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46

..

도리를 실천함에 힘씀

  • 홍동표 도서출판 늘품미디어 상임연구위원

    입력2006-07-31 11:2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 성리(性理)를 따지는 학문은 도를 알고 자신을 알아, 그 실천할 도리를 스스로 힘쓰는 것이다. ‘주역대전’에 이르기를 “이치를 깊이 공부하고, 사람의 본성을 다하면 천명에 이르게 된다”고 하였고, ‘중용’에서는 “능히 자기의 본성을 다해야만 능히 남의 본성도 다하게 되며, 능히 만물의 본성도 다하게 된다”고 하였으며, ‘맹자’에서는 “그 마음껏 하는 자는 그 본성을 알게 되니, 그 본성을 알게 되면 천리(天理)도 알게 된다”고 하였다. 성리학은 그 근본을 밝히는 학문인 것이다.

    [나] 옛날에 학문하던 자는 본성이 하늘에 근본한 것을 알고, 이치가 하늘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고, 인륜이 어디나 통하는 도(道)라는 것을 알았다.

    효도와 우애, 충성과 신의로써 하늘을 섬기는 근본으로 삼으려 하고, 예절과 음악, 형정1)으로써 백성을 다스리는 도구로 하며, 성의와 정심2)으로써 하늘과 사람이 서로 교제하는 핵심으로 하였는데 이것을 인(仁)이라 하였다. 인을 행하는 것을 서(恕)라 하고, 인을 베푸는 것을 경(敬)이라 하며, 그 스스로의 행동을 항상 중화3)에 맞게 하였다. 이와 같을 뿐이고 많은 말이 있을 수 없다. 비록 많은 말을 하여도 이것은 중언부언할 뿐이고 다른 말이 있을 수 없다.

    [다] 오늘날 성리학을 하는 자는 이(理), 기(氣), 성(性), 정(情), 체(體), 용(用)이니 하고 본연(本然), 기질(氣質)을 말하여 “이(理)가 발한다” “기(氣)가 발한다” “한 가지만 지적한 것이다” “정해서 지적한 것이다” “이는 같아도 기는 다르다” “기는 같은데 이가 다르다” 한다.

    그래서 세 줄기 다섯 가지에 천 개의 작은 가지 만 개의 잎사귀를 털같이 나누고 실같이 쪼개서, 서로 성내고 떠든다. 어리석은 마음으로 잠잠히 궁리하고는, 성낸 기운으로 목줄기를 붉히며 스스로 천하의 오묘한 이치를 다 깨달았다 한다. 그리하여 동쪽으로 두드리고, 서쪽으로 부딪치며, 꼬리만 잡고 머리를 빠뜨린 자가 문마다 기(旗)를 하나씩 세우고 집마다 진(陣)을 하나씩 쌓는다.



    그렇지만 세상이 다하도록 그 송사4)를 능히 결단하지 못하고, 대를 전해가며 그 원망을 능히 풀지 못한다. 자기에게로 들어오는 자는 우두머리로 삼아 주고, 자기에게서 나가는 자를 종으로 여기며, 뜻이 같은 자는 추대하고 뜻이 다른 자는 공격하여 자기 스스로 의거한 바가 극히 바르다 하니 어찌 어설프지 않은가?(중략)

    [라] 옛날에 도를 공부하는 사람을 선비라 하였다. 선비는 벼슬한다는 것으로서, 등급이 높은 자는 나라에 벼슬하고 등급이 낮은 자는 대부의 집에 벼슬하였다. 이로써 임금을 섬기고, 이로써 백성에게 은덕을 베풀고, 이로써 천하와 국가의 일을 다스리는 자를 선비라 하였던 것이다.

    그중에 인륜을 해치는 변란을 만난 사람으로서 백이, 숙제와 우중, 이일 같은 사람은 세상을 피해서 산에 숨었으나 그 외에는 숨은 사람이 없었다. 그런 까닭에 은벽5)한 이치를 찾으며, 괴벽한 행동을 하는 것을 성인이 경계하였다.

    [마] 오늘날 성리학을 하는 사람은 스스로 은거한다고 말하며, 비록 세상을 떠나 사는 사람이라도 의리로 볼 때 그 기쁨과 슬픔을 나라와 함께 하여야 할 처지인데도 벼슬하지 않는다. 비록 조정에서 세 번 부르고 일곱 번 맞이해서 예에 빠짐이 없는데도 벼슬하지 않는다. 서울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도 학문을 하면 산으로 들어가는 까닭에 산림6)이라 부른다.

    이 사람들이 벼슬할 경우에는, 오직 경연7)에서 경전의 뜻을 설명하는 것과 춘방8)에서 세자를 가르치는 관직에만 눈길을 돌릴 뿐이다. 이들에게 만약 곡식을 관리하고 군사를 다스리며, 소송을 판결하고 손님을 접대하는 일을 맡긴다면, 무리지어 일어나서 비방하여 “어진 선비를 대우하는 것이 이와 같아서는 안 된다” 한다.

    [바] 이 뜻으로 미뤄본다면, 주공은 태재9)를 할 수 없고, 공자는 사구10)를 맡을 수 없으며, 자로는 옥사11)를 판결할 수 없고, 공서화12)는 빈객과 더불어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성인이 사람을 가르칠 때에 장차 무엇을 가르치며, 임금이 이 사람들을 불러서는 장차 어디에 임용하겠는가?

    그들은 이에 스스로 꾸며 말하기를 “나는 주자를 높이 숭상한다”고 한다. 아아, 주자가 어찌 일찍이 그러하였으리오?

    [사] 주자는 육경을 연마하여 진위(眞僞)를 분별하였고, 사서(四書)를 밝히어 심오한 뜻을 개발하였다.

    조정에 들어와 관각13)의 관원(官員)이 되어서는 위태한 말과 과격한 언론으로 죽고 삶도 돌보지 않고, 임금의 숨은 허물을 공격하며, 권세 있는 신하들이 싫어하는 일을 하였다. 천하의 대세를 이야기하고, 군사의 기밀도 거침없이 말하며, 원수를 갚고 부끄럼을 씻는 대의(大義)를 천추에 펴고자 하였다. 또 지방에 내려가 고을의 태수로 있을 때는 어진 규모와 자상한 법으로 백성들 살림살이를 구석구석 살펴서 부역을 고르게 하고, 흉년과 역병을 구제하였다.

    그 큰 강령과 자잘한 조목은 한 지방 고을을 다스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라를 다스리는 데 쓰기에도 족하여 그 물러나고 머물러 있음이 정당하였다. 임금이 부르면 오고 내쫓으면 몸을 감추었으나, 임금을 사랑하고 정성스럽게 간직하여 감히 잊지 못하였다.

    정약용,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도리를 실천함에 힘씀

    다산 정약용 초상화(오른쪽)와 정약용이 펴낸 ‘아학편’.

    ● 문제

    1. 이 글에서 지은이가 말한 바람직한 학문 추구의 자세는 무엇인지 5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2. 위 글에 나타난 당시 선비들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는 무엇으로부터 기인하는지 100자 내외로 설명하시오.

    3. 이 글의 글쓴이의 입장에서 다음 에 나타난 양반의 태도에 대해 비판하시오.

    보기]정선에 한 양반이 살았다. 이 양반은 어질고 글 읽기를 좋아하여 매양 군수가 새로 부임하면 으레 몸소 그 집을 찾아와서 인사를 드렸다. 그런데 이 양반은 집이 가난하여 해마다 고을의 환자(還子)를 타다 먹은 것이 쌓여서 천 석에 이르렀다. 강원도 감사(監司)가 군읍(郡邑)을 순시하다가 정선에 들러 환곡(還穀)의 장부를 열람하고 대노해,

    “어떤 놈의 양반이 이처럼 군량(軍糧)을 축냈단 말이냐?”

    하고, 곧 명해서 그 양반을 잡아 가두게 했다. 군수는 그 양반이 가난해서 갚을 힘이 없는 것을 딱하게 여기고 차마 가두지 못했지만 무슨 도리도 없었다. 양반 역시 밤낮 울기만 하고 해결할 방도를 차리지 못했다.

    ● 각 단락의 소주제

    [가] 성리학의 근본은 도를 알고 자신을 알아 그 도리를 실천하기 위해 스스로 힘쓰는 데 있다.

    [나] 옛날에 학문하던 사람은 하늘의 본성, 이치, 인륜이 어디나 통하는 도라는 사실을 알고 인, 서, 경을 실천하고자 했다.

    [다] 오늘날 학문하는 자들은 지엽적, 파당적인 공론만 일삼는다.

    [라] 선비란 벼슬을 함으로써 백성에게 은덕을 베풀고 천하와 국가의 일을 다스리는 자다.

    [마] 오늘날 성리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모두 은거하면서 선비의 도를 찾는다.

    [바] 오늘날 성리학자들의 주장은 과거 성현들이 벼슬한 일까지 부정하고 있는데, 주자숭상을 그 이유로 들었다.

    [사] 주자는 벼슬 하면서 도를 행하고, 백성들에게 은덕을 베풀었으며, 기쁨과 슬픔을 나라와 함께했다.

    ● 이 글에 대하여

    이 글은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오학론(五學論)’ 가운데 첫 번째 글이다. 정약용은 조선시대 실학자로서 그의 학문체계는 유학의 정신세계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유성원, 이익의 사상을 계승하여 양명학(陽明學)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이의 주자학(朱子學)에서 주장하는 실천 윤리와 북학파의 사상을 집대성했다. 이 같은 그의 사상이 잘 드러난 이 글은 당시 유학자들의 학문하는 태도를 과거 선비들과 비교해 비판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주자가 애초에 내세웠던 성리학의 학문세계로 되돌아갈 것을 주장하고 있다.

    ● 어휘 풀이

    1) 형정(刑政) : 형사(刑事)에 관한 행정. 2) 정심(正心) : 바른 마음, 또는 마음을 바르게 가짐. 3) 중화(中和) : 치우침이 없이 올바름, 또는 그러한 상태. 4) 송사(訟事) : 소송(訴訟)하는 일. 5) 은벽(隱僻) : 사람의 왕래가 드물며 구석짐. 6) 산림(山林) : 세상에 나아가지 않고 자연에 은둔하여 학문을 닦는 사람을 일컫는 말. 7) 경연(經筵) : 지난날 임금 앞에서 경서를 강론하던 자리. 8) 춘방(春坊) : 태자(太子)가 거처하는 궁궐. 9) 태재(太宰) : 나라의 정치를 총찰(總察)하여 다스리는 장관. 10) 사구(司寇) : 조선 때, ‘형조판서’를 달리 일컫던 말. 11) 옥사(獄事) : 반역·살인 등 중대한 범죄를 다스리는 일, 또는 그 사건. 12) 공서화(公西華) : 공자의 제자, 외교 수완이 뛰어났음. 13) 관각(館閣) : 춘추관(春秋館), 성균관(成均館), 예문관(藝文官), 규장각(奎章閣) 등의 주로 언사를 맡은 직임을 일컫는 말.

    ● 예시 답안

    1. 성리학의 근본은 도를 알고 자신을 알아 도를 실천하고 백성에게 널리 이익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2. 이 글에서 학문하는 자들은 지엽적이고 파당적인 공론만 일삼으며, ‘예’와 ‘형정’의 진정한 뜻을 왜곡한 채, 은거하는 것을 자랑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는 학문의 본질을 잘못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된 학문은 도를 알고 자신을 알아 실천하는 동시에 백성에게 은덕을 베푸는 것이다.

    3. 의 정선 양반은 어질고 글 읽기를 좋아하여 새로 부임하는 군수가 몸소 인사를 드릴 정도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현실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매우 무능력하다. 이러한 정선 양반의 모습은 실생활과 관련이 없는 학문, 즉 공리공론의 학문을 연구했기 때문이다. 현실 생활과 유리된 학문은 진정한 학문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정선 양반은 학문의 본질을 왜곡하여 잘못된 학문을 수행해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