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통의동)서 밥 먹을 날도 얼마 안 남았어.”
3월 23일 저녁 무렵 서울 종로구 통의동 한 식당.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관계자들이 식사 자리에서 잠시 숨을 돌리며 대화를 나눴다. 왁자지껄한 분위기는 김치찌개가 식탁에 올라오면서 가라앉았다. 침묵을 깬 것은 일행 중 한 명의 감탄이다. “하! 이 집도 맛있네.”
이곳은 인수위 사무실 인근에 위치한 김치찌개 맛집 ‘뚱낙원’. 9000원에 돼지고기 김치찌개를 먹을 수 있어 주변에서 일하는 직장인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인수위 관계자들도 자주 찾는다. 이날도 서로 인사를 주고받거나 흘깃흘깃 쳐다보며 식사를 이어갔다.
김치찌개 사랑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3월 16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 인근 음식점에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도부와 함께 점심식사로 김치찌개를 먹고 있다. 윤 당선인이 방문한 김치찌개 식당과 이곳의 메인 메뉴(위부터). [사진 제공 · 윤석열 당선인 측, 최진렬]](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2/3d/0e/c7/623d0ec7257ad2738276.jpg)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3월 16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 인근 음식점에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도부와 함께 점심식사로 김치찌개를 먹고 있다. 윤 당선인이 방문한 김치찌개 식당과 이곳의 메인 메뉴(위부터). [사진 제공 · 윤석열 당선인 측, 최진렬]
윤 당선인의 김치찌개 사랑은 각별하다. ‘최애 메뉴’ 질문을 받으면 망설임 없이 김치찌개를 꼽는다. 그는 3월 23일 통의동 집무실 앞 천막 기자실을 방문해 “그 집 김치찌개가 시원하다”고 말하며 김치찌개 사랑을 일관되게 드러냈다. 이날 한 기자가 “한 번도 혼밥을 안 했느냐”고 질문하자 “아침은 혼자 가끔 먹는다. 근데 아침에도 뭘 먹으려고 하면 (강아지가) 와서 딱 쳐다보고 있다. 걔네들 나눠주고 같이 먹는다”고 대답했다. 이어 “(용산 청사에) 프레스룸을 1층에 둘 것”이라며 “청사를 마련해서 가면 내가 하루 저녁 구내식당에서 (김치찌개를) 한 번에 양 많이 끓여서 같이 한 번 먹자”고 말했다.
“밥 같이 먹자”는 말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윤 당선인은 대선 기간 “혼밥을 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수시로 냈다. ‘혼밥 논란’을 겪은 문재인 대통령과 차별화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됐다. 윤 당선인은 선거 후에도 ‘식사 정치’로 불리는 행보를 이어왔다. 당선 닷새째부터 꼬리곰탕, 짬뽕, 김치찌개, 피자, 육개장을 순서대로 먹으며 사람들을 만났다.
![윤석열 당선인이 3월 14일 당선 후 첫 외부 공식 일정으로 서울 남대문시장을 찾아 상인회 회장단과 간담회를 마친 뒤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있다. 윤 당선인이 방문한 꼬리곰탕 전문점과 이곳의 메인 메뉴(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뉴스1, 최진렬]](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2/3d/0f/0c/623d0f0c0ff6d2738276.jpg)
윤석열 당선인이 3월 14일 당선 후 첫 외부 공식 일정으로 서울 남대문시장을 찾아 상인회 회장단과 간담회를 마친 뒤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있다. 윤 당선인이 방문한 꼬리곰탕 전문점과 이곳의 메인 메뉴(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뉴스1, 최진렬]
윤 당선인이 들른 식당이 공개되면서 인터넷에 ‘윤석열 맛집’ 리스트가 공유되는 현상도 생겼다. 평소 ‘먹잘알’(먹거리를 잘 안다) 이미지가 있어 신뢰가 간다는 반응이다. “아무래도 맛집이 아닐까 싶어서 찾았다” “경복궁역 맛집이라고 하니 성지순례 가봐야겠다” 같은 게시물을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 식당 관계자는 “윤 당선인이 방문한 이후 식당 손님이 조금 늘었다”고 귀띔했다.
前 대통령 비공개 식사와 차이
윤 당선인의 ‘식사 정치’는 전임 대통령들의 인수위 기간 행보와도 차이가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2년 12월부터 시작된 인수위 기간 비공개 행보를 이어갔다. 박 전 대통령은 인수위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구내식당에서 식사를 해결하거나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지도부와도 식사 자리를 가졌으나, 오찬은 비공개로 이뤄졌다. 이에 기자들이 유리창 너머로 사진을 찍다 경호원들에게 제지당하기도 했다.이명박 전 대통령은 인수위 기간 경호와 인선 등을 이유로 동선을 최소화했다. 이 전 대통령 역시 통의동에 집무실을 마련했고 식사는 대부분 구내식당에서 했다. 인수위 인선 등의 문제로 측근들과 식사해야 할 때는 인근에 위치한 삼청동 안가에서 해결했다. 친형인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 외에도 이재오 전 의원, 이방호 전 사무총장 등과 식사는 비공개로 이뤄졌다.
전문가들은 윤 당선인과 전임 대통령들의 인수위 기간 식사 유형이 다른 것은 향후 선거 일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한다. 윤덕노 음식평론가는 “6·1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둔 만큼 윤 당선인 측이 인수위 기간에도 ‘식사 정치’를 해야 한다고 느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인의 경우 외부에 공개되는 식사 자리는 ‘잘 짜인 쇼’일 수 있다. 하지만 소통 측면에서 볼 때 혼밥을 하는 리더보다 타인과 어울리며 식사하는 리더가 여러모로 낫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