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응용 서비스 꽃피울 2025년
1월 중국 인공지능(AI) 회사 딥시크가 자사의 거대언어모델(LLM) ‘R1’을 공개한 뒤 AI 시장에서는 메기 효과(미꾸라지들이 메기를 피하려고 빨리 움직여 활동성을 유지하는 것을 기업 경영에 비유해 이르는 말)가 톡톡히 일어나고…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4월 17일 -
AI 많이 쓰면 ‘스스로 생각하는 힘’ 떨어져
SBS 스위스 경영대학원이 1월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AI) 도구 사용 빈도와 비판적 사고력은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를 많이 사용할수록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심사숙고하는 능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4월 03일 -
‘생각하고 답하는’ 심화 추론 AI
지난해 9월 오픈AI가 추론형 인공지능(AI) 모델 ‘o1’을 출시하고 같은 해 12월 구글이 ‘Gemini 2.0 Deep Research’를 발표하면서 추론형 AI를 개발하려는 경쟁이 본격화됐다. 올해 1월에는 중국 기업 딥시크…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3월 26일 -
“GPU 1개로 충분” 구글 AI ‘젬마 3’가 선보인 혁신
구글이 3월 12일(현지 시간) ‘젬마(Gemma) 3’를 공개하며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다시 한 번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중국 딥시크의 부상 이후 AI 업계에서는 성능뿐 아니라 경제성과 연산 효율도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5년 03월 25일 -
AI 활용한 진단·치료 최고 기대주 ‘템퍼스AI’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30% 상승했고 올해 매출은 연간 79% 오를 것으로 예측되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바이오업계는 템퍼스AI가 다 먹었다고 보면 된다. 조 바이든 정부 때였으면 이미 250달러를 찍었을 주식이다.”“템퍼…
임경진 기자 2025년 03월 19일 -
美·中 메모리 반도체에 쫓기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도체는 기능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 반도체로 나뉜다. 전자는 데이터 저장, 후자는 데이터 연산과 처리 역할을 담당한다. 메모리 반도체에는 D램, 낸드플래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 반도체로 불리는 …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3월 13일 -
휴머노이드가 차량 부품 검사·조립까지 척척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로봇 스타트업 클론로보틱스가 2월 20일(현지 시간) 공개한 프로토클론(Protoclone) V1이 화제를 모았다. 이 로봇은 인간의 해부학적 구조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모방한 이족보행 근골격계 안드로이드…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5년 03월 12일 -
‘미래 핵무기’ 양자컴퓨터 기술에서도 美·中 패권전쟁
“미국은 과학기술 발전을 저해하려고 반도체, AI(인공지능), 양자컴퓨터 분야에 각각 울타리를 설치했는데 그중에서도 양자컴퓨터 관련 규제가 특히 엄격하다. 그러나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중국 기술 발전을 저해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윤채원 기자 2025년 03월 05일 -
LLM 넘어 LWM 시대 온다
지난 2년간 챗GPT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을 주도한 기술의 근원은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LLM)이었다. 인간 언어를 학습한 AI가 언어로 답을 내놓는 것. 이제는 LLM을 넘어 거대세계모델(La…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3월 04일 -
한국 기업 AI 거인으로 이끌 ‘유리 기판’ 첨단기술
삼성전자의 D램과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덕분에 한국은 인공지능(AI) 시대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AI 시스템을 운영하려면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필수적이고, CPU와 GPU를 작동…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2월 26일 -
‘선 넘는 답변’ 잘하는 머스크 AI 챗봇 그록3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인공지능(AI).”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기존 AI 챗봇을 뛰어넘는 추론 능력을 갖췄다고 주장하는 ‘그록(Grok)3’를 공개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주로 정치 행보를 이어…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5년 02월 24일 -
한국 AI 산업 성패, 데이터 확보에 달렸다
데이터는 인공지능(AI)의 연료다. 연료가 없으면 기계가 돌아갈 수 없듯이 데이터가 없으면 AI는 학습할 수 없고 결국 무용지물이 된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덕분에 우리 일상 및 산업 현장 곳곳에서 데이터가 계측되고 축적되고 있다.…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2월 19일 -
딥시크 R1, 챗GPT는 하지 않는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수집
“딥시크 R1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중 특히 눈에 띄는 건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Key-stroke patterns or rhythms)’이다. 이 정보가 있으면 사용자가 인공지능(AI) 채팅창에 입력한 내용을 직접 쓴 건…
임경진 기자 2025년 02월 19일 -
‘우물 안 개구리’ 한국 AI 산업이 나아갈 길
인공지능(AI) 시장이 격변하고 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내놓은 AI 모델 ‘R1’ 때문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너도나도 R1을 서비스하고 있다. R1이 공개된 지 일주일 만에 마이크로소프트(MS)는…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2월 13일 -
‘제2의 딥시크’ 노리는 중국 AI 잠룡들
딥시크(DeepSeek) 등장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업계에 큰 충격을 줬다. 그러나 딥시크는 시작일 뿐이다. 이미 중국에서는 딥시크를 뛰어넘거나 그에 필적할 만한 수준의 AI 모델이 속속 등장하며 제2, 제3의 딥시크 자리를 노…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5년 02월 12일 -
[체험기] “갈아타?” 아이폰만 10년… 갤럭시 S25 울트라에 흔들렸다
“갤럭시로 갈아타, 말아?”
이진수 기자 2025년 02월 11일 -
AI 혁신 넘어 QPU 시대 머지않아 도래
1990년부터 2020년까지 30년간은 ‘범용 연산력’을 바탕으로 한 중앙처리장치(CPU)가 컴퓨팅 분야를 이끌었다. CPU는 컴퓨터와 서버의 성능을 높여 누구나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 세상을 열었다. 아마존, 구글, 페…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5년 02월 03일 -
인간처럼 판단하고 행동하는 ‘물리 AI’가 온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2025’ 기조연설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또 한 번 전 세계 기술 산업계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그의 발언 중 가장 화제를 모은 것은 바로 ‘물리 AI(Ph…
이종림 과학전문기자 2025년 01월 23일 -
‘꿈의 기술’ 양자컴퓨터, 실적 없다 보니 여차하면 주가 급락
“양자컴퓨터 초기 버전이 나오는 시점에 대해 업계에서는 많은 사람이 2031년 20% 확률, 2035년 50% 확률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양자컴퓨터가 전문 영역에서 쓰이려면 15년 이상이 걸릴 수 있다.”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
문영훈 기자 2025년 01월 21일 -
“20년 걸린다” 젠슨 황 한 마디에 양자컴퓨터 관련주 급락
양자컴퓨터 상용화까지 20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발언이 나오자 양자컴퓨터 관련 주가가 폭락했다.
문영훈 기자 2025년 01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