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40

..

뮤지엄 인젤 홈브로흐에서 “감동 먹었네”

  • 글·사진=박준 tibetian@freechal.com

    입력2006-06-19 10:2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뮤지엄 인젤 홈브로흐에서 “감동 먹었네”

    인젤 홈브로흐 안의 12개 건축물 중 하나.

    뮤지엄 인젤 홈브로흐는 미술관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미술관’이란 단어에서 자동적으로 떠올리는, 그런 미술관이 아니다. 우리의 통념을 깨는 것, 그것이 인젤 홈브로흐 미술관의 매력이다. 차갑고 딱딱할 것이라고 여겼던 나의 선입관을 무너뜨리고, 독일이 사랑스럽게 느껴지기 시작한 건 바로 이 미술관 덕분이었다.

    기차와 버스를 타고 뮤지엄 인젤 홈브로흐를 찾아가는 일은 쉽지 않았다.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북서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州) 노이스시(市)에 있는 이 미술관에 가기 위해 기차를 탔다. 하지만 노이스에 내려 철로 아래 버스 정거장에서 한참을 기다려도 내가 탈 버스는 오지 않았다. 정차하는 버스마다 운전기사에게 인젤 홈브로흐로 가는 버스는 언제 오느냐고 묻기를 대여섯 차례. 1시간 후 마침내 인젤 홈브로흐로 가는 버스를 탔지만, 10여 분 후 기사는 내리라고 손짓을 했다. 하지만 그곳이 목적지는 아니었다. 지나가는 사람에게 물으니 여기서 다시 3km를 걸어야 한단다. 맙소사!

    그래도 다행이었던 건 햇볕이 따뜻했다는 사실. 독일에서 이런 날씨를 만나다니! 한 달간 독일을 여행하는 내내 흐리거나 비가 내렸다. 햇살이 내 피부를 살살 간지럽힌 건 이날이 처음이었다. 햇볕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나는 독일 여행을 통해 알게 됐다.

    그런데 따뜻한 햇볕이 점점 뜨겁게 느껴지기 시작해도 인젤 홈브로흐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나가는 사람은 물론 차도 많지 않은 도로를 걷고 또 걸었다. 3km가 이렇게도 먼 거리였나?

    뮤지엄 인젤 홈브로흐에서 “감동 먹었네”

    인젤 홈브로흐 안에는 예술가의 작업실도 있다.

    지쳐가기 시작할 무렵 맞은편으로 노부부가 자전거를 타고 지나간다. 할아버지의 머리는 완전히 희다. 할머니 자전거 뒷좌석에는 런치박스가 실려 있었다. 아, 예쁘다! 탄성이 저절로 나왔다. 두 대의 자전거는 푸른 들판을 가로지르듯 곧게 뻗은 길 위로 나란히 멀어져 갔다. 그 모습을 넋을 잃고 바라보다가 시선을 돌리니 드디어 저 앞에 뮤지엄 인젤 홈브로흐의 이정표가 보인다.



    매표소에서 표를 끊고 미술관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미술관이란 본디 정문을 들어서면 로비가 나오고, 로비에서부터 각 전시실이 연결돼 있는 식이 아니었던가? 하지만 인젤 홈브로흐의 정문 안쪽에는 너른 들판이 펼쳐져 있었다. 당황스러웠다. 들판 사이로 나 있는 길만이 내 앞에 펼쳐져 있다. 무슨 미술관이 이래? 매표소에서 얻은 인젤 홈브로흐의 지도를 보고서야 이곳의 모습이 하나 둘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노이스에 와서도 처음엔 인젤 홈브로흐가 어떤 곳인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독일어로 ‘섬’이란 뜻의 인젤(Insel)이란 이름 때문에 강으로 둘러싸인 섬에 위치한 미술관인가 싶었지만 인젤 홈브로흐는 섬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하지만 이곳은 여러 개의 늪지대가 잘 보존된 덕분에 늪 사이로 난 좁은 길을 걷다 보면 마치 작은 섬들이 산재해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늪지 안 곳곳에는 12개의 건축물이 있는데 이 건축물들은 각각이 그 자체로서 작품이었다. 1층짜리도 있고 2층짜리 건축물도 있었다. 어떤 건축물 안은 텅 비어 있고, 몇 개의 건축물에는 고대에서 현대까지 동서양의 여러 작품들이 전시돼 있다.

    뮤지엄 인젤 홈브로흐에서 “감동 먹었네”

    인젤 홈브로흐를 향해 걸어가는 길에서 자전거를 탄 노부부를 만났다(왼쪽). <br>미술관 앞 오솔길을 걷다 만난 늪가.

    나를 또 한번 당혹스럽게 한 건 전시 작품마다 어떤 설명도 붙어 있지 않다는 점이었다. 어떤 작가가 작품을 만들었는지 작품명이 무엇인지, 아무 정보도 없다. 그냥 느끼는 게 중요하다는 것일까? 이런 발상의 자유로움이 나를 자극한다.

    이곳의 건축물들은 또한 자기를 전혀 뽐내지 않는다. 모든 건축물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됐다. 인간을 위압하지 않고 자연과도 공생하듯 겸손하다.

    예술적 건축물, 자유로운 전시, 그리고 노래 부르는 관람객

    건축물들은 모두 같은 재료와 같은 디테일로 만들어졌다. 구조도 단순한데 외부는 벽돌, 내부는 부드러운 흰색 회벽이다. 천장에서 햇빛이 들어와 밖에서 볼 때보다 안에서 건축물을 둘러볼 때 더 밝고 크게 느껴진다.

    나는 들판을 거닐다가 건축물을 만나고 건축물을 통과해 늪지를 걸었다. 그렇게 걷다가 다른 건축물을 만나고, 그 건축물을 지나 오솔길로 발길을 옮겼다.

    인젤 홈브로흐에서 본 첫 번째 건축물은 1989년에 지어진 ‘타워’라는 작품이었다. 물론 ‘타워’라는 이름도 나중에 미술관 지도를 보고서야 알았다. 어쨌거나 무심히 ‘타워’의 유리문을 열고 들어갔는데, 안에서 노랫소리가 났다. 한 여자가 벽 앞에서 등을 돌린 채 노래를 하고 있었다. 나는 무슨 영문인지도 모른 채 그녀의 노랫소리에 빠져들었다. 그녀 옆에는 무릎 위에 앉은 어린 여자아이를 껴안은 채 벽에 기대앉은 남자가 있다. 남편과 딸인 듯하다. 딸아이는 아빠 품에 안겨 아빠의 오른손 등 위에 두 손을 얹은 채 얼굴을 묻고 있고, 아빠는 딸을 받쳐주기 위해 왼손 손가락을 곧게 편 채 자신의 머리를 딸아이의 등에 묻고 있다. 아빠에게 안긴 딸과 딸의 등에 기댄 아빠, 그 옆에서 엄마는 노래를 부르는 풍경이라니.

    나는 전율했다. 그녀 발밑에 놓인 배낭이며 옷가지, 생수병만이 그들의 존재에 현실감을 주고 있었다.

    나는 그들의 맞은편 벽에 등을 기대고 조용히 앉았다. 얼굴을 서로 묻고 있는 아빠와 딸처럼 무릎을 세우고 머리를 벽에 기댔다. 그녀의 노래는 잔잔히 오랫동안 계속됐다. 이곳에 오기까지 겪어야 했던 몇 시간 동안의 수고가 혹시 이 특별한 순간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는 아니었을까? 그녀의 선율 속으로 난 꿈꾸듯 빠져들었다.

    인젤 홈브로흐는 평화롭고 조화롭다. 늪가에는 연인들이 겉옷을 벗어 깔고 가방을 베고 누워 있다. 늪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다는 사실을 나는 이곳에 와서 알게 됐다.

    뮤지엄 인젤 홈브로흐에서 “감동 먹었네”

    어떠한 작품 설명도 없는 전시실 내부 전경.

    오솔길을 걷다 만난 또 다른 늪가에는 벤치 하나가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늪가의 벤치 하나조차 현실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늪과 나무들, 벤치가 한데 어우러져 빚어내는 풍경은 너무 조화로워 오히려 현실의 것이 아닌 듯 보였다.

    자연이 주는 아름다움이 여기에 있다. 늪가의 벤치는 자연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하는지를 말없이 가르치는 듯하다. 이런 조화로움이 비현실적인 것으로 느껴지는 건, 역설적으로 내가 사는 환경이 얼마나 조화롭지 못한지를 말해주는 건 아닐까? 어쩌면 서울이란 공간은 그 거대함만으로 사람들을 위압하고 병들게 하는지도 모른다.

    벤치에 앉았다. 늪의 수면이 햇빛을 받아 빛난다. 오래전 호수였을 이곳에는 오리 몇 마리가 노닐고, 벤치 옆 고목 꼭대기에선 나뭇잎들이 잔치를 벌이고 있다.

    인젤 홈브로흐를 나가는 길에 ‘타워’에서 만났던 가족을 다시 만났다. 아까는 보이지 않던 어린 아들이 하나 더 있다. 눈이 마주치자 부부가 가볍게 인사를 건넨다. 내가 들은 노래는 정녕 꿈이 아니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