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39

..

선과 악의 양면성

  • 이명재 자유기고가

    입력2008-06-02 16:3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선과 악의 양면성

    ‘프랑켄슈타인’

    선과 악. 이 세상 모든 이야기의 영원한 테마다. 영화에서도 그건 마찬가지다. 아니, 어느 예술 장르보다 두드러진다. 선과 악의 명징한 이분법, 그 단순한 대결구도는 2시간 동안 관객의 눈길을 붙잡아야 하는 영화에서는 더욱 편리한 구도다. 의인 편에 서서 악인을 응징하는 주인공의 활약을 응원하는 것은 관객들을 가장 쉽게 극에 동화시킬 수 있는 장치다.

    영화를 넘어서서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현실 구도도 선악의 어느 한 편으로 나뉜다. 사람들은 누구는 착한 사람, 누구는 나쁜 사람, 이렇게 쉽게 구분한다.

    그러나 과연 그게 진정으로 ‘현실적’일까? 성선설, 성악설에 대해 한번 생각해보자. 인간의 성정이 원래 착한 것이라는 맹자의 성선설, 반면 악한 것이라는 순자의 성악설이 있다. 나는 두 가지가 다 맞고 또한 그르다고 본다. 인간은 선하면서 악하다고 하는 게 더 맞을 듯하다. ‘선한 품성과 악한 품성은 언제든 공존한다. 다만 환경과 여건에 따라 둘 중 한쪽이 주도적으로 나타날 뿐이다’. 이렇게 보는 게 더욱 현실적이지 않을까.

    걸작 공포물에 등장하는 괴물 캐릭터는 이 점에서 큰 시사를 준다. 유명 원작소설을 영화로 옮긴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나 ‘프랑켄슈타인’에는 이성적인 과학자와 괴물이 등장한다. 범죄자의 뇌가 이식된 인조인간 괴물이 살인을 저지른다는 ‘프랑켄슈타인’은 선량한 사람과 괴물을 따로 설정한 반면,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는 동일한 인물의 상반된 모습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결국은 한 인간의 두 모습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같은 사람의 내면에 공존하는 선과 악의 양면성. 그것은 ‘파우스트’에서 파우스트 박사 안에 다 들어 있는 악마(메피스토펠레스)와 착한 인간의 야누스적인 면모이기도 하다.

    선과 악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의 품성에는 얼마나 많은 모순적인 양면성이 있는가. 그래서 ‘흥부전’에 대해 새롭게 재해석하는 이들은 흥부와 놀부가 사실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같은 사람의 두 성향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



    요즘 한국 사회는 사람의 품성이 가진 양면성에 대해 많은 걸 보여주고 실험하는 듯하다. 무기력해 보이고, 비이성적이며 수동적인 인간. 신자유주의의 광풍 속에서 공동체에 대한 믿음과 도리를 팽개치려는 이기적인 성향. 그 그늘이 지배하는 사회가 돼가나 했으나 반대의 ‘빛’ 쪽에 서 있는 성향도 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웃에 대한 사랑, 인간에 대한 예의, 공민으로서의 각성 등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신없이 휘몰아치며 돌변하는 한국 사회. 그 ‘다이내믹 코리아’의 비밀은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영화의 창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