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91

..

상식 뒤집을 때 신선도 쑥쑥

  • 이도희 경기 송탄여고 국어교사·얼쑤 논술구술연구소 cafe.daum.net/hurrah2

    입력2007-06-25 11:4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상식 뒤집을 때 신선도 쑥쑥

    흔히 상복으로 입는 검은색 옷이 요즘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준다.

    사람의 관심은 상식적 사고의 일탈에서 비롯된다. 기존의 상식을 배제한 언어나 행동은 뭇사람의 시선을 붙잡는다. 감동도 익숙한 모습에서 표출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지 못한 상황과 마주칠 때 느껴진다. 최근 검은색 옷과 넥타이 차림으로 시상식에 가는 스타들이 많아졌다. 검은색 패션의 등장은 시상식의 새로운 변화로도 볼 수 있다. 검은색 옷은 상가에 갈 때나 입는다는 상식이 깨진 것이다. 다음 글을 보자.

    ‘낯설게 하기’는 하나의 문학적 장치에 한정적으로 사용되기보다 오히려 문학이나 예술 일반의 기법에 관련되어 있는 용어로 보는 편이 더 옳다. 일상화되어 있는 우리의 지각은 보통 자동적이며 습관화된 틀 속에 갇혀 있다. 특히 일상적 언어의 세계는 이런 자동화에 의해 애초의 신선함을 잃은 상태이며, 자연히 일탈된 언어의 세계인 문학 언어와는 본질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즉 지각의 자동화 속에서 영위되는 우리의 일상적 삶과 사물은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 채 퇴색하는데, 예술은 바로 이러한 자동화된 일상적 언어의 틀을 깨고 낯설게 하여 사물에게 본래의 모습을 찾아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한용환 ‘소설학 사전’

    논술도 마찬가지다. 논술 답안의 뼈대는 주장과 논거다. 그런데 주장과 논거가 상식으로만 흐른다면 어떨까. 논술의 신선한 맛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참신한 주장과 논거가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말을 듣는다. ‘참신함’은 위에 인용한 ‘자동화된 일상적 언어의 틀을 깨고 낯설게 하여 본래의 모습을 찾아주는 것’과 관련된다. 문학의 원리를 과학적 사례를 통해 밝히거나 문학에서 과학적 진실을 찾아내는 경우가 그렇다. 즉 성격이 다른 대상을 통해 본래 모습을 찾는 것이 새로운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사회에서의 인간 삶을 생각해보자. 사회·문화 제도에 순응하면서 모범적인 삶을 살려는 사람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물론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사회제도와 규범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틀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사회적 속박을 초월해 살아가는 사람들에게서 인간 본래의 모습을 찾을 수도 있다. 일제강점기 고관대작을 지낸 친일파보다는 고통스럽게 시대에 방황한 사람들에게서, 인종차별에 반대해 올림픽 금메달을 강물에 던져버린 복서에게서 삶의 진실을 보게 되는 것이다.

    어느 시인은 ‘열정적인 삶의 아름다움’을 화려한 스타나 지식인이 아닌, 추운 겨울 버스 속의 ‘서민’에게서 찾았다. 스타나 지식인보다는 우리 이웃들에게서 더 큰 삶의 진실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과 인간의 진실한 관계를 ‘이별’에서 찾은 경우도 많다. 나를 위한 사랑은 아무리 화려해도 이기주의의 발로일 뿐이다. 즉 나를 희생하고 상대방에게 정신적 자유를 부여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생각할 때 비로소 사랑이란 말에 설득력이 생긴다. 이는 ‘낯선 곳’에서 찾은 삶의 본질이다.



    박기철 경성대 교수는 “20세기 이후 ‘지식의 시대’ ‘정보의 시대’라는 말이 풍미하고 있다. 따져보면 생각의 중요성이 지식이나 정보에 묻혀 있는 것이다. 정보나 지식보다는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이른바 과학적 사고나 검증 객관 등에 묻혀 가장 근본적인 생각이 가려져 있는 것이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이나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같은 명저도 검증된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제안일 뿐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 그는 “이를테면 좋은 친구를 사귀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스스로 좋은 친구가 돼야 한다, 사랑의 반대말은 미움이나 싫음이 아니라 무관심이다, 영업이란 재화나 용역을 판매해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 신뢰를 갖고 사람을 얻는 일이다, 미학이란 아름다움의 본질을 탐구하는 이론이 아니라 아름다움의 욕구를 실천하는 활동이다 등의 딴소리를 통해 ‘낯설게 만들기’를 시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수험생들의 인식은 상식적이며 습관화된 틀 속에 갇혀 있다. 물론 겉으로는 규칙적, 모범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결국 내면적으로는 자아 상실로 이어진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이른바 달걀껍데기를 깨고 나오면 병아리가 되지만, 그 틀에 안주하면 사람의 먹을거리가 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수험생들은 습관화된 사고 틀에서 과감하게 벗어나야 한다. 그 방법의 하나로 논술에서 ‘낯설게 하기’를 활용해보면 어떨까. 그럼 서울대 앞에서 한 줄에 500원짜리 김밥을 파는 할머니에게서 삶의 진실을 보게 되는 안목을 얻을 것이다. 현상이나 상식에 가려져 있던 사물의 본질에 다다르는 감동을 느끼게 될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