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94

..

“용 꼬리 하느니 뱀 대가리 할래요”

야구 유망주들 메이저리그 기피 … 몰락 해외파 1세대 뒤이을 선수층 형성 안 돼

  • 김성원 JES 기자 rough1975@jesnews.co.kr

    입력2007-07-11 17:4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용 꼬리 하느니 뱀 대가리 할래요”

    정영일 서재응 추신수 박찬호(왼쪽부터).

    마쓰자카(보스턴)의 삼진 퍼레이드를 지켜보고만 있어야 하는가. 이치로(시애틀)의 연속경기 안타 기록을 부럽게 바라봐야만 하는가.

    메이저리그가 별.볼.일. 없어졌다. 코리안 메이저리거가 사라진 탓이다. 4월2일(이하 한국시간) 막을 올린 2007 메이저리그 개막 로스터에 포함된 한국인 선수는 서재응 류제국(이상 탬파베이), 김병현(플로리다) 3명. 지금은 서재응과 류제국이 마이너리그에 가 있어 김병현 혼자 남아 있다. 그야말로 씨가 마른 셈이다.

    1994년 박찬호의 메이저리그 진출 이후 코리안 빅리거는 메이저리그에서 동양인 파워를 과시하는 세력 중 하나였다. 2004년에는 무려 7명의 한국인 선수가 메이저리그 무대를 누볐다. 그러나 지금은 모두 사라졌다. 이유가 뭘까. 제2의 박찬호, 제2의 최희섭은 왜 나오지 않는 걸까.

    2003년 이후 미국행 단 3명뿐

    메이저리그=박찬호. 한국에서 통용되던 등식이다. 이 공식이 최근 수년간 사라졌다. 텍사스 레인저스와 5년간 6500만 달러의 대형 계약에 성공한 뒤 허리 부상과 그에 따른 부진으로 박찬호는 전성기 모습을 볼 수 없게 됐다. 맏형 박찬호가 무너진 뒤 서재응이 잠깐 빛을 발했으나 꾸준히 두 자릿수 승수를 거두는 투수는 사라진 셈이다. 박찬호는 올해 뉴욕 메츠와 두 번째 FA 계약을 한 뒤 트리플A에서 시즌을 시작했고, 빅리그 입성이 좌절돼 휴스턴과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후반기 반전을 노리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던 한 투수가 무너지자 코리안 메이저리거의 족보도 어디론가 사라진 셈이다.



    성공은 확률 게임이다. 많은 숫자가 있어야 그중 빅리그로 올라가는 수가 많아진다. 해외파 몰락의 가장 큰 원인으로 해외 진출 선수 수의 감소를 들 수 있다. 빅리거를 꿈꾸며 태평양을 건너는 선수가 크게 줄다 보니 성공하는 선수도 적은 것이다.

    1994년 박찬호가 ‘코리안 빅리거’ 1호로 성공시대를 열어젖힌 뒤 아마 유망주들의 미국 진출 러시가 이어졌다. 그러다 2001년 이후 미국 진출 선수 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 1994년부터 2000년까지 7년간 21명이 미국 야구에 문을 두드렸지만, 2001년부터 올해까지는 11명으로 줄었다. 2003년 이후에는 단 3명에 불과하다. 그것도 LA 에인절스에 입단한 정영일을 제외하면 잠시 ‘야구 유학’을 떠나듯 50만 달러가 못 되는 액수를 받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적은 계약금으로 미국에 진출한 선수가 빅리그에 진출하기는 쉽지 않다. 그만큼 팀에서 거는 기대와 지원이 적기 때문이다.

    펄펄 나는 일본인 빅리거들과 대조

    “용 꼬리 하느니 뱀 대가리 할래요”
    미국 프로야구로 떠나는 인원의 감소는 한국 프로야구 시장의 구조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2000년부터 도입된 한국 프로야구의 FA 시장은 선수 1명당 50억원 수준이다. 최소 3∼4년 마이너리그에서 장거리버스를 타고 햄버거 먹으면서 고생하느니 데뷔 첫해 보란 듯이 두 자릿수 승수도 거두고 주전 라인업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는 게 낫다고 판단하는 선수가 많다. 세금과 여러 비용을 감안하면 한국에서 ‘야구 부자’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크다는 얘기다. 또 갈수록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FA 자격 연한도 아마야구 유망주들이 한국 프로야구에서 경험을 쌓은 뒤 나중에 미국 진출을 고려해보겠다는 마음을 먹게 하고 있다.

    현재로선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 과연 박찬호가 빅리그 재입성 기회를 잡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다행히 투수들의 무덤이라는 콜로라도를 떠나 플로리다에 둥지 튼 김병현은 5선발로 꾸준히 출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인 메이저리거의 전망이 밝아 보이진 않는다. 호투하다 부상자 명단에 오른 백차승(시애틀)과 계속해서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는 좌타자 추신수(클리블랜드)도 ‘흐림’이다.

    ‘포스트 박찬호’를 이끌 선수가 빨리 나타날 것 같지도 않다. 정영일 등은 지난해 미국에 진출, 최소 3년 이상은 마이너리그에서 경험을 쌓아야 한다. 일본 프로야구 선수들이 자국 프로야구 리그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메이저리그에서 성공신화를 이룩하는 것과는 애초부터 다른 방식. 일본은 1995년 노모 히데오를 시작으로 스즈키 이치로(시애틀), 마쓰이 히데키(뉴욕 양키스), 마쓰자카 다이스케 등 자국 리그를 거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일본 톱=세계 톱이라는 공식을 만들어가고 있다.

    ▼ 미국 내 한국 출신 선수 현황
    선수 소속 현 상황
    박찬호 휴스턴 트리플A 라운드락
    서재응 탬파베이 개막 로스터 포함, 이후 마이너리그 강등
    김선우 샌프란시스코 트리플A 프레스노
    백차승 시애틀 트리플A 타코마
    김병현 플로리다 5선발
    추신수 클리블랜드 트리플A 버펄로, 현재 부상자 명단
    류제국 탬파베이 마이너리그 강등
    정영일 LA 에인절스 루키 리그 소속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