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99

..

‘자선왕’ 빌 게이츠 다시 보기

  • 이명재 자유기고가

    입력2007-08-14 14:4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자선왕’ 빌 게이츠 다시 보기

    ‘패스워드’

    성공한 기업가 한 명이 바야흐로 ‘위인’의 반열에 오를 조짐이다. 미국의 윌리엄 헨리 게이츠 얘기다. 빌 게이츠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인물이다.

    그가 세운 자선재단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엄청난 기부와 그에 쏟아지는 찬사와 갈채를 보노라면 마치 ‘카네기의 재림’을 보는 듯하다. 모교인 하버드대학의 연설에서 제시한 ‘창조적 자본주의(Creative Capitalism)’라는 새로운 자본주의에 대한 전망은 그에게 선각자적 후광까지 씌워주고 있다. “시장과 정부의 힘을 가난한 사람을 위해 쓰도록 혜택 받은 사람들이 나서자.” 이 얼마나 의로운 외침인가.

    그의 기부 행위를 금액에 비례하는 만큼 선행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 예수나 부처 이래 인류 역사상 최대의 선행을 한 인물로 기록될지 모른다. 그러니 금액만으로도 그의 자선을 폄훼할 이유는 없다. 빌 게이츠 같은 착한 기업인만 있다면 이 세상의 가난은 구제될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다만 열광적인 찬사 한편에서 몇 가지 생각해볼 점은 있다. 먼저 빌 게이츠의 부(富)가 어떻게 일궈진 것인지에 의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1990년대 그와 그의 회사는 반독점법 위반 소송에 휘말렸는데, 법정에서 그의 반도덕적 행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마이크로소프트(MS)사는 창의적인 기업의 대명사처럼 얘기되고 있지만 사실은 많은 경쟁 기업을 합병하면서 성장한 것이다. ‘만들 수 없다면 사들인다’인데, 문제는 사들이는 방식이 신사적이지 않았다는 데 있다. 협박하거나 고사시키기였다.

    빌 게이츠를 떠올리게 하는, 아니 그를 모델로 했음이 확연한 영화 ‘패스워드’. 여기서 배우 팀 로빈스는 거대 디지털기업인 시넵스사(社)의 회장으로 분했는데 그의 말투나 행동거지, 강한 독점욕과 야욕은 빌 게이츠를 모델로 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줬다. 정보 공유를 부르짖는 순수한 컴퓨터 천재를 짓밟는 데서 리눅스와 MS의 대결이 연상되고, 죽지 않기 위해서 죽여버린다는 시넵스사의 섬뜩한 논리에서는 인터넷 검색업체 네스케이프를 협박과 회유로 집어삼킨 MS의 전력이 되살아난다. 이 영화의 원제부터가 ‘반(反)독점(Anti Trust)’이었다.



    가증스런 행각이라 할 만하지만 이제 지난날의 과오는 들추지 않기로 하자. 오히려 그만큼 그의 변모가 과거 지은 죄에 대한 ‘속죄’든, 형제애의 발로든 극적이고 아름다운 것일 수 있지 않은가.

    정말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할 것은 한 사람의 부가 아프리카 몇 개국 국민총생산(GNP)보다 많은 현실이다. 세계 인구 중 10분의 1이 기아에 허덕이고 있는데, 기아 구제가 몇몇 부자의 선행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그것이 진정 ‘새로운 자본주의의 창조’가 아닐까.



    영화의 창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