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병욱(39) 씨는 정신을 바짝 집중했다. 그리고 오래된 동영상 속에서 흘러나오는 선율에 귀를 기울였다. 아무리 들어도 그 선율은 안익태(1906~1965)의 ‘한국 환상곡’이었다. 가슴이 쿵쿵 뛰었다. 동영상을 자세히 살펴보니 무대에 걸려 있는 일장기가 보였다. 마음이 납덩어리처럼 무겁게 가라앉았다.
3월, 한국 음악계는 ‘안익태 친일 논란’이라는 폭풍에 휩싸였다. 논쟁의 발단은 공연전문지 ‘객석’ 3월호에 실린 송병욱 씨의 논문. 이 논문에서 송 씨는 안익태가 만주국 창립 10주년을 기념하는 작품을 작곡하고 이를 직접 베를린 무대에서 지휘했다고 주장했다. 그 증거로 송 씨는 자신이 찾아낸 7분 길이의 동영상을 제시했다. 이 동영상은 1942년 옛 베를린 필하모니 홀에서 열린 베를린 방송교향악단의 ‘만주국 창설 10주년 기념 음악회’를 촬영한 것이다. 안익태가 자작곡인 ‘만주국’을 지휘한 연주회 동영상 속에는 무대에 걸린 일장기가 선명하다. 또 송 씨는 “‘만주국’에는 ‘한국 환상곡’에 나오는 선율 두 가지가 나타난다”고 밝혔다.
만주국 기념음악회 지휘 동영상 찾아
놀라운 사실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송 씨는 ‘객석’ 4월호에 연이어 실은 논문에서 안익태의 곡인 ‘강천성악’이 일본 궁중음악인 ‘에텐라쿠’ 선율을 차용했다는 점, 1938년 아일랜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안익태가 한국 전통음악에 대해 설명하며 실은 일본 에텐라쿠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 등을 추가로 밝혀냈다.
송 씨의 논문이 일으킨 여파는 엄청났다. 한두 편의 음악이나 연주를 통해 친일 여부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신중론부터 이참에 애국가를 바꿔야 한다는 급진적인 주장까지 나왔다. 민족음악학자인 중앙대 노동은 교수(국악)는 송 씨의 연구에 대해 “자료 가치가 상당히 뛰어나다. 한국 환상곡 자체에 대한 음악학적 분석을 시도해야 할 필요를 느낀다”고 말했다. 노 교수는 “특히 ‘강천성악’이 에텐라쿠의 선율을 차용했다는 것은 중대한 의미가 있다. 에텐라쿠는 일왕 즉위 시에 연주될 정도로 일본인들의 혼이 담긴 음악이다. 이런 음악을 자신의 곡에 차용할 정도라면 안익태의 친일은 ‘강압에 의해 이뤄진 친일’이 아니라 ‘적극적 친일’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렇다면 이 놀라운 발견을 해낸 송 씨는 과연 누구일까? 그는 어떤 이유에서 안익태의 행적을 뒤쫓게 된 것일까? 현재 베를린의 훔볼트 대학에서 음악학을 전공하고 있는 송 씨는 고려대 법대를 졸업하고 독일로 건너가 음악학을 새로 시작한 늦깎이 유학생이다. 아이로니컬한 사실은 송 씨가 어린 시절부터 안익태를 존경해왔다는 점.
“중학교 때 TV에서 안익태 선생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를 감명 깊게 보았습니다. ‘우리가 어려운 시기에 큰 활동을 하고, 우리 민족을 음악으로 도우려고 하신 분이구나’라고 생각했지요. 그리고 대학교 때 청계천의 중고 LP가게에서 1961년 LA 필하모닉이 연주한 ‘한국 환상곡’ 음반을 구했습니다. 안익태 선생이 직접 지휘한 연주였어요. 의미 깊은 음반을 구해서 굉장히 기뻤지요.”
안익태의 일본 이름인 ‘에키타이 안’이 선명한 1942년 빈 심포니 연주회 프로그램과 안익태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에게 독일어로 쓴 편지(왼쪽에서 세 번째).
마침 한국의 한 기획사가 안익태에 대한 연주회를 기획하며 송 씨에게 원고를 청탁해왔다. 흔쾌히 응한 송 씨는 지난해 9월부터 안익태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어디선가 “안익태가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영상이 독일에 남아 있다”는 말을 듣고 베를린의 도서관들을 수소문했다. 마침내 베를린의 ‘분데스 아히브’라는 자료원이 이 영상을 소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바로 ‘만주국 창립 10주년 기념 음악회’ 촬영 영상이었다. 영상을 빌려 재생해 본 송 씨는 영상 속에 흐르는 선율에서 대학시절부터 즐겨 들었던 ‘한국 환상곡’의 선율을 잡아냈다.
“아무래도 이상하다 싶었습니다. 그 후로 아일랜드 신문이 실은 안 선생 인터뷰 기사들도 읽어봤는데 그 인터뷰 내용이 국악이 아니라 가가쿠 등 일본 아악에 대한 이야기 같았습니다. 그래서 독일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연구소 측에 연락해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안익태 사이에 교환된 편지 사본들을 받았습니다. 그 편지에서 안 선생 본인이 1942년의 연주 주관단체가 독일-일본협회라고 밝히고 있었습니다.”
송 씨의 연구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의 논문에는 ‘안익태가 1942년 베를린의 일본 외교관 이하라 고이치의 집에 머물렀다’는 대목이 나온다. 송 씨는 이 사실을 밝혀내기 위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에게 보내진 편지에 쓰인 안익태의 주소를 베를린 시 당국에 가져갔다. ‘1942년에 이 주소에 누가 살고 있었나’를 문의하러 간 것이다. 시 당국은 ‘일본 외교관인 이하라 고이치며 당시 이 주소는 치외법권 지역이었다’고 확인해주었다.
“애국가 바꿔야 한다는 의견은 시기상조”
어둠 속에서 발을 내딛듯 송 씨의 연구는 한 발짝 한 발짝씩 진행됐다. 1942년 ‘만주국’ 연주회의 평을 찾기 위해 당시 베를린 지역 신문을 모두 뒤지기도 했다. 그중 한 신문의 평은 ‘안익태가 이 연주회를 통해 베를린에서 지휘자로 데뷔했다’고 쓰고 있었다. 그렇다면 안익태가 1930년대에 베를린에서 지휘를 했다는 기존의 주장은 틀린 것이 된다.
연구를 진행하며 송 씨의 갈등은 커져갔다. 어린 시절부터 품어왔던 ‘음악으로 우리 민족을 도운 애국자 안익태’의 이미지를 바로 자신의 손으로 허물어뜨리게 된 셈이었다. “스페인에 계신 안 선생 유족 측에 연락해 제가 찾아낸 사료들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1937년부터 45년 사이에 안 선생이 쓰신 에세이나 일기 등의 사본을 보내달라고 부탁드렸지요. 그 사이에서 ‘일본에 협조하게 돼 나도 괴롭다’는 기록이 한 줄이라도 남아 있기를 바란다고요. 그러나 유족 측은 ‘도와줄 수 없다’는 대답만 되풀이했습니다.”
베를린의 송병욱 씨. 그는 “아직도 안익태에 대해서는 묻혀 있는 자료들이 많다. 한국의 음악단체나 재단에서 연구를 계속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송 씨의 연구가 놀랍고 대단한 것인지, 아니면 일부의 지적대로 몇 가지 사실을 전체로 확대시킨 것인지에 대해서는 판단이 엇갈릴 수 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 한 가지는 영원히 어둠 속에 묻혔을지도 모르는 자료들이 송 씨의 치밀한 연구에 의해서 햇빛을 보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비록 ‘애국자 안익태’가 아닌, 그 반대의 사실을 증명한다 해도 자료의 역사적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송 씨는 자신이 아니라도 한국의 음악단체나 학자들, 또는 재단이 이 연구를 계속 진행시켜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안익태 기념재단 측은 송 씨의 연구에 대해 “음악학자가 안익태의 친일 여부를 판단할 권리는 없다”며 10월에 열릴 안익태 탄생기념 학술회의에 송 씨를 초청할 의사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