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26

..

강양구의 지식 블랙박스

최고의 슈퍼푸드는? 모유!

면역 강화, 뇌 발육에 일등공신…국내는 생후 6개월 모유 수유 18% 불과

  • | 지식큐레이터 imtyio@gmail.com

    입력2018-02-13 11:31:3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다지 기골이 장대하지 않음에도 잔병치레가 적은 편이다. 지난 몇 년간 감기몸살도, 독감도 피해갔다. 가끔씩 산을 탈 때면 부실한 하체임에도 다부진 몸매의 근육질 동료 못지않게 근성을 자랑한다. 오죽하면, 산을 오르내리는 데 이골이 난 한 등산가가 이렇게 감탄하기도 했다. “강 기자, 어렸을 때 촌에서 자랐어?” 

    촌이라니! 지방 중소도시이긴 하지만 엄연히 도시에서 나고 자랐다. 그러면서 가만히 생각해본다. 그 나름대로 괜찮은 것 같은 기초 체력의 근원은 도대체 무엇일까. 그때마다 어머니가 가끔씩 푸념처럼 하던 말이 기억났다. “그래도 내가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널 낳아서 젖을 제일 오래 먹였어.” 그렇다. 어쩌면 나는 모유 수유의 수혜자가 아닐까.

    모유 속 올리고당과 장내 비피더스균

    모유가 아기 몸에 좋다는 건 다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왜 좋은지 물어보면 딱 부러지게 대답해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럴 만한 사정이 있었다. 지금까지 모유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모유 연구에 앞장서는 과학자 브루스 저먼에 따르면 “모유에 관한 연구 논문 수가 혈액, 타액, 심지어 소변 연구보다도 적다”. 

    그럴 만한 사정이 있었다. 저먼의 계속되는 독설에 따르면 “연구비를 지원하는 단체는 중년 백인 남성이 앓는 질병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모유 연구를 “부질없는 것으로 간주”했으며 영양학자들은 “모유를 지방과 당분의 단순한 칵테일로 여겨 쉽게 복제하거나 유동식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독설은 ‘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도 많아’(어크로스 펴냄)에 나온다. 

    하지만 모유는 알면 알수록 신비한 먹을거리다. 약 2억 년에 걸쳐 진화를 거듭해온 모유에는 젖당, 지방, 다당류의 일종인 ‘올리고당’ 등이 포함돼 있다. 특히 과학자들은 모유에서 200가지 넘는 다양한 형태의 ‘인간 모유 올리고당’을 찾아냈다. 한창 자랄 아기의 몸에 에너지원을 공급해야 하는 모유의 구성으로는 최상처럼 보인다.
     
    그런데 여기에 반전이 있다. 정작 아기는 모유에 세 번째로 많이 포함된 올리고당을 소화시킬 수 없다. 도대체 아기가 소화시키지도 못할 올리고당이 모유에는 왜 그렇게 많이 들어 있을까. 아기가 모유를 통해 섭취한 올리고당은 소화가 되지 않은 채 대장까지 내려간다. 1950년대 중반에야 과학자들은 올리고당이 대장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식량임을 알아챘다. 



    아기의 대장에서 모유에 담긴 올리고당을 먹어치우는 미생물은 왠지 귀에 익은 이름인 ‘비피더스균’이다. 저먼 같은 과학자는 수많은 종류의 비피더스균 가운데 특정한 세균(비피도박테리움(B.) 인판티스)이 올리고당의 포식자임을 알아냈다. 이 세균은 올리고당을 소화시키면서 단순한 형태의 지방산을 배출한다. 아기의 소화관 세포는 바로 이 지방산을 흡수한다. 

    그러니까 아기는 장내 세균(B. 인판티스)이 모유의 올리고당을 흡수하면서 배출한 지방산을 먹는 것이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왜 아기는 모유의 올리고당을 흡수할 때 장내 세균 단계를 한 단계 거치도록 진화했을까. 그냥 아기가 모유를 흡수하는 게 훨씬 더 효율적인 과정 아닌가. 

    이 대목에서 모유의 신비가 한 꺼풀 더 모습을 드러낸다. B. 인판티스는 모유의 올리고당을 흡수할 뿐 아니라, 접착성 단백질과 항염증 물질의 생성도 돕는다. 접착성 단백질은 진흙처럼 소화관 세포 사이의 틈을 메워 아기의 소화관을 강화한다. 항염증 물질은 약하기 짝이 없는 아기의 면역계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뿐 아니다. 이 착한 세균이 올리고당을 먹으면서 내놓는 또 다른 물질(시알산·Sialic Acid)은 뇌가 신속하게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물질이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하려면 아기가 돌잔치 때까지 1년간 몸에 비해 머리가 얼마나 빨리 크는지만 지켜보면 된다. 빨리 크는 머리와 덩달아 발달하는 뇌에 이처럼 모유와 착한 세균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WHO, 만 두 살까지 수유 권장

    기왕에 모유의 신비를 탐색하기로 했으니 한 가지만 더 언급하자. 살모넬라균, 콜레라균처럼 이름만 들어도 무시무시한 병원균은 우리 몸속에 들어오면 가장 먼저 소화관에 자리를 잡는다. 그때 이 병원균이 달라붙는 곳이 바로 장 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한 모양의 당 분자(글리칸)다. 병원균 블록이 글리칸 블록과 만나 결합하는 것이다. 

    그런데 올리고당의 생김새가 바로 글리칸과 비슷하다. 병원균 블록이 글리칸 블록 대신 올리고당 블록에 붙으면 세균 감염이 차단된다. 놀랍게도 올리고당은 후천면역결핍증(에이즈)을 일으키는 바이러스(HIV)도 막을 수 있다. HIV에 감염된 엄마의 젖을 몇 달이나 빤 아기가 안전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여기까지 읽은 독자는 모유가 말 그대로 슈퍼푸드임을 확실히 깨달았으리라.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한 각국 정부는 모든 아기에게 생후 6개월까지 모유만 먹이고, 그 후 만 두 살이 될 때까지 모유 수유를 지속할 것을 권장한다(아기에게 모유를 먹이는 동안 엄마는 자연 피임 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 

    그런데 수많은 엄마가 여러 사정 탓에 아기에게 모유를 먹이지 못한다. 생후 6개월까지 모유만 먹이는 비중은 국제 평균이 38%인 데 반해, 국내 평균은 18%에 불과하다. 일터에서 일하는 ‘직장맘’이 어떻게 모유를 먹이느냐고? 스웨덴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76.6%(한국은 59.1%)나 되지만 생후 6개월 이후에도 아기에게 모유를 수유하는 비중은 73%에 이른다. 

    짐작하다시피, 한국은 일하는 여성이 모유 수유를 할 수 있는 인프라가 조성돼 있지 않다. 근로기준법에는 생후 1년 미만의 아기가 있는 여성에게는 하루 두 번씩 각각 30분 이상 유급 수유시간을 주도록 명시돼 있으나 지키는 사업체가 거의 없다. 아기에게 직접 수유하지 못할 때 필요한 유축기, 모유 저장팩, 냉장고 등이 직장에 구비돼 있을 리도 없다. 

    반면 스웨덴은 출산 후 16개월간 유급 휴직을 제공해 엄마와 아기가 같이 생활하면서 모유 수유를 비롯한 보살핌이 가능하도록 뒷받침한다. 하루 1시간 이상 단축 근무를 통해 모유를 짜는 시간도 보장받는다. 한국에서는 꿈같은 얘기일까. 스웨덴도 1970년대에는 모유 수유 비중이 고작 30% 수준이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