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51

..

럼스펠드 美軍 개편 위험한 도박?

2사단 사령부 UEx로 전환, 윤곽 드러나 … 무기·인원 배치 모듈화 효율성 의문

  • 이정훈 기자 hoon@donga.com

    입력2004-09-03 17:3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럼스펠드 美軍 개편 위험한 도박?

    주한 미 2사단 기갑부대의 훈련 모습.

    8월20일 제11차 미래한미동맹정책구상회의에서 미국 측이 주한 미 육군 재편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그동안 설만 무성하던 주한 미 육군 개편 윤곽이 드러났다. 이날 설명에서 눈길을 끈 내용은 2사단 1여단은 UA(Unit of Action)로, 2사단 사령부는 UEx(Unit of Employment x)로 바꾼다는 것이었다. 미국 측은 8군을 UEy(Unit of Employment y)로 바꿀지의 여부는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UA와 UEx, 그리고 UEy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용어가 낯설어 그렇지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UA는 우리말로 ‘작전부대’ 정도로 옮기는 것이 적절하다. 이 부대는 여러 병과가 들어와 있어 단독으로 지상전투 수행이 가능한 부대를 말한다. UA는 한국 육군 용어 중에는 ‘전투단’이란 말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육군에서 군 생활을 한 사람은 ‘RCT 훈련’을 기억할 것이다. 평상시 연대는 보병대대 위주로 편성돼 있어 종합전투를 치르기 어렵다. 연대가 종합전투를 치르려면 사단에 속해 있는 포병·기갑·공병·통신부대 등을 배속받아야 한다. 포병 등 전투지원 부대가 배속된 연대(Regiment)를 연대전투단(RCT, Regiment Combat Team)이라고 한다. RCT 훈련은 연대전투단을 만들어 운용해보는 훈련인 것이다.

    2사단 1여단은 단독 지상전투 가능 부대

    미 육군 사단은 연대 대신 여단(Brigade)으로 편제돼 있어 RCT가 아닌 BCT 구성 훈련을 한다. BCT를 임시가 아닌 상시체제로 만들어놓은 것이 바로 미 육군이 생각하는 UA의 개념이다. 독립작전이 가능하게 편제된 BCT를 과거처럼 여단으로 불러야 할지, 아니면 새 이름을 부여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 때문에 미국은 임의로 UA로 명명해놓은 것이다.



    럼스펠드 美軍 개편 위험한 도박?

    오산 미 7공군비행장에 도착한 SBCT.

    현재 미 육군에서 단독으로 종합전투가 가능한 최소 단위의 부대는 사단이다. 미 육군은 10개 사단을 갖고 있는데 전차를 주력으로 하는 기갑사단은 2개, 장갑차가 주력인 기계화사단 4개, 그리고 산악사단과 경보병사단 헬기를 타고 침투하는 공중강습사단, 낙하산을 타고 점프하는 공정사단이 1개씩 있다. 종합전투를 수행하더라도 사단별 ‘주특기’는 조금씩 다르게 편성해놓은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새로 편성될 UA도 각각의 주특기를 갖는다. 군대는 역시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야 하므로, 미 육군은 전투력이 강한 기갑UA와 기계화UA를 많이 거느릴 것이다. 또한 전쟁은 화재와 같아서 발화 초기에 진압하면 적은 노력으로 큰 참사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분쟁 현장으로 신속히 출동할 수 있는 ‘5분 대기조’ 성격의 신속배치군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스트라이커 여단’ 등으로 불리는 SBCT이다.

    SBCT는 여단전투단인 BCT에 이 부대의 별칭인 ‘스트라이커(Stryker)’가 붙은 것인데, 이 부대는 기존의 브래들리 장갑차보다 작은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모든 장비와 병력을 태운 것이 특징이다. SBCT는 가벼운 기계화부대이기 때문에 출동명령을 받으면 C-17 같은 대형수송기에 탑재해 만 3일(72시간) 이내에 분쟁 지역에 도착해 작전을 펼친다. 10여년 전부터 미 육군이 신속배치군을 만들어야 한다고 한 주장은 바로 SBCT를 만들자는 것이었다.

    세계에서 분쟁이 일어나면 미 육군은 스트라이커 여단을 파병해 1차 진화를 시도하고 이것으로 여의치 않으면 기계화UA와 기갑UA를 파병해 승리를 도모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산악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하면 산악UA를 보내고, 낙하산으로 침투해야 하는 곳이라면 공정UA를, 헬기 강습작전이 필요한 곳이면 공중강습UA를 보내겠다는 것이다. 미 육군은 올해 중 제3기계화사단과 제82공정사단을 기계화UA와 공정UA로 개편하는 것을 시작으로 2007년까지 10개 사단을 15개의 UA로 개편할 예정이다.

    현재 미 육군 사단은 1, 2, 3으로 나가는 3개의 전투여단 외에 포병, 항공, 방공포, 공병, 통신, 군수의 6개 여단(또는 대대)을 갖고 있다. 이 여단들은 예하 부대를 전투여단에 제공해줌으로써 전투여단이 BCT 성격을 띤 UA로 재편될 수 있도록 협조한다. 그런데 이 여단들도 고유의 주특기를 가진 UA로 재편된다. 기존의 항공여단은 다른 병과를 배속받아 항공전 위주의 종합전투를 펼치는 항공UA가 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사단의 전투지원 여단들도 일제히 주특기를 가진 UA로 재편된다.

    미 육군은 8개 예비군 사단을 갖고 있다. 미 육군은 이 예비군 사단도 2006년에서 2009년 사이 UA로 재편할 예정이다. 이러한 개편이 끝나면 미 육군은 도합 82개의 UA를 갖게 된다.

    영어 모듈(module)은 ‘규격화된 구성 단위’ 정도로 번역된다. 전구(電球)가 나갔을 때 같은 규격의 새 전구를 사와 소켓에 끼우면 바로 불이 들어오는데, 이는 전구가 모듈화돼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미 육군은 모든 UA를 모듈화한다는 개념을 갖고 있다. 이때 전구가 되는 것이 UA이고, 소켓 구실을 하는 것이 UE다.

    병력 감축 후 민사작전에 고민

    군사용어로 전쟁지역을 ‘전구(戰區)’라고 하는데, UE는 하나의 전구를 책임진 ‘지휘부대’로 번역된다. UE는 특정 지역을 맡아 그 지역에서 필요한 작전을 미리 짜놓는 구실을 한다. 소규모 분쟁에 대비해서는 A작전을, 중규모 분쟁에는 B작전을, 전면전을 위해서는 C작전을 짜놓고, 작전 환경 변화에 따라 이 작전들을 발전시켜나가는 것이다. 작전을 짜기 위해서는 정보가 있어야 하므로 UE는 반드시 정보부대를 거느린다.

    그러다 분쟁이 일어나면 UE는 즉각 작전에 필요한 UA를 호출한다. SBCT 하나에 기계화UA 두 개를 배속받아 작전 B를 펼치거나, 기계화UA 하나에 공정UA 두 개를 배속받아 작전 C를 구사해 사태를 해결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미 육군에서는 작은 전구는 군단이, 큰 전구는 군사령부가 담당해왔다. 그런데 앞으로는 미국이 직면할 분쟁의 규모가 작아질 것이므로 작은 전구는 사단급 부대를 재편한 UEx에, 큰 전구는 군단이나 군사령부급 부대를 재편한 UEy에 맡긴다는 것이 미 육군이 생각하는 개혁안이다.

    문제는 한반도다. 한미연합사가 창설되기 전까지 한반도 전구를 책임진 미 육군사령부는 8군이었다. ‘한반도 전구를 2사단 사령부를 재편한 UEx에 몽땅 맡길 것인가, 아니면 그 위에 8군 사령부를 재편한 UEy를 둘 것인가’ 미 육군은 아직 이 문제를 결정하지 못했다. 그러나 2사단 사령부가 UEx로 재편하는 것은 확정된 상태라고 한다.

    럼스펠드 美軍 개편 위험한 도박?

    럼스펠드 미 국방장관.

    미 육군 개혁은 럼스펠드 국방장관이 추진한다. 작전부대인 UA는 이동이 잦을 수밖에 없는데, 이동이 잦은 부대는 가급적 미국 내에 두자는 것이 럼스펠드 장관의 생각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투요원들이 가족과 헤어져 지내야 하는 시간을 줄여주고, 아울러 반미 시위로부터 미군을 보호하자는 것이다.

    UA의 기동성을 극대화해 필요시 파병하는 체제를 택하면 미 육군은 병력을 감축할 수도 있다. 8월16일 부시 미국 대통령은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의 해외참전용사회 모임에 참석해 “10년 내에 아시아와 유럽에 주둔한 6만에서 7만 정도의 미군을 본토로 철수시키겠다”고 밝혔다. 올해 초 한국과 미국에서는 ‘해외주둔 미군 배치 재검토’로 번역되는 GPR이 많이 회자됐는데, 부시의 연설은 바로 GPR을 확정 발표한 것이었다.

    럼스펠드 장관의 의견을 받아들인 부시 대통령에 대해 민주당의 대권 후보인 케리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케리는 해외주둔 미군 감축이 곧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대의견을 펼쳤다. 그러나 신속배치군을 창설함으로써 해외주둔 미군을 줄인다는 계획은 클린턴 행정부를 포함한 미국 역대 정권에서 일관되게 추진해온 것이라 설사 케리가 대통령에 당선된다고 해도 피할 수 없는 대세다.

    럼스펠드의 구상을 막을 수 있는 적은 미군 안에 존재한다. 미군은 첨단 장비 덕분에 적은 병력으로도 전쟁에 이길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뒤 치르는 민사작전은 장비가 아닌 사람으로 펼쳐야 한다. 현재 미군은 이라크 민사작전을 펼치느라 심각한 병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순환 배치할 병력이 부족하다 보니 40살에 이른 예비군까지 차출해 이라크로 보낼 지경이다.

    그래서 군대는 어느 정도의 ‘인원 수’를 갖고 있어야 하는데, 럼스펠드는 전쟁만 보고 병력 감축을 시도하고 있다. 민사작전 병력이 적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럼스펠드는 NATO군이나 한국군 등 동맹국 군의 적극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럼스펠드는 한국인의 반미정서에 격분해 주한미군 철수를 결심했다고 하지만 한국에도 손을 내밀어야 하는 처지인 것이다. 이러한 럼스펠드를 상대로 노무현 정부는 최선의 협상으로 국익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