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약이 몸에 해롭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이다.
이런 터무니없는 오해가 생긴 이유를 살펴보면 가난했던 시절 피부병이 나면 아무 연고제나 사서 발랐던 우리 국민의 의학적 무지가 자리잡고 있다. 소위 약장사들에게서 산 만병통치 피부병 약에는 얼굴 등 피부가 약한 부위에 바르면 해가 되는 스테로이드 제제가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스테로이드 제제는 잘 쓰면 약이 되지만 피부 질환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정확하게 구분하여 쓰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해를 입게 된다.
피부과 약을 먹으면 잠이 온다거나 속을 버린다는 속설도 마찬가지다. 가려움증 환자에게 흔히 처방하는 약물인 항히스타민 제제의 경우 먹으면 졸리는 증상이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 약물은 비단 피부과에서뿐만 아니라 내과에서도 감기환자 등에게 흔하게 처방하는 약이다. 감기약을 먹고 난 후 잠이 오는 것은 부작용이라고 하지 않으면서 피부과 약을 먹은 후 졸리는 것을 부작용이라고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이런 오해에는 가려움증이 피부과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실도 한몫한다. 어쨌든 최근에는 이런 속설에 견디다 못한 제약사들이 약을 먹어도 졸리지 않은 항히스타민 제제까지 개발해 판매하고 있으니 더 이상 이런 논쟁은 무의미할 듯하다.
또한 일부 약물이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지만 이 역시 환자의 증상과 질환의 경중에 따라 사정이 다르며, 다른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중에도 위장에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은 많다. 게다가 최근에는 위장이나 간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한 좋은 약들도 많이 개발되어 있다. 만약 위장에 문제가 있는 환자라면 약을 복용하기 전에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한 후 필요하다면 검사를 통해서 약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이제는 피부과 약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버리고, 피부과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야 한다.
요즘 환자들 사이에서 한 가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이 병원 저 병원을 전전하는 이른바 ‘병원 쇼핑’이 유행한다고 한다. 빨리 나아야겠다는 조급증이 부른 결과지만 이들이 명심해야 할 것은 이렇게 병원을 여러 곳 다닐 경우 자연히 약도 중복 처방되고, 환자의 병력에 따른 일관성 있는 치료도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믿음이 가는 피부과 전문의를 정해 꾸준히 치료받는 것, 그것만이 제대로 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