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69

..

마약 팔던 갱에서 마약쟁이 돌보는 천사로

  • 로스앤젤레스=송홍근 기자 carrot@donga.com

    입력2007-01-10 16:1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마약 팔던 갱에서 마약쟁이 돌보는 천사로
    여기, 갱단에서 힘깨나 쓰던 ‘주먹’이 있다. 악명 높은 중국계 조직폭력단 와칭의 행동대원 에릭 한. 그의 표현대로 에릭 한은 “사탄을 위해 몸 바쳐 일했다.” 낮에는 007가방으로 마약을 배달했고, 밤에는 ‘약을 하면서’ 섹스를 즐겼다.

    “돈도 많이 벌었다. 두려울 것이 없었다. 중간보스 시절엔 전화로 수백명을 모을 수 있었다. 우리가 의리로 사는 꽤 쓸 만한 집단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16세 때 로스앤젤레스(LA)에 터를 잡은 이민 1.5세대다. 사춘기 끝자락의 청소년이 낯선 환경에 적응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백인들의 인종차별과 흑인들의 학대는 어릴 때부터 주먹이 ‘야물었던’ 그의 인내를 시험케 했다.

    “흑인들은 우리에게 우유를 뿌리고, 달걀을 던졌다. 당하고만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LA 한인타운에서 청소년 불량서클인 ‘아메리칸 버거’를 만든다. 지역언론에서 붙여준 이 이름은 ‘햄버거 가게에서 마리화나를 피우는 한국계 청소년’을 가리켰다. 그들은 흑인 불량배들이 고개를 숙일 때까지 ‘싸우고 또 싸웠다’.



    마약에 찌들어 살다 자살미수 후 새사람 변신

    “기타 치기와 싸움질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였다.”

    그는 갱에서 한동안 ‘잘나갔다’. 돈을 제법 만졌고 보스의 신임도 받았다.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겠다며 총칼을 몸으로 맞기도 했다.

    “문제는 마약이었다. 쉽게 돈을 벌면서 삶은 무질서해졌다. 결국 단 하루도 마약 없이는 살 수 없는 마약쟁이가 됐다. 모텔에서 일주일씩 두문불출하면서 마약을 즐기기도 했다.”

    그는 결국 조직의 마약에까지 손을 됐다. 위험한 행동이라는 걸 잘 알면서도 도매상에 넘길 마약을 자신이 사용한 것이다. 조직에 건넬 마약값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주변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었으나 마약쟁이 에릭을 도와주는 이는 없었다. 아내조차 두 아이를 데리고 그를 떠났다. 그는 혼자였다. 냉장고는 텅 비었고 누구도 그를 찾지 않았다. 1990년 어느 날 그는 결심한다.

    ‘죽어야 한다, 나처럼 더러운 사람은….’

    그는 오로지 죽기 위해 다량의 마약과 잡다한 약을 샀다. 그러고는 한꺼번에 목구멍으로 밀어넣었다. 의식이 점점 흐려졌다. 앞이 보이지 않았다. 에릭 한은 그렇게 ‘죽었다’.

    마약 팔던 갱에서 마약쟁이 돌보는 천사로

    한영호 목사(왼쪽)가 목회에 앞서 마약에 중독된 청소년들에게 말을 건네고 있다.

    회심(回心)-마음을 돌이켜 먹음. 기독교에서는 이 단어를 과거의 생활을 뉘우치고 신앙에 눈떴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불교에서 쓰는 비슷한 말로는 돌이마음이 있는데, 나쁜 일을 하다가 올바른 길로 돌아온 것을 뜻한다. 에릭 한은 ‘죽음으로써’ 회심했으며, 돌이마음했다.

    여기, 마약에 중독된 청소년들을 보듬는 사내가 있다. LA 미주한인마약퇴치센터 한영호(51) 목사. 목둘레 17.5인치, 허리둘레 38인치의 체구만큼이나 그는 마음도 넉넉하다. 이 센터는 마약에 중독된 한인 청소년을 위한 단체로 손쉽게 마약을 접할 수 있는 미국 사회로부터 아이들을 격리해 자활을 돕고 있다.

    마약중독자들이 새 삶을 꾸려나가고 있는 이 센터의 분위기는 그러나 을씨년스러웠다. 머리를 빡빡 깎거나 온몸에 문신을 한 청소년들 때문에 조직폭력배의 아지트처럼 보이기도 한다. 두셋씩 모여 앞마당에서 햇볕을 쬐고 있는 마약중독자들의 눈자위는 꺼질 듯 거슴츠레했다. 쭉 찢겨 올라간 눈(마약에 중독되면 눈 끝이 올라가고 눈 밑에 검은 그림자가 생긴다)에선 죽음의 기운마저 느껴진다.

    “우리를 가리켜 깡패 선교회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어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면서 차라리 불쌍한 장애인을 돕지 뭐 하러 마약쟁이들을 돌보느냐는 이들도 있습니다.”

    10년 동안 마약중독 한인청소년 500여 명 돌보고 새 삶 기회 줘

    한 목사는 마약에 물든 한인 청소년들을 더는 방치해서는 안 된다면서 1996년 이 센터를 세웠다. 현재 50여 명의 남녀 청소년이 이 센터에서 생활하고 있는데, 개중엔 환각상태에서 자해를 하거나 폭력을 행사하는 등 금단현상을 심하게 앓는 친구들도 있다.

    “마약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자원봉사자를 구하기도 쉽지 않아요. 어려운 환경에서 10년 넘게 사역을 해왔다는 게 기적처럼 느껴집니다. 지난해 초엔 캐나다 토론토에도 센터를 열었고, 올 상반기엔 시카고에 분원을 낼 예정입니다.”

    한 목사와 함께 청소년들을 돌보고 있는 이 센터의 스태프들은 모두가 마약중독자의 옷을 벗고 회심한 사람들이다. 이들처럼 한 목사도 돌이마음한 그날을 또렷이 기억한다.

    살고자 하는 의지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그의 말대로 신의 뜻이었을까? 1990년 어느 날, 그는 화장실에서 토악질을 하고 있었다. 변기가 피투성이가 될 때까지 토악질은 끝나지 않았다. 죽기 위해 먹은 약을 토하면서 그는 견딜 수 없는 공포를 느꼈다. 부지불식간에 신을 찾은 건 그래서였다.

    ‘만일 하나님이 계시다면 마약만 끊게 해주십시오. 그렇게 해주시면 하나님께 남은 인생을 다 바치겠습니다.’

    그날 이후 하늘은 눈부셨고 오후는 아름다웠다. 돌이마음한 그는 신학교에 들어갔으며, 졸업해서 목사가 되었고, 그대로 두면 나락으로 떨어질 사람들을 위해 몸을 던졌다. 지금까지 500명 넘는 청소년들이 그의 도움으로 새 삶을 얻었다.

    “사람들은 마약을 으슥한 뒷골목 문화의 산물이라고 여기지만, 그건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얘기죠. 미국에선 문제아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마약을 살 수 있어요. 센터엔 UCLA 같은 명문대에 다니다가 들어온 친구들도 적지 않습니다.”

    그는 부모 없이 미국으로 유학 온 10대 유학생들 상당수가 마약의 유혹에 빠져들고 있다면서 우려했다. LA 한인타운의 나이트클럽은 유학생들로 득실거리는데, LA 유흥가에서 엑스터시 같은 마약을 구하는 것은 결코 어렵지 않다.

    “한국의 부모들이 겁도 없이 ‘나 홀로 유학’을 보내고 있습니다. 도피성 유학은 절대로 보내면 안 됩니다. 한국에서 말썽을 일으키던 아이를 혼자 유학 보내는 것은 마약을 배우라는 얘기나 마찬가지입니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유학생도 마약의 유혹에서 자유롭지 못해요. 미국은 학교에서도 쉽게 마약을 접할 수 있는 곳이거든요.”

    한 목사는 아직 마약을 끊지 못했다. 마약은 자살 등으로 죽거나 정신이상자, 신체장애자가 되지 않는 한 끊을 수 없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17년째 참고 있을 뿐”이라며 웃었다. 조폭 노릇하면서 총도 맞아봤고, 죽을 고비도 여러 번 넘긴 이 왕년의 갱은 마약을 참아가며 ‘천사를 위해 몸 바쳐 일하고’ 있다.



    사람과 삶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