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걸스카우트’에서 김선아는 손대는 일마다 실패하지만 굴하지 않고 억척스레 살아가는 미경 역으로 등장한다.
이혼한 뒤 주식투자, 옷가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테크를 시도하지만 늘 뒷북치거나 손해만 보는 30대 여성 미경 역의 김선아, 손자 재롱 볼 나이에 생활전선에 뛰어들어 마트에서 ‘노가다’하는 할머니 이만 역의 나문희, 남편과 사별하고 혼자 몸으로 두 아들 키우며 안 해본 것 없이 온몸 던져 일하는 40대 봉순 역의 이경실, 그리고 폼나게 살아가느라 빚은 늘어가지만 로또 대박의 꿈을 포기하지 않는 20대 은지 역의 고준희 등 4명의 여성을 중심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천편일률적 이야기 속 네 명의 주인공 중 가장 돋보여
20대와 30대, 40대 그리고 6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모인 주인공들의 구성원이나 캐스팅은 나쁘지 않다. 문제는 이야기가 지나치게 천편일률적으로 흐른다는 것이다. 그동안 흔하게 접한 소재에 상투적으로 전개되는 극적 구조는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지 못한다. 김상만 감독은 데뷔작을 만들면서 자신의 독창적 컬러를 보여주지 못했다. 배우들의 개인기만 눈에 들어오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돋보이는 것은 3년 만에 스크린으로 돌아온 김선아다.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2005년)은 아마도 김선아의 연기 일생 동안 따라다닐 것이다. 그것은 그가 그만큼 삼순이의 캐릭터를 독창적으로 훌륭하게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시사회에 나온 김선아의 모습도 삼순이 캐릭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얼굴살은 몰라보게 빠지고 몸매도 삼순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날렵해진 김선아는, 꽉 끼는 청바지 차림의 간편한 복장으로 무대인사에 나섰어도 예전보다 훨씬 보기 좋은 모습이었다.
“무엇보다 화합이 필요한 작품인데, 촬영하는 동안 배우들과 화합이 아주 잘됐다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즐겁게 웃고 힘을 낼 수 있는 영화가 됐으면 좋겠다.”
시사회장에서 김선아는 자신을 촬영한 사진으로 달력을 제작해 촬영 현장의 스태프들에게 돌렸다. 김선아는 전에 ‘몽정기’를 찍을 때도 모든 촬영이 끝난 후 스태프들에게 장미꽃을 돌린 적이 있다. 이처럼 호탕하고 시원시원한 성격 때문에 스태프들이 가장 좋아하는 배우 중 한 사람이 바로 김선아다. 그러나 김선아는 지난 3년 동안 루머 때문에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를 보냈다. 영화 ‘목요일의 아이’ 촬영과 관련된 송사에 휘말렸고,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스캔들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영화를 찍는 동안 정말 행복했다. 현장을 뛰어다니면서 일하는 즐거움이 나를 사로잡았다. 현장에서의 고마움을 어떻게 전할까 생각하니까, 고생하는 스태프들 생각하니까 가슴이 뭉클해진다. 영화는 참 힘든 작업인데, 사람들 사이의 끈끈한 정이 그 어려움을 이기게 해주는 것 같다.”
이동건과 함께 MBC 월화 미니시리즈 ‘밤이면 밤마다’를 찍고 있는 김선아는 이제 본격적으로 연기활동을 시작한다. 그는 6월16일부터 방송될 ‘밤이면 밤마다’를 위해 밤샘 촬영을 하면서도 ‘걸스카우트’ 홍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피로가 겹친 데다 목이 많이 부어서 목소리도 잘 안 나온다. 링거를 맞으며 바쁜 일정을 소화해내고 있다.
삼순이의 당찬 이미지 유감없이 발휘
“시나리오가 너무 좋아서 ‘걸스카우트’를 선택했다. 처음 대본을 읽을 때 느낌과 영화 촬영이 완료된 시점의 느낌이 크게 다르지 않다. 다른 것은 시나리오보다 3배는 빠른 속도감으로 찍혔다는 점이다. 관객들이 재미있게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이 영화는 내가 배우로서 일할 수 있는 힘을 다시 돌려줬다는 점에서도 잊을 수 없는 작품이다.”
그러나 ‘걸스카우트’가 김선아의 바람을 완전히 충족시켜주지는 못할 것 같다. 삼순이 이미지, 그러니까 주변 상황에 굴하지 않고 당차게 인생을 살아가는 캐릭터는 여기에서도 그대로 유지된다. 김선아가 맡고 있는 미경은 영화 후반부에 딸이 납치되면서 모성을 발휘하기도 한다. 특히 자동차 추격신 등 몸을 던지는 액션신이 많아 어느 작품보다 힘들게 찍었지만, 아쉽게도 이야기는 매끄럽게 흘러가지 않는다. 개성 강한 네 여자 배우들의 시너지 효과도 일어나지 않는다.
여성 영화가 많아진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여성들이 차지하는 역할이나 비중이 달라지고 있다는 뜻이다. ‘걸스카우트’의 주인공들은 각 세대를 대표하는 여성들이다. 그러나 영화는 여성들의 문제점을 특별하게 다루지 않는다. 여성들의 삶에 대한 성찰이나 사유 없이 여성 4명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이유를 나는 알 수가 없다. 영화 제작의 근본적인 시점에 문제가 있다는 말이다. 다만 김선아 나문희 등 좋은 배우들의 연기가 그나마 위안이 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