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46

..

죽음은 곧 삶의 근원적인 문제

  • 정선학 전 중앙교육진흥연구소 논술팀

    입력2006-07-31 11:3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죽음’과 관련된 기출문제

    ·성균관대 2006 수시2 : 인간의 본성과 자살의 양상 검토 및 자살문제 해결 방안

    ·이화여대 2006 수시2 : 죽음에 대한 관점 검토 및 죽음과 삶의 관계

    ·한양대 2004 정시 : 자살 문제 해결 방안


    인간의 본질과 관련해 자주 출제되는 주제 가운데 하나가 ‘죽음’이다. 죽음에 대한 관점은 사후세계의 인정 여부에 따라 크게 둘로 나뉜다. 사후세계를 인정하는 관점은 내세가 존재하며 현세의 삶이 후세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는 것으로, 대부분의 종교적 관점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런 관점은 현세의 어려움을 참을 수 있게 해주고, 우리의 도덕성을 고양시키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반면 사후세계를 인정하지 않는 관점은, 죽은 세포는 아무런 역할도 할 수 없음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과학적, 논리적이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자칫 인생무상의 결론으로 흐르기 쉽다. 요컨대 죽음에 대한 기존 관점 중 어떤 것을 선택하든, 답안에서 논리성을 획득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질 않는다. 따라서 ‘죽음의 문제 = 삶의 문제’이며, 우리가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를 논증하는 데서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죽음에 대해 논하는 이유는 삶의 문제, 나아가 ‘가치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를 알기 위해서다. 그러므로 죽음과 관련된 모든 논의는 삶과 관련된 것으로 환원시킬 수 있어야 한다.

    ● 교과서 내용을 기출문제에 적용해보자

    (문제)

    지문 (가)는 최근의 사회문제에 관한 글이다. 지문 (나)의 관점에 따라 지문 (가)에 제시된 사례들의 원인을 분석한 뒤, 지문 (다)에서 유추할 수 있는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하고 그 한계를 비판하시오.- 2004 한양대 정시

    (개요)

    |서론| 화제 도입 및 논제 제시 :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진 자살급증 현상 제시, 그 해결책은?

    |본론|

    1. 제시문 (나)에 나타난 자살 유형 분석-자기 중심적 자살, 아노미적 자살, 이타적 자살

    2. 제시문 (가)의 사례별 원인 분석

    3. 제시문 (다)에서 유추한 해결책 및 그 한계 비판

    |결론| 개인적, 사회적 해결책 제시

    1. 서론에서는 자신이 다룰 내용이 왜 살펴볼 가치가 있는지를 논증해야 한다.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는 것은 인간 존엄성에 대한 믿음에서 나오며, 이것은 도덕성의 기본 바탕이 된다.- ‘시민 윤리’

    .…자기 자신이 예상하지 못했던 죽음의 위협을 받게 되었을 때, 우리는 극도의 위기의식과 불안감에 사로잡혀 ‘인생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살아가야 하는가?’ ‘산다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는가?’ 등의 의문을 갖게 된다. 이러한 질문을 한다는 것은 인간만이 갖는 특권이며, 우리는 이러한 질문을 통해서 삶의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

    - ‘윤리와 사상’

    즉, 삶이란 인간이 존엄하기 위한 기본 조건이므로 자살은 극복돼야 할 문제다. 따라서 “살려는 욕망이 있어야 인간답게 살려는 욕망도 있다”는 식으로 서론의 끝부분을 마무리할 수 있다.

    2. ‘아노미’처럼 상식에 속하는 개념은 그 정의를 암기해두는 것이 좋다.

    .아노미 -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 기준을 상실한 혼돈 상태. - ‘철학’

    3. 교과서에서는 생명경시 풍조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인간의 생명을 경시하는 풍조는 인신매매나 장기매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 돈을 목적으로 하여 발생하고 있다. …다음으로 텔레비전, 비디오, 인터넷 등과 같은 매체의 해악을 들 수 있다.- ‘시민 윤리’

    즉, 황금만능주의 풍조와 매체의 해악 등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이는 모든 자살에는 사회적 원인이 있다는 뒤르케임의 견해에 부합한다.

    4. 위 문제에서 지문 (다)는 심 봉사가 이웃의 도움으로 극단적인 상황을 이겨낼 수 있었다는 내용으로, 우리는 결국 개인 차원의 온정 혹은 공동체적 삶을 그 해결책으로 유추할 수 있다.

    .사람들은 다양한 관점을 서로 조정해가면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참여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사회’

    즉, 개인적 차원과 사회구조적 차원을 모두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경우 농경사회가 배경인 ‘심청전’의 온정 넘치는 상황을 21세기에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는 비판이 가능해진다. 또한 심 봉사의 개인적 의지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논술의 결론은 ‘개인적으로는 삶의 의미와 목표 설정, 사회적으로는 공동체 의식의 회복’을 중심으로 맺을 수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