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종합군수학교에서는 교육생들에게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 교육하고 있다.
대전에 있는 육군종합군수학교(학교장 윤명기 소장·이하 ‘군수학교’)는 교육인적자원부, 국방부 등 관계 부처와 1년 6개월이 넘는 연구과정을 거쳐 2006년 하반기부터 군수학교 교육과목에 일반 대학 학과과목을 반영, 군대에서도 대학 학점을 딸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로써 군대에서 대학을 다니는 ‘투잡스 군인’이 탄생하게 되었다.
군수학교가 추진 중인 기술병의 학점인정 과정은 특수무기, 화포, 사격기재, 전차, 유무선장비, 공병장비 등 23개 학과. 교육생들은 4주 이상 강도 높은 교육을 받은 뒤 야전 실무까지 이수하면 학점을 인정받게 된다. 군수학교 측에서는 현역 장병들이 군 복무기간 중에 대학 학점을 최대 15학점까지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주특기 교육과 야전 실무 반영
군수학교에서 이 제도를 추진하게 된 데는 군수학교에 입학하는 현역병의 81%가량이 전문대 이상에 재학 중이라는 현실이 크게 작용했다. 윤 소장(58)은 “우리나라에는 처음 도입되지만 미국에는 이미 ‘학군 학점교류’로 최대 30학점까지 인정하는 대학도 있다. 대학생 출신 장병들이 대폭 늘어난 현실을 생각하면 늦은 감이 없지 않다”면서 “이 제도로 장병들은 사회진출 시기를 앞당기는 동시에 등록금 등 금전적 혜택도 얻게 됐고 군은 양질의 인력을 확보, 전투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마디로 군과 장병 모두에게 ‘윈-윈 전략’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제도 도입에는 우여곡절도 많았다. 지난해 초 처음 윤 소장이 이 제도를 제안했을 당시 관련 부처인 국방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성공 가능성에 반신반의했던 것. ‘가능하겠느냐’ ‘교육 여건과 준비가 되겠느냐’는 의문과 불신을 해소하기는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그러나 윤 소장은 각 부처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토론하고 설득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을 변화시켰고, 결국 개정 법률안을 만들어내기에 이르렀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병역법과 고등교육법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이런 그의 노력이 빚어낸 결과다.
자기계발·양질 인력 확보 ‘윈 - 윈’
현재 군수학교를 거쳐가는 교육생은 연간 1만2000여 명. 8월부터 이 제도가 시행되면 연간 7000명 정도가 이 제도의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군수학교 측은 내다보고 있다.
“군을 기피하는 젊은이들이 늘고, 이것이 군의 전투력 저하로 이어지는 상황을 더는 두고 봐선 안 된다고 생각했다. 장병들이 변하기를 기다리기보다는 군이 먼저 장병들에게 활력을 불어 넣어줄 방안을 찾아야 하지 않겠는가. 이번 제도 도입에는 군수학교 시설과 장비, 교수 인력이 대학 교과과정과 비슷하기 때문에 군에서 배운 기술과 학점을 연계하기가 어렵지 않겠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윤 소장은 “장병들이 의욕적으로 군 생활을 할 수 있는 제도로 정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 ‘기술병 학점 인정제’. 이 제도가 ‘물구나무를 서도 돌아가는 국방부 시계’로 자조되는 군 생활을 ‘나의 발전을 앞당겨주는 시계’로 바꾸고, 나아가 일부 젊은이들의 병역기피 풍조를 개선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두고 볼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