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영 전 장관은 김대중 정부 시절 외교부와 통일부 수장을 연거푸 지낸 분입니다. 40년 가까이 외교 관료로서 잔뼈가 굵은 홍 전 장관은 통일부장관 시절 남북대화 때마다 곤욕을 치러야 했습니다. 북측이 홍 전 장관에 대해 사사건건 시비를 걸었기 때문입니다. 홍 전 장관은 남북간 대화라 해도 본질적인 면에서 일반 외교협상과 차이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바로 이 점이 매사에 ‘민족’을 앞세워 떼를 쓰는 북측 심기를 건드렸던 것입니다. 결국 ‘홍순영 통일부장관 시절’은 5개월이 채 못 돼 단명했습니다.
‘깜짝쇼’ 같은 제2차 남북정상회담 소식을 접하면서 홍 전 장관의 대북(對北) 접근방식을 다시금 생각해봅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북핵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상회담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는 이때, 그 목표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두 정상이 ‘민족끼리’를 외치며 건배하는 모습이 해법이 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해졌습니다. 막연한 구두 약속, 또는 폼나는 평화선언(종전선언) 같은 것만으로 대규모 경제지원을 쏟아 붓는 일도 훗날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번 호 커버스토리에서 북한 전문가 권오홍 씨는 “북한은 갈수록 다급해지는 내부 사정 때문에 정상회담을 수용했다”고 주장합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남북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비선(秘線)라인을 가동했던 권씨는 북한 속사정을 나름 꿰뚫고 있는 인물입니다. 그렇다면 북한을 다루는 정부의 접근법도 이젠 좀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요?
줄 것을 제대로 주지 않으면서 무작정 상대를 윽박지르라는 말이 아닙니다. 이번엔 말 그대로 진정한 상생(相生)과 협력을 위해 제대로 된 협상을 해보라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할 때 “정상회담을 대선 소재로 악용하려 한다”는 등 숱한 의구심도 불식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부 안팎에서 ‘민족’을 지고지순의 가치로 떠받드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할 만한 글이 있습니다. 이번 호 ‘8·15 기획’으로 마련한 연세대 김명섭 교수의 기고문입니다. 세계화시대, 분단국가의 일원으로서 민족주의와 애국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글입니다.
‘깜짝쇼’ 같은 제2차 남북정상회담 소식을 접하면서 홍 전 장관의 대북(對北) 접근방식을 다시금 생각해봅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북핵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상회담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는 이때, 그 목표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두 정상이 ‘민족끼리’를 외치며 건배하는 모습이 해법이 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해졌습니다. 막연한 구두 약속, 또는 폼나는 평화선언(종전선언) 같은 것만으로 대규모 경제지원을 쏟아 붓는 일도 훗날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번 호 커버스토리에서 북한 전문가 권오홍 씨는 “북한은 갈수록 다급해지는 내부 사정 때문에 정상회담을 수용했다”고 주장합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남북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비선(秘線)라인을 가동했던 권씨는 북한 속사정을 나름 꿰뚫고 있는 인물입니다. 그렇다면 북한을 다루는 정부의 접근법도 이젠 좀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요?
줄 것을 제대로 주지 않으면서 무작정 상대를 윽박지르라는 말이 아닙니다. 이번엔 말 그대로 진정한 상생(相生)과 협력을 위해 제대로 된 협상을 해보라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할 때 “정상회담을 대선 소재로 악용하려 한다”는 등 숱한 의구심도 불식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부 안팎에서 ‘민족’을 지고지순의 가치로 떠받드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할 만한 글이 있습니다. 이번 호 ‘8·15 기획’으로 마련한 연세대 김명섭 교수의 기고문입니다. 세계화시대, 분단국가의 일원으로서 민족주의와 애국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