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46

..

국민 피 팔아 제 배만 불리나

적십자사, 1명분 혈액 4만4520원에 팔면서도 수가 인상에 혈안

  • 강양구 프레시안 기자 tyio@pressian.com

    입력2006-07-26 14:2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민 피 팔아 제 배만 불리나
    대한적십자사와 ‘악연’을 맺은 때가 2004년 3월이니 벌써 2년이 넘었다. 당시 적십자사는 감사원으로부터 혈액 관리가 엉망이라는 이유로 ‘철퇴’를 맞은 뒤 애꿎게도 해당 사실을 언론에 알린 자사 직원에 대한 징계를 진행 중이었다. 이들은 ‘주간동아’ ‘프레시안’ 등 언론이 관심을 기울인 탓에 겨우 해고를 면했지만, 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조직 내에서 따돌림을 당하고 있다. 용감하게 조직의 치부를 드러낸 공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까지 받았음에도 적십자사는 이들에게 공개적으로 치사(致謝)한 적이 거의 없다.

    오염 혈액 사고 터져도 그때뿐 … 안전·도덕 불감증 여전

    그때부터 2년간 적십자사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수많은 기사를 써왔지만 도대체 끝이 보이질 않는다. 잊을 만하면 오염 혈액이 유통된 사실을 폭로해야 했고, 고가의 헌혈 장비를 외국의 다국적기업으로부터 납품받으면서 수의계약으로 일관해온 사실도 밝혀내야 했다. 심지어 일부 군부대에 음성적인 지원을 해주고 헌혈을 받아온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그동안 나아진 것은 홈페이지에 사과 또는 해명 글이 올라오는 속도가 빨라진 점이라고나 할까?

    최근에는 잦은 혈액 안전사고를 예방한다는 취지로 도입된 고가의 검사 장비 때문에 잡음이 일고 있다. 장비 선정 과정의 공정성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더니, 새로 도입하려는 ‘검사 자동화 장비’와 관련해서는 아예 특정 다국적기업에 대한 특혜 시비까지 일고 있는 실정이다. 이 과정에서 애꿎은 1만8000여 명의 시민들의 피가 허락도 없이 새로운 장비의 성능을 확인하는 임상실험에 사용됐다. 오죽하면 보건복지부의 적십자사 담당 공무원이 “감사라도 해야 할 판”이라고 기자에게 하소연을 했겠는가.

    상황이 이런데도 적십자사는 ‘잿밥보다 염불’에 더 관심이 많은 것 같다. 일반적으로 헌혈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혈액이 아무 대가 없이 환자에게 전해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적십자사는 의료기관에 1명분의 혈액(전혈, 400㎖)을 4만4520원에 공급한다. 이것을 ‘혈액수가’라고 하는데, 적십자사는 이 혈액수가 인상을 모색하고 있다. 적십자사는 2005년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입한 핵산증폭검사(NAT)의 운영비를 이유로 혈액수가를 30% 가까이 인상한 데 이어 틈만 나면 추가 인상의 필요성을 거론하고 있다. “적십자사의 정체성은 주식회사”라고 비판하는 소리가 끊이질 않는 이유도 이런 속사정 때문이다. 하긴 적십자사가 ‘혈액’이라는 ‘완전 의약품’ 시장을 98%나 장악하고 ‘제약업체’인 양 행동하고 있으니 이런 비아냥거림이 나올 법하다.



    앞으로도 적십자사에 혈액 사업을 맡기는 것이 타당할까? 이런 질문에 선뜻 긍정적인 답을 내놓지 못하는 사람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수년간 적십자사의 혈액 사업을 감시해온 건강세상네트워크 강주성 공동대표도 그중 한 사람이다. 강 대표는 “혈액 사업, 적십자사에는 ‘희망’이 없다”라고 단언하면서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대국민 봉사기관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하면서도 뇌물 수수 등의 각종 비리가 끊이질 않는 적십자사의 도덕적 수준으로는 결코 ‘개혁’에 성공할 수 없다.”

    지난해 국감 때 국회의원실에 상품권 전달해 물의 빚기도

    안타깝게도 강 대표의 주장은 사실로 증명되고 있다. 수년간 적십자사의 혈액 관리에 대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던 한 원로학자는 많은 사람의 기대를 모으며 적십자사의 혈액관리 총책임자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고군분투에도 적십자사는 결국 에이즈 감염 혈액을 유통시켰고, 심지어 은폐 의혹까지 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스스로의 한계를 절감하며 적십자사 문을 나서는 그를 보면서 적십자사의 미래를 밝게 전망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외국의 혈액 사업 역시 숱한 사고를 겪으면서 발전해왔다. 일본에서는 오염된 혈액제제에 의해 수백 명이 에이즈에 감염되면서 약을 공급한 일본 녹십자가 파산하는 지경에 이른 뒤에야 정부가 혈액 사업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적십자사가 혈액 사업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적십자사로 하여금 혈액 사업에서 아예 손떼게 한 뒤 정부가 국립혈액원을 세워 직접 운영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주장이다. 2004년 혈액 사업 개혁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하던 때는 별도의 공익법인을 만드는 방안이 검토되기도 했다.

    지금 당장 ‘적십자사 해체’는 가능하지도 않거니와 바람직하지도 않아 보인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혈액 관리를 어떤 식으로 해나가야 할지에 대한 논의는 더욱 활성화돼야 한다. 이런 논의가 활발할수록 적십자사 역시 시험에서 살아남기 위해 좀더 분발할 것이기 때문이다. 적십자사 한 직원의 다음과 같은 얘기는 경청할 만하다.

    “매번 강도 높은 구조조정 이야기가 나오는데도 늘 ‘불사조’처럼 ‘생존’해 혈액 사업의 핵심 보직을 맡는 소수의 인사들이 있다. 이들이 적십자사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희망이 있다.”

    이와 관련한 일화 한 토막. 지난해 국정감사 때 적십자사의 국회담당 직원이 보건복지위원회 여야 간사 의원실로 상품권을 전달해 물의를 일으켰다. 적십자사 직원이 국정감사 전에 의원실로 찾아와 보좌진에게 상품권을 건네고 간 것. 적십자사는 당시 “이번 사건 관련자에 대해 엄중한 문책을 포함한 적절한 조치를 내리겠다”고 말했다. 적절한 조치는 무엇이었을까? 당시 상품권을 전달한 직원은 오히려 승진했다.

    지금 적십자사는 혈액사업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시험대에 올라 있다. 지난 2년간의 ‘성적표’는 낙제점에 가깝다는 게 중론이다. 이제 적십자사에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보인다. 적십자사 관계자들이 새겨들어야 할, 수혈로 인해 에이즈에 감염된 K(64) 씨 부인의 절규다.

    “다시 오기만 해봐. 고발해버릴 거야. 우리가 여기 사는 게 알려지면 그나마 이 집에서도 쫓겨난다고. 남편은 아무 이상 없이 건강하게 지내고 있어. 자꾸 거기(에이즈에 감염된 사실)에 대해 말하면 남편 우울증이 더 심해져. 말도 꺼내지 말라고. 나도 이젠 정말 신물이 나. 이렇게 사는 꼴을 보고도 몰라?”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