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66

2006.12.26

공동체 위한 결의 필요한 때

  • 입력2006-12-26 11:3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동체 위한 결의 필요한 때
    최근 일본에 다녀왔는데, 일본 청소년들의 힘없는 눈동자와 후줄근한 옷매무새에 놀랐다. 입시지옥에 시달리는 우리 청소년들만 마냥 불쌍하게 여겼는데, 그들을 보니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기가 펄펄 살아 있다는 생각에 감격스럽기도 하고 안심도 됐다.

    일본 청소년들이 우리 청소년들보다 기가 죽은 이유를 곰곰 따져보다가 우리나라보다 일본이 훨씬 개인주의가 덜 발달한 때문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 청소년들은 일류대학 입학이라는 지상목표를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도록 강요당하기는 해도, 우리 사회가 개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다 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의, 혹은 청소년들의 ‘기(氣)’가 살아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개인주의를 죄악이나 되는 것처럼 비난하지만, 사실은 상당히 지독한 개인주의자들이다. 그 개인주의가 서구에서 형성될 당시의 원형에 가까운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지만, 어쨌든 우리 사회는 개인적 의욕의 성취 빈도가 매우 높은 사회 중 하나다. 한국의 20세기 마지막 3분의 1은 개개인의 각개약진이 국가의 종합적인 발전과 번영을 낳은 행운의 시기였다. 모순과 부작용이 엄청나게 많기는 했지만….

    혹자는 우리나라가 혈연, 지연, 학연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개인주의가 발달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어느 정도 사실이긴 해도 우리나라의 혈연, 지연, 학연은 개인주의에 봉사하는 측면이 강하다. 혈연이나 지연, 학연을 이용해서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면서 함께 이득을 얻는 유형이 대부분이며 오히려 혈연이나 지연, 학연을 위해 자기희생을 하는 사례는 별로 없다.

    물론 이런 식의 개인주의 발현은 저급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개인주의이며, 확고한 자립심과 자력으로 모든 것을 성취하는 진정한 개인주의 정신에 위배된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개인주의를 부인하면서도 개인주의의 열매를 풍성히 수확했다.



    그러나 ‘기’가 살아 있다는 것이 전적으로 좋은 것만은 아니다. 모두 자신의 목표를 향해 옆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달리다 보니 사람은 거칠어지고 사회에는 혼란과 불의, 무질서가 팽배해졌다.

    일본인들은 어떤 틀 속에서 ‘영위되는’ 삶을 수락한 사람들처럼 보인다. 즉, 태어날 때부터 유전자에 그런 삶이 각인된 듯하다. 그들은 생존조건에 기인하는 제약과 그들 사회의 요구 및 규범을 절대적으로 수락하고 체화(體化)한다. 그래서 일본의 시골은 세계 어느 나라의 시골에서도 볼 수 없는 청결함과 질서, 소박한 합리성의 전범(典範)이 되곤 한다. 일본이 근세사에서 가장 행복했던 때가 명치유신 이래 온 국민이 한마음으로 근대화와 부강선진국 건설을 위해 올인하던 때가 아닐까 싶다. 이를 계기로 일본인의 자제력이 저력이 되었는데, 그 목표가 아득히 멀어지니 이젠 그 자제력 때문에 창의력의 발현이 어려워진 것이 아닐까.

    자기 욕망 절제와 공동체 위한 정의 우선으로 여겨야

    우리도 이미 경제가 장기 침체의 늪에 빠졌다는 징후가 짙다. 그러나 우리는 일본 민족처럼 주어진 조건을 묵묵히, 절대적으로 수락하는 민족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이 격렬할 테고, 따라서 쉽게 벗어날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이제 한 호흡 쉬면서 사회의 많은 모순을 척결하고 가지 않으면 재화는 증가해도 사회적 모순과 무질서가 상호 파괴를 조장해 더욱 혼란스러워질 것이다. 이제는 진정한 번영과 선진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사회질서를 회복하고 불합리를 제거해 사회 기반을 다시 다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욕 발현보다는 자기 욕망의 절제와 공동체를 위한 정의를 우선으로 여기는 결의, 의지가 필요하다.

    내년에도 경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모든 국민이 공동체 의식을 갖고 사회와의 조화를 고려해 목표를 조절하고 제약을 수락한다면, 내년에는 국민의 삶이 좀더 편안하고 유쾌해질 수 있을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