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91

..

“대선? 금배지도 중요하거든…”

정치인들 경선 줄서기 등 벌써 총선 계산에 골몰 … 지역구 놓고 신경전도 가열

  • 김시관 기자 sk21@donga.com

    입력2007-06-20 15:0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례대표 출신인 한나라당 진수희 의원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서 서초구 방배동으로 집을 옮긴 것은 2004년 12월. 여의도 출퇴근이 편할 것 같아 별생각 없이 한 이사였다. 하지만 이곳이 지역구인 같은 당 이혜훈 의원(서초갑)은 진 의원을 평범한 ‘이웃사촌’으로 대하기가 부담스러운 눈치다.

    “대선? 금배지도 중요하거든…”
    이 의원 측은 올해 들어 진 의원을 더 의식하는 것 같다. 경선을 앞두고 이 의원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캠프로, 진 의원은 이명박 전 서울시장 캠프로 정치 진로를 정한 것이 긴장감을 높이게 된 배경이다. 당 출입기자들은 두 의원의 엇갈린 선택에 대해 ‘18대 공천을 염두에 둔 전략적 역선택’이라고 풀이했다. ‘서로 다른 보스를 통해 총선 공천권을 얻겠다’는 복심(腹心)이 배경이 됐다는 것. 말이 많아지자 3월쯤 두 사람이 만났다.

    “항간에는 내가 18대 총선에 서초구 출마를 노린다고들 하는데…. 고향인 대전을 염두에 둔 적은 있지만 다른 생각을 해본 적은 없어요.”

    진 의원의 해명에 이 의원이 반색했다.

    “그렇죠. 나도 그렇게 알고 있어요.”



    2002년 처음 만난 두 사람은 원래 친한 사이다. 그러나 요즘 조금씩 거리가 벌어진 느낌이다. 캠프의 생각을 대변하는 여전사로 나서 서로에게 ‘일격’을 날리기도 한다. 정치권에선 두 사람 간의 지역구 갈등은 언제든 재연될 수 있는 진행형으로 본다. 그들이 선택한 보스의 경선과 대선 결과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그들만의 총선’은 이미 시작된 셈이다.

    대선(경선) 과정에 터져나오는 때 이른 총선 열기는 비단 두 인사만의 얘기는 아니다. 여야를 불문하고 정치인들은 대선에 숨어 있는 총선 방정식을 찾느라 혈안이 돼 있다. 한나라당 의원들에겐 두 대선주자를 중심으로 한 줄서기 시험을 통과하는 것이 1차 관문인 반면, 여당 의원들은 국민에게서 외면받는 열린우리당의 흔적을 지우는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 한나라당 초선 K 의원의 설명이다.

    “누가 나라를 잘 이끌어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있지만, 솔직히 공천에 대한 계산이 경선 줄서기와 선택의 기준임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줄을 서는 것은 금물이다. 잘못하면 중립지대에 선 것보다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염두에 둔 지역의 경쟁자가 앞서 유력주자에 줄을 대고 있으면, 눈물을 머금고 반대진영으로 가야 한다. 이른바 역선택이다. 한나라당 관계자 A씨는 “경쟁자가 있는 곳에 막차를 타고 가봐야 환영받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공천 염두에 두고 전략적 역선택

    “대선? 금배지도 중요하거든…”
    한나라당 대구 동구을 지역구는 2004년 총선 때까지만 해도 박창달 전 의원이 ‘주인’이었다. 그러나 선거법을 어겨 배지를 잃으면서 그는 외곽을 도는 신세로 전락했다. 새로 등장한 주인은 박 전 대표의 핵심 측근인 유승민 의원. 상황을 지켜보던 박 전 의원은 이 전 시장 캠프로 발길을 돌렸다. 지역 기자들은 이곳도 ‘역선택의 원칙이 작용한 지역’으로 평가한다.

    영남지역 출신의 A 의원은 30만명을 오르내리는 자신의 지역구 유권자 수 때문에 죽을 맛이다. 인접 지역과 통합설이 수시로 불거졌다. 문제는 이웃 지역의 Z 의원이 박 전 대표의 핵심 측근이라는 점. 비교적 박 전 대표와 가까운 관계였던 그는 눈물을 머금고 이 전 시장 사무실을 노크했다.

    정치인들이 18대 총선을 10여 개월 앞둔 때 이른 시점에 총선 신경전을 벌이는 것은 내년 총선이 갖는 특수성 때문이다. 18대 총선은 2008년 4월9일에 실시된다. 대선이 치러진 뒤 110일 만이다.

    만약 한나라당이 대선에서 이기면 만 10년 만에 권력을 탈환하는 것이 된다. 새로 시작하는 정권은 ‘새 술은 새 부대에’ 담고 싶어할 것이다. 그러자면 첫 번째 조치는 물갈이다. 임기를 시작하는 대통령은 한 사람이라도 더 자기 사람을 원내에 진출시켜야 한다.

    8월 경선에 출마할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도 표를 얻기 위해서는 지역을 노리는 정치인들과 전략적 제휴를 맺을 수밖에 없다. 수요와 공급이 맞아떨어지는 공간이 생기는 셈이다.

    대선주자들의 수요는 지구당별로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를 호주로 하는 ‘한 지붕 두 가족’ 상황을 부른다. 당이 임명한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지구당 위원장)과 각 캠프가 지원하는 ‘사설(私設) 위원장’ 간의 신경전은 수시로 벌어진다.

    대선 이후 첫 선거 대대적 물갈이 예고

    6월13일 사천 통영 진주 밀양 등 경남지역 방문에 나선 이 전 시장은 밀양 땅을 밟아보지 못했다. 박 전 대표의 측근인 이 지역 김용갑 의원이 당원과의 접촉에 난색을 표하고 협조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게 이 전 시장 측 주장이다. 이 전 시장 측 한 관계자는 “아무리 상대후보 쪽이라지만 당원과의 접촉 기회를 봉쇄하는 것은 공평하지 못한 처사”라고 문제를 제기하지만, 기득권을 쥔 처지에서 협조하지 않으면 사실상 행사를 하기란 불가능하다.

    이 상황을 노심초사 바라보는 사람이 이 전 시장 캠프에서 일하는 조해진 공보특보다. 밀양이 고향인 그는 16대부터 고향을 찾아 표밭을 관리해온 김 의원의 정치적 경쟁자다. 17대 총선 때 김 의원이 총선불출마 선언을 하며 기회를 잡는 듯했지만, 김 의원이 출마로 돌아서면서 꿈을 이루지 못했다. 이후 박 전 대표와 김 의원이 보수라는 이념코드로 찰떡궁합을 선보이자 조 특보는 미련 없이 이명박 서울시장 정무보좌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전 시장의 비서실장인 주호영 의원의 대구 수성을도 사설 위원장들이 득세한 지역이다. 주 의원이 이명박 캠프에 합류한 2월 이후, ‘박심(朴心)’을 등에 업었다고 자처하는 인사 3~4명이 지역구를 휘젓고 다니고 있다.

    지역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는 인사들 가운데 태반은 비례대표로 국회에 들어온 사람들이다. 21명의 비례대표가 내년 총선에서 살아남으려면 지역구를 가져야 한다. 그러다 보니 지역구 의원들과의 한판 승부가 불가피하다.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해 이 전 시장 캠프의 브레인으로 활동 중인 윤건영 의원의 고향은 경북 고령. 공교롭게도 이 지역은 박 전 대표 캠프의 경북지역 책임자인 이인기 의원의 지역구다. 본인들은 부인하지만 지역의 한 언론은 두 사람 간의 보이지 않는 ‘신경전’을 거론한다. 대선 속 총선 열기는 갈수록 뜨거워질 전망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