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378

..

‘SM 레거시’, 아티스트와 콘텐츠에서 찾아야

[미묘의 케이팝 내비]

  • 미묘 대중음악평론가

    입력2023-02-28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SM 평직원 협의체 성명문. [SM엔터테인먼트 제공]

    SM 평직원 협의체 성명문. [SM엔터테인먼트 제공]

    SM엔터테인먼트(SM)의 경영권 분쟁으로 여론이 들끓고 있다. 특히 하이브의 SM 인수 계획이 알려지면서 분쟁 당사자인 이성수 SM 공동대표 측과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의 여론전이 본격화됐고, 팬덤 역시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굴지의 케이팝 공룡들이 얽힌 일이라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가 많을 수밖에 없다. SM 경영진, SM 평직원 협의체, 하이브, 대한가수협회 등 여러 주체가 성명과 폭로를 이어가고 있어 사태의 전망이나 특정 진영의 옳고 그름을 논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이를 둘러싼 팬덤의 반응은 짚고 넘어갈 만한 대목이 있다.

    2월 10일 하이브가 ‘참전’하면서부터 소셜미디어에서는 자못 극단적인 표현들이 연일 트렌딩 키워드로 붙박이처럼 오르고 있다. 그중에는 이수만 전 총괄과 방시혁 하이브 의장을 향한 원색적인 인신공격도 수없이 많다. 케이팝 팬이 가장 격렬하게 증오하는 대상은 자기 아이돌의 기획사인 경우가 많고, 각 기획사의 가장 유명한 인물에게 화살이 쏟아지는 것은 어찌 보면 업계의 일상이다. ‘누구를’ 욕하느냐보다 중요한 건 어쩌면 ‘왜’ ‘어떻게’ 욕하느냐일 수 있다. 이를테면 ‘족보를 사려는 졸부’ 같은 표현이 대변하는 바가 있다.

    인수에 반발하는 SM 팬들의 대표적 논리는 “SM 레거시(legacy·유산)를 저버린다”는 것이다. 그러나 하이브 전에는 카카오 인수가 거론되고 있었다. 원론적으로 말해 ‘SM 레거시’가 위협받을 가능성은 어느 기업에 인수되든 똑같이 존재한다. 엔터테인먼트업계에서 한 기업이 다른 곳에 인수되는 일은 부지기수고, 어떤 기업이든 경영권을 넘어 크리에이티브한 결정까지 개입할 수도, 그러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SM 레거시’가 독립된 기업체라는 사실에만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결국 이번 사태를 둘러싼 극렬한 반응의 상당부분은 그 대상이 다름 아닌 하이브라는 데서 온다.

    한일병합처럼 인식되는 케이팝 인수합병

    과거 SM 산하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가 “우리도 이제 SM 식구”라는 발언을 해 양쪽 팬덤으로부터 비난을 받은 일이 있다. 한쪽은 SM 인수를 ‘서자’된 설움으로 여겼고, 반대쪽은 ‘서자’가 ‘적통’을 ‘참칭’한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이처럼 케이팝 산업에서 레이블의 인수합병은 한일병합조약과도 유사한 복속과 치욕으로 간주될 때가 있다. 팬들은 기업 조직도의 모습에 비례하는 위계관계가 소속 아티스트 사이에서도 존재하는 것처럼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럴 때, 이번 사태는 30년 전통의 레이블이 신흥 레이블에 굴복한 것으로 인지되기도 한다. 또한 소속 아티스트들도 ‘서자’가 되는 것으로 말이다. 유감스럽게도 전근대적인 신분사회 세계관이 읽힐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팬덤이 때때로 드러내기도 하는 어둠은 종종 한국 사회를 고스란히 반영한다. 무턱대고 팬덤에 화살을 겨눌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콘텐츠 기업에 대해 팬과 대중이 가지는 관점은 한 번쯤 재고해볼 수 있을 듯하다. 팬과 대중은 종종 기업주나 대주주에 이입하지만, 콘텐츠 기업 간 사업적 관계나 내막보다 팬에게 더 중요한 것은 항상 따로 있다. 인수합병이라는 결정 자체로 전망하거나 찬반을 거론하기는 너무 이른 그것은, 결국 아티스트와 그들의 콘텐츠다. ‘SM 레거시’ 또한 지배구조나 기업문화보다 그들이 생산해온 콘텐츠에 있음을 부정할 이는 없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