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칫솔질은 입냄새 제거의 한 방법일 뿐, 근본적 해결책은 아니다.
그런데 문제는 자신의 입에서 냄새가 나는지를 본인이 알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양손으로 코를 감싸고 입김을 분 후 짧게 들이마셔 보거나, 혀로 손등을 핥은 다음 냄새를 맡아보는 방법이 있지만 친한 친구나 배우자, 가족을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게 가장 좋다.
사람들은 누구나 약간씩은 입냄새가 난다. 보통 잠에서 막 깼을 때나, 배가 고플 때, 입 안이 마를 때 입냄새가 심해진다. 향이 강한 음식이나 흡연도 입냄새를 심하게 만든다.
이런 일시적인 입냄새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양파, 마늘, 파, 달걀, 겨자 등 향이 강한 재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이나 고단백, 고지방 음식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어쩔 수 없이 향신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을 먹었다면 녹차를, 마늘을 먹은 경우엔 우유를 마시는 게 좋다. 음식을 먹은 뒤에는 반드시 이를 닦고, 치실 또는 치간 칫솔을 사용해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지 않도록 한다. 급히 사람을 만나야 하는데 입냄새 때문에 걱정이 된다면 임시방편으로 구강청정제를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
지속적으로 입냄새가 나는 경우 원인의 90%는 입 안에 있다. 특히 혀에 희거나 누렇게 끼는 설태가 문제인 경우가 많다. 설태는 세균이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입냄새를 만든다. 이 경우 물만 묻힌 칫솔로 혀 안쪽과 뒤쪽을 꼼꼼히 닦아주거나 혀 세정기를 사용해 세정하면 도움이 된다.
충치나 잇몸질환, 불량한 보철물(상한 이 위에 씌운 크라운이나 브리지, 틀니)이 주변 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입냄새가 나기도 한다. 충치나 잇몸질환은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철물이 치아 주변 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입냄새를 유발하는 경우에는 염증 치료와 함께 보철물을 조절하거나 교체해야 한다. 들쭉날쭉한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입냄새가 날 때에는 치열교정을 하면 도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