(GPU) 역할이 중요해진 것이다. 가장 강력한…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11월 29일 -
2024년 IT 트렌드 3대 키워드… 초거대 AI, 메타버스, 블록체인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세계 규모의 사회적 거리두기, 시장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은 2021년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2022년 메타버스 연구개발비가 급증하는 계기가 됐다. 하지만 엔데믹 국면에 접어들자 이들 기술을 향한 관…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3년 11월 23일 -
더 강력해진 ‘GPT-4 터보’ 써보니… 최신 데이터도 학습했다
“올해 4월 한국에서는 정치·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주목할 만한 다양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정치 분야에서는 한미 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한일 관계 개선의 가능성을 보여줬고 사회 분야에서는….”11월 14일 ‘GPT-4 터보(Turb…
이슬아 기자 2023년 11월 21일 -
NASA 소행성 탐사선 루시, 태양계 ‘메인벨트’ 쌍소행성 깜짝 발견
목성 궤도의 소행성군 탐사를 위해 2021년 10월 발사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 루시가 2년 만에 첫 소행성 탐사에 성공했다. NASA는 루시가 11월 1일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 안쪽 가장자리에 있는 소행성 딘키네…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11월 14일 -
“챗GPT는 보고 듣고 말할 수 있다” 오픈AI 선언의 의미는?
초거대 인공지능(AI)이 빠른 속도로 똑똑해지고 있다. AI가 머지않은 미래에 사람을 모방한 예민한 감각기관까지 갖출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온다.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9월 25일(현지 시간) “이제 챗GPT는 보고 듣고 말할 …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3년 11월 07일 -
“선관위 보안은 참담한 수준… 사이버 규제 패러다임 ‘네거티브’로 바꿔야”
국가정보원(국정원) 등의 합동 보안 점검 결과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내부망 해킹이 가능하고 사전투표 및 개표 결과도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국민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정원은 2년간 북한 정찰총국 소행으로 추정되는 7…
배수강 기자 2023년 11월 02일 -
20초 만에 ‘뚝딱’ 로봇 만들어낸 AI
오픈AI의 챗GPT를 기점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이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AI가 인간의 다양한 영역을 대체하는 가운데 최근에는 로봇 제작 분야까지 진출하는 모습이다. 로봇의 핵심 기술인 AI가 직접 로봇을 설계하고 만들어…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11월 01일 -
202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한 ‘아토초’ 연구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은 시간인 ‘아토초’ 길이의 빛으로 분자를 조명한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레이저를 사용한 이번 연구는 과학자에게 전자를 관찰하고 심지어 조작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자·화학 …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10월 18일 -
구글 도약에 검색시장 60% 점유율 붕괴된 네이버, 돌파구는?
세계 인터넷 검색엔진 시장 1인자는 단연 구글이다. 점유율 90%에 달하는 구글이 유독 힘을 못 쓰는 나라가 한국과 중국, 러시아다. 중국에선 바이두의 시장점유율이 80%를 훌쩍 넘고, 러시아의 경우 얀덱스가 50% 정도를 차지하고…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3년 10월 17일 -
‘꿈의 양자컴퓨터’, 2030년 내 실용화 전망
인텔 공동 창립자 고든 무어는 1965년 ‘무어의 법칙’을 발표하면서 “미래에 트랜지스터 수가 18개월마다 2배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컴퓨팅 계산 능력도 2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1975년 발전 주기가 18개월에서 24개…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3년 10월 04일 -
‘가성비 우주 강국’ 인도
인도가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를 달 남극에 무사히 착륙시키면서 러시아, 미국, 중국을 위협하는 우주 강국으로 올라섰다. 상대적으로 저예산 우주 프로그램을 진행해온 인도의 우주 탐사 기술이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한 결과다. 특히 착륙…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09월 13일 -
한국어에 능하지만 글짓기·전문지식에 약한 네이버 CLOVA X
‘대기 등록하기’.8월 29일 네이버의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클로바X’(베타 버전) 홈페이지에 접속하자 이 같은 검정 버튼이 떴다. 버튼을 눌러 대기 등록 절차를 마쳤더니 “순차적으로 클로바X에 가입할 수 있으며 가입 가…
이슬아 기자 2023년 09월 04일 -
LK-99, 상온 초전도체 연구 앞당기는 도화선돼
챗GPT를 밀어내고 LK-99가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다. 국내외 각종 커뮤니티 게시판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이번 연구에 관한 토론이 치열하게 이어졌고, 초전도체를 주제로 한 밈까지 유행처럼 번졌다. 초전도체 관련주는 주…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08월 23일 -
챗GPT 주춤하자 분주해진 경쟁사들
전 세계를 강타한 챗GPT의 기세도 수그러드는 것일까. 트래픽 통계 서비스업체 시밀러웹에 따르면 6월 챗GPT의 트래픽은 전달 대비 9.7% 감소했다. 순 방문자 수와 체류 시간도 각각 5.7%, 8.5% 줄었다. 지난해 11월 출…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3년 08월 01일 -
신의 영역 넘보는 합성 인간 배아 연구
난자와 정자를 사용하지 않고 줄기세포(신체의 거의 모든 세포 유형으로 발달할 수 있는 신체의 마스터 세포)로 만든 합성 인간 배아가 탄생했다. 합성 인간 배아는 태반, 난황낭 등 배아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심장이나 뇌 같은 …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07월 03일 -
순수 국내 기술 토종 로켓 누리호, 다음 목표는 2032년 달 착륙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5월 25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2)가 세 번째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1993년 한국 최초 로켓을 발사하고 30년 만에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1.5t급 실용위성 발사용 로켓이다. 이번 발…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06월 02일 -
서서히 붕괴 중인 토성 고리… 최장 4억 년 뒤 모두 사라져
토성이 태양계에서 가장 많은 위성을 가진 행성 자리를 되찾았다. 최근 토성에 속한 새로운 불규칙한 위성 62개가 발견되면서 토성 위성은 총 145개가 됐다. 과학자들은 새로 발견된 토성 위성 탐사를 통해 1억 년 전 태양계 흔적을 …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05월 29일 -
3D 프린팅 기술로 달 기지 건설한다
전 세계가 달 탐사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우주비행사들이 달에 장기간 머무는 데 쓰일 달 기지 건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으로 50년 만에 다시 유인 탐사를 준비하면서 빠르면 2030…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04월 24일 -
애플페이 상륙으로 불붙은 ‘간편결제 大戰’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3월 21일 한국에 상륙했다. 삼성전자 갤럭시폰 사용자는 ‘삼성페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편리한 카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간 국내 간편결제 시장에서 삼성페이의 위…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3년 04월 10일 -
아르테미스 우주비행사 4인, 신형 우주복 입고 달에 간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3월 15일(현지 시간) 민간 우주항공업체 ‘액시엄스페이스’(액시엄)와 함께 만든 신형 아르테미스 우주복을 선보였다. 이 우주복의 이름은 ‘AxEMU(Axiom Extravehicular Mobility …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3년 04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