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64

2006.12.12

얼굴 통한 삶의 반추

  • 이병희 미술평론가

    입력2006-12-11 10:4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얼굴 통한 삶의 반추
    김정욱이 그린 얼굴들은 모두 검고 커다란 눈을 갖고 있다. 얼굴은 크고 둥글게 화면을 가득 메운다. 검고 때론 반짝이는 눈은 어딘가를 응시한다. 그 눈은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간절하게 원하는 듯, 혹은 무엇인가를 말하려는 듯하다. 우리는 깊은 눈 속에서 다시 얼굴 표면으로 시선을 이동한다. 그리고 그들의 머리 스타일, 옷 입은 모양새를 관찰하게 된다. 곧이어 우리는 입가나 코 언저리, 미간, 목덜미 등 특정하지 않은 어떤 위치를 바라본다.

    우리가 보는 얼굴들은 우리와 통성명을 하며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어쩌면 누구인지도 모르는, 심지어 인간인지도 모르는 어떤 이미지다. 그런데도 우리는 그 커다란 눈 이미지에 사로잡혀 그가 어떤 여성(대부분 여성들로 보인다)이며, 어떤 성격의 소유자이고, 그의 과거·현재·미래의 삶이 어떤 것인지 상상하게 된다. 그/그녀의 커다란 얼굴과 눈에서 우리는 이제 머리 스타일, 옷 입은 모양, 입술 모양, 빗어 넘긴 머리카락 한올 한올과 얇게 팬 상처, 어딘가에 덴 것 같은 흉터, 검버섯, 주근깨 하나까지 살펴본다. 우리의 시선은 얼굴, 즉 인물을 샅샅이 훑는다.

    얼굴 곳곳에 숨어 있는 미세한 흔적들은 우리가 만들어내는 이야기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우리는 좀더 구체적인 스토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선홍색으로 파인 칼자국 같은 것은 무엇일까. 어린 시절 생긴 흉터일까? 목덜미의 흔적은? 분홍색 잇몸이 드러나게 실룩거리는 입술이 만들어낸 저 표정은? 가는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곱게 쓸어 넘기는 습관이라니. 과연 그/그녀의 트라우마는 무엇이고, 어떤 미래를 꿈꾸며 어떤 사랑을 나누고 있을까.

    작가 김정욱은 사람의 외면이 살아가는 시간의 총량을 함축한 복합체로서 인간의 본질과 현상, 개별적 삶과 공동체적 역사, 인간의 행위를 분석하는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고 말한다. 즉, 인간의 내면과 정신이 어떻게 외면으로 발현되며 ‘그/그녀는 어찌하여 그/그녀가 된 것일까’를 형상화하는 작업인 것이다.

    우리가 얼굴의 단서들로부터 만들어내는 내러티브들은 ‘그/그녀’의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이야기이며, 그 얼굴들은 오버랩된 우리 자신의 얼굴들이다. 이렇듯 김정욱의 얼굴들과 그들의 검고 깊은 눈, 그리고 갖가지 다양한 표정들과의 대면은 우리 자신의 얼굴을 보는 경험이 된다. 마치 거울을 보듯 우리 자신과 비슷한 이미지를 그려보기도 한다. 혹은 너무 낯설거나 심지어 싫어하는 대상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 모든 과정이 우리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응시의 경험이 되는 것이다.



    12월26일까지, 갤러리 스케이프, 02-747-4675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