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39

..

부처님오신날 인터뷰 | 부산 혜원정사 원허 스님

“꼿꼿 존자에서 스님 할아버지가 됐습니다”

20여 년 도심 사찰 포교의 모범…“자비심을 갖는 게 깨달음”

  • | 서정보 기자 suhchoi@donga.com

    입력2018-05-22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원허 스님이 가슴에 새기고 사는 말

    용서를 비는 사람이 되지 말고 용서를 해주는 사람이 돼라.

    천천히 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다만 중도에 포기하는 것을 두려워하라.

    일을 할 때는 평생 살 것처럼 일하고, 사람을 대할 때는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대하라.

    누군가 나를 봤을 때 못 본 척하지 않고 반갑게 인사할 수 있는 사람이 돼라.



    “가까이만 가도 서릿발 같은 기운이 느껴진다고 ‘꼿꼿 존자’ ‘얼음 왕자’ 등 별명이 많았어요. 하지만 지금은 ‘스님 할아버지’가 됐네요.” 

    ‘하’와 ‘흐’ 발음을 오가며 쏟아지는 그의 웃음은 시원하면서도 짓궂은 데가 있었다. “웃음소리도 마음에 든다고 하는 사람이 꽤 있다”는 말은 자랑이라기보다 현 모습에 대한 만족처럼 들렸다. 

    부산 혜원정사의 원허(60·사진) 스님은 도심 포교의 대명사로 잘 알려졌다. 그는 최근 ‘그 생각, 놓아도 괜찮습니다’(담앤북스)라는 책을 펴냈다. 그가 운영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아침마다 올린 글 가운데 72편을 추려 낸 것이다. 2014년 낸 ‘세상을 물들이는 멋진 아침’에 이은 두 번째 책이다. 페이스북, 밴드 등 SNS를 자유자재로 활용하고 사찰에 래퍼를 불러 공연을 하게 하는 그의 포교 얘기를 듣고 싶었다. 

    차를 몰고 연제구 연산터널 바로 앞에서 우측으로 꺾어 들어가 주택가를 지나자 묘봉산(배산) 자락에 자리 잡은 혜원정사가 나타났다. 반갑게 기자를 맞은 그는 차를 내오며 “아이고, 나는 인터뷰 안 하는데 사형(師兄·영담 스님)이 하도 권해서…”라며 쑥스럽다는 듯 웃는다. 그러나 그가 술술 털어놓는 말의 속도와 솜씨는 20여 년 도심 포교의 내공이 그대로 배어 있었다.

    주지가 될 인연이었나

    천주교 집안 출신인 그는 고교 시절 생사의 문제를 알고 싶었다. 친구의 권유로 불교에 입문한 뒤 마침내 수행자의 길을 걷기로 하고 경남 하동 쌍계사에서 고산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보통 출가한 행자는 몇 개월간 수련을 거쳐야 삭발할 수 있는데 고산 스님은 저에게 사흘 만에 삭발하게 했어요. 주위에선 어릴 때 제 모습이 은사 스님을 많이 닮았다고 합니다. 은사 스님께선 저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신 적이 없어요. 은사 스님께서 직접 보여주셨죠. 그 모범을 따라 하기도 벅찹니다.” 

    그의 관심은 오직 수행이었고 그 외에는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그는 해인사 강원, 율원, 선원을 모두 거쳤다. 해인사 학인 시절 산행하다 떨어지는 낙엽을 보면서 학인 스님들이 저마다 한마디씩 할 때 그는 이렇게 말했다. “떨어지는 낙엽이 대수입니까. 생사를 고민하고 부처가 되는 것이 급한데….” 분위기가 싸늘해진 건 물론이고 그에게 ‘뻣뻣 존자’ ‘깔끔 존자’ ‘얼음 왕자’ 같은 별명이 붙었다. 그의 수행에 대한 지나친 결의가 별종 취급을 받은 것이다. 

    “그때는 그게 전부인 줄 알았죠. 그때 학인들 만나면 저보고 ‘사람 같지 않았다’고 놀리곤 해요.” 

    이렇게 수행에 온 신경을 쏟던 그에게고산 스님이 뜻밖의 제안을 했다. 혜원정사 주지를 맡으라는 것이었다. 혜원정사는 1972년 고산 스님이 폐사처럼 버려진 곳을 다시 일으켜 세워 도심 사찰로 만든 곳이었다. 

    “아무리 은사 스님의 말이라지만 받아들이기 힘들었어요. 수행 잘하고 있는 사람에게 절 주지를 맡기려 하느냐는 생각이었죠. 은사 스님은 ‘주지 하고 싶다고 다들 줄을 서는데 너는 그러지 않아서 시키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어요. 은사 스님 말을 받드는 척하려고 절 소임을 살다 세 번이나 도망쳤습니다.” 

    그러나 그에게 주지를 맡기려는 은사 스님의 결심은 확고했다. 그는 ‘이것도 혜원정사 신도들과 인연인가 싶어’ 주지를 맡으면서 한 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1년에 아홉 달은 주지를 맡고 석 달 동안은 선방에 가서 안거(수행)를 하겠다는 것이었다. 그 조건이 받아들여져 결국 그는 주지를 맡았다. 

    “지금 돌이켜보면 불교 도심 포교가 중요해질 것에 대비해 저같이 혈기방장한 인물이 필요하다는 은사 스님의 넓은 안목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신도가 찾아오는 절이 아닌, 신도 속으로 들어가는 포교의 중요성을 일찍 간파하신 거죠. 안거도 계속했습니다. 안거를 하고 오면 충전이 돼 그런지 주지 일도 더 열심히 하게 되더라고요. 최근에는 은사 스님이 86세가 되신 뒤 노환으로 건강이 나빠져 수발을 드느라 안거를 못 해 아쉽긴 합니다.” 

    그는 주지를 맡아 세속에 나오더라도 반드시 지키겠다고 결심한 것이 있다. 부처님 법대로 계율을 지키며 살겠다는 것이었다. 행자 시절에도 사찰 일꾼들의 새참으로 라면을 끓이다 남은 것을 먹었는데 그것이 쇠고기라면인 걸 알고 고기를 먹지 않겠다는 계를 어긴 것에 대한 속죄의 의미로 3000배를 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그는 주지를 맡은 지 20여 년이 됐지만 음주나 육식을 하지 않고 자기 방은 스스로 치우는 등 여전히 규율을 지키고 있다. 


    청정한 계율을 지키고 혈기 넘치는 젊은 수행승이 주지로 오자 절에도 활력이 넘치기 시작했다. 어린이집을 만들고 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백일장이나 신도들을 위한 음악회 등 문화적 향기를 불어넣으면서 부산지역 포교의 중심 사찰로 점점 발돋움했다. 백일장은 22회, 음악회는 17회를 맞을 정도로 연륜이 쌓였다. 백일장은 교육부장관상, 부산시교육감상 등을 주는 주요 행사가 됐다. 주위에선 “저 뻣뻣한 스님이 주지 생활을 이렇게 잘할 줄 몰랐다”고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고 한다. 

    “절 하면 고리타분한 수행공간이라는 인식을 갖기 쉽죠. 저는 절을 공원처럼, 놀이터처럼 찾아오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어요. 부산도 대도시지만 좀처럼 공연 등 문화행사를 접하기 쉽지 않습니다. 특히 청소년들을 위해 다양한 행사를 마련하면서 절이 젊어지고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는 공간이 됐습니다.” 

    그런 그가 한순간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된다. 자신에게 여전히 ‘뻣뻣 존자’ 기운이 남아 있다는 것이었다. 

    “제가 어느 순간 신도에게 호통을 치고 있더라고요. 그 모습을 깨닫고 저 스스로 놀랐습니다. ‘내가 신도에게 큰소리칠 주제가 되는가, 내가 잘난 줄 알고 살았구나’ 하는 반성과 함께 제 표정과 말투 등을 되돌아보게 됐습니다. 지금은 어린이집 아이들이 ‘스님 할아버지’라며 저에게 안길 정도가 됐어요.” 

    그는 그래서 깨달음의 의미도 다시 잡고 있다. 

    “전통적인 깨달음이라면 아직 그 경지에 이르지 못했죠. 하지만 수행만 한다고 도를 깨닫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 부딪치면서 뾰족한 마음을 둥글게 하는 것, 그리고 부처님 말씀대로 자비로운 마음을 갖는 것, 그것이 깨달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날카롭고, 차갑고, 바늘로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올 정도였지만 지금은 신도가 일을 잘 못해도 찔러서 상처를 내지 않고 둥글둥글 넘어갑니다.” 

    그는 2005년 복지법인을 만들어 노인복지 등에 힘쓰고 있다. 법인에서 일하는 사람만도 100여 명이 된다. 여기 오는 노인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일조하고 있는 셈이다. 그는 신도들과 소통하고자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스토리를 하고 있다. 새 책의 내용은 여기 올린 글에서 가져온 것이 많다. 페이스북은 ‘맑은 영혼을 품은 혜원에서’라는 제목으로 6년째 하고 있다. 하루에 다녀간 사람이 많을 때는 5000명에 가깝다. 카카오스토리는 ‘원허 스님 맑은 세상 만들기’란 이름으로, 밴드는 지역민을 위해 1000명으로 한정해놓고 운영하고 있다. 

    그는 신도들에게 매일 생활을 되돌아볼 것을 강조한다. 부처님 법대로 살았는지 종이에 적어가며 확인해보라는 얘기다. 그게 처음에는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쌓이고 쌓이다 보면 그렇지 않은 사람과 엄청난 차이가 나고 어느새 법대로 살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가장 어리석은 일은 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거예요. 잘못한 것을 참회하고 다시는 저지르지 않겠다고 다짐하면서 실천하는 사람이 가장 지혜롭습니다. 제가 주지가 된 뒤 20여 년 동안 이 하루하루의 반성을 신도들에게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낸 책도 키워드가 ‘알아차림’이다. 자신의 마음을 알아차리는 것, 이 마음이 무엇이고 어디서 오는가를 살피는 것이 수행의 바탕이 된다는 얘기다. 

    “이렇게 하면 자신이 집착하는 생각들이 스스로 풀어지면서 자신을 힘들게 하던 것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요. 또 그렇게 내 마음을 알아차리면 상대 마음도 알아차릴 수 있고, 그만큼 이해의 폭도 넓어지게 됩니다. 아까 말씀드린 자비의 마음도 절로 나게 되는 거죠. 그게 부처님오신날의 뜻이기도 하고요.” 

    그에게 앞으로 어떻게 살고 싶은지 물었다. 

    “하하, 40대 젊은 스님에게 빨리 사찰을 맡기고 토굴에 들어가 그동안 못다 한 수행을 실컷 하고 싶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