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26

..

프리츠커 프로젝트

‘기계’ 아닌 ‘사람’ 중심의 아름다운 공장

자연 · 인간 친화적 공장 HK 도약관

  • | 글 =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사진 = 박해윤 기자 land6@donga.com 신경섭 작가

    입력2018-02-13 11:31:04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장소 경기 화성시 양감면 사릅재길 117

    • •완공 2015년 1월

    • •설계 임재용  ·  건축사사무소 OCA

    • •수상 2015년 한국건축가협회상,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야트막한 언덕에 세워진 에이치케이(HK) 도약관의 야경.

    야트막한 언덕에 세워진 에이치케이(HK) 도약관의 야경.

    측면에서 본 HK 도약관. 사무공간이 있는 전면과 공장이 위치한 후면의 노출콘크리트의 느낌이 전혀 다르다.

    측면에서 본 HK 도약관. 사무공간이 있는 전면과 공장이 위치한 후면의 노출콘크리트의 느낌이 전혀 다르다.

     3층 전면부에는 기하학적 구성의 모래밭과 갈대숲. 그리고 이페 원목 데크를 깐 테라스로 주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쉼터를 조성했다.

    3층 전면부에는 기하학적 구성의 모래밭과 갈대숲. 그리고 이페 원목 데크를 깐 테라스로 주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쉼터를 조성했다.

    ‘공장의 하얀 불빛은/오늘도 그렇게 쓸쓸했지요/밤하늘에는 작은 별 하나가/내 마음같이 울고 있네요.’ 

    신형원과 김광석이 노래한 ‘외사랑’(한돌 작사·작곡)의 구절은 공장의 불빛과 밤하늘의 별빛을 대비한다. 공장의 불빛은 짝사랑에 지친 여공의 마음처럼 차갑고 외롭다. 밤하늘의 별빛은 그 반대로 여공의 짝사랑에 공명해주고 대신 울어주는 온기를 지녔다. 

    공장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거대한 기계장비나 제품이 줄지어 이동하는 조립라인과 그 사이를 오가며 왠지 겉도는 사람들이 떠오른다. 기계가 먼저고 사람은 그다음이다. 사람들이 공장에 들어섰을 때 불편함을 느끼는 이유도 거기 있다. 인간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기계를 위한 공간임을 직감하기 때문이다. 

    거기엔 미학적 요소도 단단히 한몫한다. 기계적 효율과 능률을 중시한 차갑고 크고 시끄러운 공간이 대다수다. 딱딱하게 각진 박스형 건물인 데다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기 어렵게 폐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대신 밤늦은 시간까지 내부를 환히 밝히는 불빛만 밖으로 흘러나올 때가 많다. 시끄러운 기계음과 기름 냄새, 화학약품 냄새도 거부감을 일으키게 만드는 요소다. 

    경기 화성시 에이치케이(HK) 도약관으로 가는 길에 만난 대다수 공장은 그러했다. 소음이나 악취는 별로 못 느꼈지만 무미건조함이 잔뜩 묻어나는 폐쇄된 박스형 건물이 안겨주는 시각적 피로감이 만만치 않았다. 




    신공장에서 구공장으로 연결되는 통로 사이에 설치된 붉은색 차단벽.

    신공장에서 구공장으로 연결되는 통로 사이에 설치된 붉은색 차단벽.

    자체 공작기계로 새긴 대형 HK 로고가 있는 엘리베이터 타워 내부에 서 있으면 그 대형 로고 사이에 촘촘히 새겨 넣은 자그마한 로고를 확인할 수 있다.

    자체 공작기계로 새긴 대형 HK 로고가 있는 엘리베이터 타워 내부에 서 있으면 그 대형 로고 사이에 촘촘히 새겨 넣은 자그마한 로고를 확인할 수 있다.

    신공장 내부.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운 채광창과 옥상으로 뜨거운 공기를 빼는 통풍창을 통해 온도 조절과 공기 순환이 이뤄지도록 했다.

    신공장 내부.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운 채광창과 옥상으로 뜨거운 공기를 빼는 통풍창을 통해 온도 조절과 공기 순환이 이뤄지도록 했다.

    그러다 곡선도로를 지나 야트막한 언덕배기에 위치한 HK 도약관이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 ‘형광등 100개가 빛을 발하는 아우라’가 뭔지를 실감했다. 각진 콘크리트 건물이라는 점은 마찬가지였지만 크리스마스트리 앞에 쌓아놓은 선물박스를 볼 때처럼 온기와 설렘이 잔뜩 느껴졌다. 1층보다 2층이 옆으로 더 길고 3층 위 4층이 다시 왼편으로 삐죽 뻗어 나왔다. 크기와 길이가 제각각인 선물박스를 쌓아 올려 묘한 긴장감을 안기는 듯한 느낌이었다. 

    그것만으로 온기를 설명할 순 없었다. 그제야 건물의 절반을 차지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넓은 전면부의 유리창이 눈에 들어왔다. 외부를 향해 열려 있고 소통하려 한다는 느낌이 거기서 흘러나오고 있었다. 이런 느낌은 건축 내부에서 더욱 확연해졌다. 


    1층 직원식당으로 가는 유선형 통로의 삐뚤빼뚤한 형광등.

    1층 직원식당으로 가는 유선형 통로의 삐뚤빼뚤한 형광등.

    국내외에서 수상한 디자인상 로고가 표시된 HK 레이저공작기계.

    국내외에서 수상한 디자인상 로고가 표시된 HK 레이저공작기계.

    외부 손님에게 HK 회사를 소개하는 공간은 고급스러운 직원카페와 연결돼 있다.

    외부 손님에게 HK 회사를 소개하는 공간은 고급스러운 직원카페와 연결돼 있다.

    HK(회장 계명재)는 레이저공작기계 제조업체로 매출 600억 원, 직원 120명의 중소기업이다. 1992년 인천 남동공단에서 시작해 2001년 현 위치로 옮겨왔다. 원래는 도약관 뒤편 언덕에 세운 공장건물만 있었고, 도약관이 들어선 언덕 중턱에는 직원들을 위한 운동장이 있었다. 그러다 사업 확장으로 공장을 확충할 필요성이 생기자 운동장 자리에 신공장과 기술연구소를 함께 세우기로 한 것이다. 

    임재용 건축사사무소 OCA 대표는 건축 현장을 둘러보고는 ‘기계 중심이 아니라 자연친화적이면서 인간친화적인 공장을 짓자’고 생각했다. 건축지 맞은편으로는 게으른 황소가 등 비비기 좋은 야트막한 언덕과 꽤 넓은 논밭이 펼쳐져 있었다. 자연친화는 그 탁 트인 풍광을 유리창을 통해 건축 안으로 끌고 들어오는 것에서 시작됐다. 또 3층의 전면 절반을 테라스(‘바람정원’)로 꾸미고, 다시 4층의 후면은 목조바닥을 깐 파티 공간(‘하늘정원’)으로 조성했다. 여기에 건물 중간 2곳에 중정(中庭)을 조성해 주변의 자연과 소통할 수 있게 했다. 


    연구소 사무실과 공장건물 사이로 자작나무를 심어놓은 중정. [사진·신경섭]

    연구소 사무실과 공장건물 사이로 자작나무를 심어놓은 중정. [사진·신경섭]

    4층 피트니스센터. 목재마루를 깐 테라스 끝에 엘리베이터 타워가 보인다. [사진·신경섭]

    4층 피트니스센터. 목재마루를 깐 테라스 끝에 엘리베이터 타워가 보인다. [사진·신경섭]

    언덕 모양을 살려 기본적으로 1, 2층은 넓고 3, 4층은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피라미드 구조로 지은 것도 자연친화적 건축의 일환이었다. 경사면을 따라 각 층이 지면과 연결되도록 했다. 신공장이 들어선 3층은 언덕배기에 위치한 구공장과 이어진다. 옆으로 돌출된 4층엔 직원들을 위한 피트니스센터와 풋살 경기장이 있다. 주로 축구장으로 쓰다 ‘사라진’ 운동장을 대체하기 위한 배려였다. 

    이런 인간적 배려는 건축 도처에 스며들어 있다. 웬만한 경차 크기의 레이저공작기계를 조립하는 3층 공장은 기계설비와 조립라인 유지를 위해 냉난방을 할 수 없다. 기계를 위해 인간이 더위와 추위를 견뎌야 한다. 이를 보완하고자 겨울엔 햇빛이 많이 들 수 있도록 남측 벽면 전체에 채광창을 설치했고, 여름엔 뜨거운 공기를 모아 4층 ‘하늘정원’으로 배출하는 통풍창도 마련했다. 인간 중심의 온도 조절과 공기 순환이 이뤄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건물 전면에 세운 엘리베이터 타워를 통해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동시에 인근 고속도로에서도 대형철판 위에 레이저로 새긴 회사 로고(HK)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서 건물 3층 높이에 자리한 구공장 옆 기숙사에서 4층 운동공간까지 곧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통로를 별도로 설치했다. 게다가 구내식당과 대회의실이 설치된 1층 복도는 일부러 직선이 아닌 중간이 살짝 휘는 곡선 구조로 했고, 천장의 형광등 역시 일직선이 아니라 삐뚤빼뚤하게 달았다. 1층 식당을 지나 중정을 건너가면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로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의 직원용 카페가 등장하고, 외부 손님에게 회사 연혁과 주요 제품을 소개하는 트레이닝센터도 있다. 

    그러다 보니 천편일률적인 여느 공장과 달리 층마다 구조와 구성이 판이하다. 그래서 층이 바뀌면 전혀 다른 건물에 와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1층 직원식당의 풍경. [사진·신경섭]

    1층 직원식당의 풍경. [사진·신경섭]

    맞은편 논밭에서 바라본 HK 도약관. [사진·신경섭]

    맞은편 논밭에서 바라본 HK 도약관. [사진·신경섭]

    여기에도 비밀이 하나 숨어 있다. HK 도약관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1, 2층 전면과 그 후면이 살짝 분리돼 있다. 전면의 노출콘크리트가 거칠면서 가로로 길쭉한 송판무늬인 반면, 후면의 노출콘크리트는 반질반질하면서 세로가 더 긴 직사각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1층이 사무공간, 회의실, 식당이 있는 인간 중심의 공간이라면 2층은 공장과 실험실로 구성된 인간과 기계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임재용 대표는 동선 중심의 공간이란 점에서 공장(팩토리)과 박물관(뮤지엄)을 결합한 ‘팩토리엄(factorium)’, 그리고 각 층마다 테라스가 딸린 사무실(오피스)이라는 뜻의 ‘테라피스(terraffice)’ 등 새로운 공간 개념을 창안해왔다. 그는 “HK 도약관은 효율성의 공간인 공장을 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게 한 팩토리엄이자 일터와 자연을 결합한 테라피스의 징검다리 역할을 해준 건축”이라며 “공장 역시 기계가 사는 공간이 아니라 사람이 사는 공간임을 환기할 수 있는 작업이라 뜻깊었다”고 말했다.



    포토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