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세 이상 중·고령자들이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수원 박사는 올 2월부터 8월까지 반년 동안 그 해답을 찾아다녔다. 이는 노동부로부터 의뢰받은 연구프로젝트 ‘중·고령자 능력개발을 위한 제2의 인생설계 지원프로그램 연구’의 일환이었다.
정부 각 부처에서 내놓은 각종 정책과 자료 검토는 기본. 김 박사는 해외 선진사례와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10여 명의 전문가들과 지속적인 회의를 통해 의견을 주고받았다. 수십명의 중·고령자들과 일대일 심층면담조사도 실시했으며, 수백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김 박사는 국내 중·고령자들이 가지는 세 가지 특성을 밝혀냈다. 하나는 중·고령자 대부분이 재취업 의지가 높은 데 비해 효과적인 진로결정과 방향을 수립할 수 있는 세부정보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중·고령자들이 나이, 건강, 고용환경 등에 대해 스스로 부정적인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 대부분의 중·고령자들이 자신감을 상실하는 이유를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나머지 하나는 중·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교육보다는 개인별 특성을 살려서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개별심층상담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경험 있는 기관이 선정하는 것이 효율적
김 박사는 이런 특성을 바탕으로 최근 ‘제2의 인생설계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나름의 해답을 찾은 셈이다. 이 프로그램은 정부 차원에서 연구한 최초의 은퇴지원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프로그램은 ‘자기이해`→`생애계획 수립`→`직업탐색`→`합리적 의사결정`→`효과적 실행 및 준비`→`사내·외 교육 및 기타 활동→마무리’ 등 7단계로 구성돼 있다. 전체적으로 3~4개월의 기간을 필요로 한다.
김 박사는 “프로그램 운영기관은 노동부 산하 ‘종합고용지원센터’에서 중·고령자에 대한 교육과 상담 등의 경험이 있는 기관이나 컨설팅업체 등을 대상으로 신청 받아 선정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종합고용지원센터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경인 등 6개청에 각 지역별로 44개의 종합센터와 37개의 일반센터 등 모두 81개의 서비스망을 확보하고 있다. 그만큼 중·고령자들에게 접근성이 높다.
홍보도 중요하다. 중·고령층은 젊은 층에 비해 정보수집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있다는 사실 자체를 알지 못한 채 교육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박사는 종합고용지원센터별로 지역 언론과 경제단체, 지방자치단체, 구인업체 등 관련기관의 장 또는 고위관계자가 참여하는 ‘운영협의회’를 구성하면 해당 지역 전체에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운영 지원금 문제는 어떤 방법이 가장 합리적일까. 비교적 여유 있는 대기업에는 일정한 부담을 줘도 감당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버겁다. 따라서 대기업은 교육비용의 절반 정도를 지원해주고, 경제적 부담이 큰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전액 지원해야 한다는 게 김 박사의 시각이다. 실제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 다니는 중·고령자들이 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고 있다.
대기업보다 중소기업 중·고령자들 필요성 절실
김 박사는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후에도 효과적인 보급과 확산, 그리고 질적 개선을 위해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며 네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는 중·고령자가 프로그램 참여 이후 실질적인 취업이나 여가 및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유지, 강화해야 한다는 것. 둘째는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확산된 후 취업과 여가 및 봉사활동에 성공한 중·고령자를 초빙해 이들의 어려움과 성공요인을 프로그램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프로그램 진행자와 상담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이 실질적이고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는 물론, 지속적인 수정과 보완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기업이 근로자들을 위해 퇴직준비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미국처럼, ‘제2의 인생설계프로그램’이 언제쯤이나 우리나라에 일반화된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궁금하다.
정부 각 부처에서 내놓은 각종 정책과 자료 검토는 기본. 김 박사는 해외 선진사례와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10여 명의 전문가들과 지속적인 회의를 통해 의견을 주고받았다. 수십명의 중·고령자들과 일대일 심층면담조사도 실시했으며, 수백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김 박사는 국내 중·고령자들이 가지는 세 가지 특성을 밝혀냈다. 하나는 중·고령자 대부분이 재취업 의지가 높은 데 비해 효과적인 진로결정과 방향을 수립할 수 있는 세부정보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중·고령자들이 나이, 건강, 고용환경 등에 대해 스스로 부정적인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 대부분의 중·고령자들이 자신감을 상실하는 이유를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나머지 하나는 중·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교육보다는 개인별 특성을 살려서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개별심층상담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경험 있는 기관이 선정하는 것이 효율적
김 박사는 이런 특성을 바탕으로 최근 ‘제2의 인생설계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나름의 해답을 찾은 셈이다. 이 프로그램은 정부 차원에서 연구한 최초의 은퇴지원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프로그램은 ‘자기이해`→`생애계획 수립`→`직업탐색`→`합리적 의사결정`→`효과적 실행 및 준비`→`사내·외 교육 및 기타 활동→마무리’ 등 7단계로 구성돼 있다. 전체적으로 3~4개월의 기간을 필요로 한다.
김 박사는 “프로그램 운영기관은 노동부 산하 ‘종합고용지원센터’에서 중·고령자에 대한 교육과 상담 등의 경험이 있는 기관이나 컨설팅업체 등을 대상으로 신청 받아 선정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종합고용지원센터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경인 등 6개청에 각 지역별로 44개의 종합센터와 37개의 일반센터 등 모두 81개의 서비스망을 확보하고 있다. 그만큼 중·고령자들에게 접근성이 높다.
홍보도 중요하다. 중·고령층은 젊은 층에 비해 정보수집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있다는 사실 자체를 알지 못한 채 교육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박사는 종합고용지원센터별로 지역 언론과 경제단체, 지방자치단체, 구인업체 등 관련기관의 장 또는 고위관계자가 참여하는 ‘운영협의회’를 구성하면 해당 지역 전체에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운영 지원금 문제는 어떤 방법이 가장 합리적일까. 비교적 여유 있는 대기업에는 일정한 부담을 줘도 감당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버겁다. 따라서 대기업은 교육비용의 절반 정도를 지원해주고, 경제적 부담이 큰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전액 지원해야 한다는 게 김 박사의 시각이다. 실제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 다니는 중·고령자들이 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고 있다.
대기업보다 중소기업 중·고령자들 필요성 절실
김 박사는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후에도 효과적인 보급과 확산, 그리고 질적 개선을 위해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며 네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는 중·고령자가 프로그램 참여 이후 실질적인 취업이나 여가 및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유지, 강화해야 한다는 것. 둘째는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확산된 후 취업과 여가 및 봉사활동에 성공한 중·고령자를 초빙해 이들의 어려움과 성공요인을 프로그램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프로그램 진행자와 상담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이 실질적이고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는 물론, 지속적인 수정과 보완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기업이 근로자들을 위해 퇴직준비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미국처럼, ‘제2의 인생설계프로그램’이 언제쯤이나 우리나라에 일반화된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궁금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