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94

..

역사를 소비하는 시대

  • 출판 칼럼니스트

    입력2007-07-16 09:5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역사를 소비하는 시대
    파리로 간 조선의 궁중 무희가 있다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두 편의 소설이 출간됐다. ‘리심’과 ‘리진’이다. 김탁환은 ‘리심’ 외에도 ‘나, 황진이’ ‘백탑파’ 등의 소설을 통해 줄곧 ‘역사 이야기꾼’임을 자처했다. 하지만 ‘리진’을 출간한 신경숙은 ‘풍금이 있던 자리’ ‘깊은 슬픔’처럼 내면에 귀 기울이는 작가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파격적인 행보다.

    ‘태백산맥’ 등 대하소설 3부작을 쓴 조정래도 얼마 전 ‘오 하느님’이라는 짧은 역사소설을 발표했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직후 미군 포로가 된 독일 군복 입은 아시아인의 사진을 소재로 삼았는데(사진 속의 아시아인은 놀랍게도 자신을 한국인이라고 밝혔다), 공교롭게 조정래뿐 아니라 다른 문인도 소설화하려고 했다는 후문이다.

    그러고 보니 2000년 이후 연애나 미스터리 장르는 일본소설에 자리를 내주고, 순수문학은 유럽문학에 양보하면서 우리 소설이 찾아낸 분야가 역사소설이 아닌가 싶다. ‘칼의 노래’로 돌풍을 일으킨 김훈도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남한산성에 47일간 머문 치욕의 기록을 담은 ‘남한산성’을 발표했다. 신예 소설가 김경욱은 귀화한 네덜란드인 박연의 삶을 재구성한 ‘천년의 왕국’을, ‘미실’의 작가 김별아는 ‘논개’를 발표했다. 이뿐 아니다. 올 여름시장에는 김연수가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한 유격대 이야기를 담은 ‘밤은 노래한다’를, 김탁환은 ‘백탑파’ 시리즈 완결편을 발표할 예정이다.

    최근 역사소설 붐에서 굳이 기원을 따지면 ‘다빈치 코드’를 원조로 삼아야 한다. 김훈은 ‘다빈치 코드’ 이후의 역사소설을 ‘뉴에이지 역사소설’이라 부르는 걸 보고 장난스럽게 전통적 역사소설을 ‘올드에이지 역사소설’이라고 부르던데, 이 말에 수긍이 갈 정도로 ‘다빈치 코드’ 이후의 역사소설은 전형성을 탈피했다. 우선 올드에이지 역사소설이 영웅담이나 성적 농담이 가득한 야사 또는 민족주의를 목적으로 삼았다면, 뉴에이지 역사소설에서는 역사가 사라지고 개인만 남는다(실제로 뉴에이지 역사소설에서 역사적 사실을 설명하는 부분은 건너뛰고 읽어도 무방하며, 읽었다 해도 휘발성이 강하다).

    신경숙의 ‘리진’ 역시 역사적 사실에서 소재를 가져왔지만, 딱히 역사소설이라 부를 수 없다. 소설의 전반부는 리진을 사모하는 프랑스 공관 콜랭의 그리움을 담은 역사 로맨스로 읽히고, 후반부는 시대를 앞서 근대를 경험한 여성 인물이야기로 읽힌다.



    작가들이 너도나도 역사소설에 뛰어드는 현상은 상상력과 소재 고갈에 일차적 원인이 있다. 하지만 그것만은 아니다. 뉴에이지 역사소설은 공유와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웹2.0 시대와 잘 맞는다. 군림하는 역사가 아니라 상상력을 발휘해 참여하는 역사, 다시 말해 역사도 소비하는 디지털시대의 산물이다.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