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야구를 경악시킨 한국 야구의 신화창조. 그 중심엔 김인식(59)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국가대표팀 감독의 ‘믿음의 리더십’이 자리 잡고 있다. 메이저리거들이 총출동해 조국의 명예를 걸고 정면승부를 펼친 제1회 WBC에서 한국이 보여준 잇따른 쾌거는 경이로움 자체다. 한국대표팀의 기적 같은 순항의 원동력은 차돌 같은 팀워크로 전력의 극대화를 이뤄낸 ‘김인식 리더십’에 힘입은 바 크다.
지연규·조성민·김인철·최영필 등 김 감독 손 거쳐 화려한 재기
김인식 리더십은 ‘믿음의 야구’로 요약된다. 김 감독은 잇따라 기적을 연출해왔다. 지난해엔 최약체의 전력으로 하위권에 분류된 한화를 맡아 ‘믿음’이라는 묘약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시키는 기염을 토했다. 그는 믿음이라는 거대한 ‘블루오션’에 배를 띄운 지도자다. 선수를 믿지 못하는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판에 박힌 오십보백보의 용병술로 승리에만 집착한다. 그러한 리더십은 ‘레드오션’에서나 명맥을 유지하는 낡은 방식이다.
지난해 여름, 모 인터넷 사이트는 김 감독을 ‘재활의 신’이라고 부르며 촌철살인의 패러디로 사회적 주목을 끌었다. 그는 부상으로 날개가 꺾인 지연규, 조성민 등을 기적적으로 재활시켰다. 또한 타 구단에서 버림받은 김인철과 한물간 노장으로 천대받던 최영필이 세월을 거꾸로 돌리며 재기한 일도 그의 마법 같은 용병술이 아니면 불가능했다. 그렇다면 김 감독의 능력은 과연 어디서 오는 것일까?
“운이지 뭐. 선수들이 잘해주고 팀 분위기가 좋아 팀워크가 착착 맞는 거지, 다른 이유가 있겠어.”
‘재활 공장 공장장’으로 불리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김 감독은 이렇게 답했다. 그러나 동일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분명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얘기다. 김 감독은 버림받은 선수들의 기량을 활짝 꽃피우는 데 나름의 노하우를 갖고 있다. 그는 후보 선수들의 마음에 자리한 열등감을 치유하는 신비로운 능력을 지녔다. 타 구단에서 낙오된 선수들은 감독의 섬세한 관심이 필요하다. 부상으로 좌절을 겪은 선수들 역시 불투명한 미래 때문에 자신감이 결여돼 있다. ‘애정의 결핍’과 ‘자신감 결여’라는 불안정한 심리는 조심스러운 접근을 요한다. 김 감독은 ‘질타’나 ‘구박’이 아니라 ‘칭찬’과 ‘부드러운 자극’으로 선수들을 다독인다.
‘김인식 야구’는 아무도 기대하지 않았던 전력 외 요원이 예기치 않은 기량을 보여주며 플러스알파로 작용하면서 효율성을 높인다. ‘기대가치’를 훌쩍 뛰어넘는 ‘획득가치’는 경이롭기까지 하다. 플러스알파는 ‘부드러운 카리스마’에서 나온다. 따라서 그의 리더십은 반응은 자극에 비례한다는 ‘자극·반응 이론’에서 벗어나 선수들의 자발적인 노력을 이끌어낸다. 상처 입은 선수들이 김 감독만 만나면 물 만난 고기처럼 펄펄 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지친 영혼을 어루만지는 리더십은 ‘기적의 효율성’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자신을 알아주는 ‘보스’를 향한 선수들의 충성심은 보통 선수들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2001년 10월29일 6년 만에 한국시리즈 정상에 오른 두산 선수들이 김인식 감독을 헹가래 치며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위). 뇌경색으로 마비된 다리 근육의 회복을 위해 재활훈련을 받고 있는 김 감독.
“걱정하지 마! 이제 겨우 한 달밖에 안 지났어.”
김 감독은 극심한 타격 슬럼프로 의기소침해진 김기태에게 용기를 북돋우며 어깨를 다독여줬다. 김기태가 이승엽이 등장하기 전까지 한국 최고의 좌타자 홈런왕으로 군림하게 된 데는 김 감독의 사인 하나가 결정적이었다. 91년 7월1일 전주 삼성전. 김기태는 1대 0으로 뒤진 3회말 타석에서 상대 투수 윤석환을 상대하고 있었다. 볼카운트 0-3. 이때 벤치에 앉아 있던 김 감독이 느닷없이 히팅 사인을 내는 게 아닌가. 순간 김기태는 자신의 눈을 의심했다.
‘볼카운트 0-3에서 히팅 사인이라니? 혹시 내가 잘못 본 게 아닐까.’
윤석환의 볼이 날아왔다. 김기태의 배트가 매섭게 돌아갔고 타구는 우측 담을 훌쩍 넘어갔다. 볼카운트 0-3에서 날린 스리런 홈런 한 방은 야구계의 화제가 됐고, 김기태는 이후 자신도 놀랄 만큼 훌쩍 성장했다. 시즌을 마쳤을 때 27개의 홈런을 터뜨린 김기태는 프로야구 좌타자 홈런기록을 경신하며 스타 탄생의 전주곡을 힘차게 울렸다.
김 감독의 야구 색깔은 변화무쌍하다. 그의 캔버스엔 거센 폭풍이 몰아치는가 하면, 대지를 뚫고 봄기운을 전하는 아지랑이가 산들거리기도 한다. 거침없는 붓놀림에 따라 다채로운 그림이 그려지는 김 감독의 야구엔 그림 전체를 관통하는 맥이 있다. 이른바 ‘선 굵은’ 야구다. 선수들을 신뢰하고 그들에게 맡기는 야구는 뚝심과 철학 없이는 불가능하다.
“야구는 결국 선수가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감독이 되면 마음이 달라진다. 선수들에게 맡기기보다 자신의 능력을 만천하에 뽐내고 싶어한다. 이런 작전, 저런 작전을 구사하며 선수가 아니라 감독이 경기를 풀어내려고 용을 쓰는 게 일반적 현상이다. 진 경기를 감독의 능력으로 이기게 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다 이긴 경기가 감독 때문에 뒤집히는 경우는 숱하게 많다.”
김 감독의 이 한마디는 자신이 추구하는 ‘믿음의 야구’가 왜 유용한지를 충분히 설명하고도 남는다. ‘믿음의 야구’가 대중에게 가장 어필한 때는 2001년 두산이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을 때다. 당시 두산은 페넌트레이스에서 3위를 차지한 뒤 현대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고, 한국시리즈에서 삼성을 누르고 우승 샴페인을 터뜨렸다.
우승의 고비가 됐던 현대와의 플레이오프에서 3루수 홍원기를 기용한 뚝심은 다른 감독 같았으면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당시 홍원기는 1차전에서 결정적인 에러로 역전패의 빌미를 제공하는 등 수비실책 2개로 두산의 핫코너를 ‘화약고’로 만들었다. 단기전인 포스트시즌에서 불안한 수비는 곧바로 패배로 직결되는 요인인 만큼 홍원기의 교체가 점쳐졌지만, 김 감독은 달랐다.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다. 패인은 홍원기의 실책 때문이 아니라 공격에서의 집중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쥐구멍이라도 찾고 싶었던 홍원기는 김 감독의 위로에 큰 자극을 받았다. 홍원기를 계속 주전 3루수로 기용한 그의 포용력은 이내 열매를 맺었다. 홍원기가 알토란 같은 홈런 3방을 터뜨리며 보답한 것이다.
믿음이라는 정신 작용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쌍방향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믿음의 수혜자는 믿음을 보내준 사람에게 기대치를 뛰어넘는 결과를 안겨주려고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다. ‘김인식 야구’의 ‘투입 대비 산출의 효율성’이 큰 이유다.
김인식 감독은 ‘믿음의 힘’을 보여준 존경할 만한 리더다. 세계를 놀라게 한 쾌거로 ‘믿음의 리더십’은 더욱 주가를 높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