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대선 정국을 향한 노무현 대통령의 속내는 ‘안개’ 속에 잠겨 있다. “임기가 끝날 때까지 국정에 전념하겠다”는 선언적 메시지만 있을 뿐이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대선 정국을 얘기하는 것은 너무 빠르다”며 손사래를 친다. 따라서 지금은 노 대통령이 간헐적으로 쏟아내는 정치적 발언들을 하나씩 맞춰보는 ‘퍼즐게임’만 가능한 상황이다.
노 대통령의 발언 속에는 하나의 일관된 흐름이 있다.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지역주의 타파다. 여권 내 민주당과의 통합론에 쐐기를 박고, 열린우리당을 지키겠다고 선언한 것이 단적인 예다. 노 대통령의 이 같은 원칙론이 대선 정국을 푸는 ‘노무현 코드’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여론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자신만의 색깔과 명분을 분명히 하는 것이 대선 고지를 위한 ‘자산’이라는 판단에서다. 대선을 ‘호흡이 긴’ 승부처로 보는 노 대통령의 평소 인식에도 맥이 닿아 있다.
퇴임 후 62세 … 측근들 “정치 재개할 것”
이는 2007년 대선의 승패를 가를 ‘시대정신’을 어느 세력이 주도하느냐는 문제와도 직결된다.
노 대통령이 9월1일 열린우리당 재선 의원들과의 청와대 만찬 회동에서 “지역주의 극복, 전국정당 건설, 정치개혁을 기치로 내걸어 창당한 열린우리당의 가치는 여전하다”며 “우리당은 정체성을 유지하고 비전을 가져야 하며 (주요 정책에서) 왔다갔다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측면에서 노 대통령이 내년 대선 정국에 던질 정책적 아젠더에 주목해야 한다는 말이 많다. 특히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이후 본격화할 남북 간 군비통제 등 평화체제 구축 논의는 표심을 가를 민감한 사안이 될 공산이 크다.
정치권에서 물밑 논의가 한창인 정계개편의 방향은 여권 내 제 정파 간 이해관계는 물론, 야당의 대응까지 맞물려 있어 쉽게 예단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이탈을 감수하더라도 색깔이 분명한 ‘개혁 진영’을 정비하겠다는 노 대통령의 의지는 분명해 보인다.
현재로선 노 대통령이 먼저 탈당을 결행할 가능성은 희박한 편이다. 대신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탈당해 ‘비노(非盧) 반(反)한나라당’의 새 정치세력을 결집할 가능성이 높다.
일단 각개약진을 통해 국민적 검증을 거친 뒤 대선에 임박해 극적으로 개혁 진영의 후보단일화를 모색한다는 시나리오가 바로 그것. 역대 대선 구도가 ‘양자(兩者) 대결, 제3후보 몰락’의 궤적을 걸어온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한 소장파 정치학자는 “노 대통령이 ‘역발상’의 승부수를 던질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이 손잡을 제휴 세력의 범위도 관심이다. 가급적 여당 쪽을 선택하겠지만, 여야를 넘나들 것이라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형국이다. 한나라당의 이명박 전 서울시장,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에 대한 영입설이 끊이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각자의 정치적 색깔을 유지한 채 대선 승리를 위한 정치적 ‘M·A’는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임기 말 대통령의 영향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노 대통령의 ‘선택’이 힘을 발휘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회의론도 많다.
정체성 정립에 골몰하는 노 대통령의 행보는 퇴임 후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도 있다. 색깔만 분명하다면 야당을 하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말이다. 노 대통령이 퇴임 시 나이가 62세로, ‘정치 연령’으로는 젊은 편이어서 현실 정치와의 연을 끊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점도 고려됐다. 일부 측근들은 “노 대통령은 어떤 방식으로든 정치를 재개할 것”이라고 단언한다.
노 대통령의 발언 속에는 하나의 일관된 흐름이 있다.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지역주의 타파다. 여권 내 민주당과의 통합론에 쐐기를 박고, 열린우리당을 지키겠다고 선언한 것이 단적인 예다. 노 대통령의 이 같은 원칙론이 대선 정국을 푸는 ‘노무현 코드’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여론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자신만의 색깔과 명분을 분명히 하는 것이 대선 고지를 위한 ‘자산’이라는 판단에서다. 대선을 ‘호흡이 긴’ 승부처로 보는 노 대통령의 평소 인식에도 맥이 닿아 있다.
퇴임 후 62세 … 측근들 “정치 재개할 것”
이는 2007년 대선의 승패를 가를 ‘시대정신’을 어느 세력이 주도하느냐는 문제와도 직결된다.
노 대통령이 9월1일 열린우리당 재선 의원들과의 청와대 만찬 회동에서 “지역주의 극복, 전국정당 건설, 정치개혁을 기치로 내걸어 창당한 열린우리당의 가치는 여전하다”며 “우리당은 정체성을 유지하고 비전을 가져야 하며 (주요 정책에서) 왔다갔다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측면에서 노 대통령이 내년 대선 정국에 던질 정책적 아젠더에 주목해야 한다는 말이 많다. 특히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이후 본격화할 남북 간 군비통제 등 평화체제 구축 논의는 표심을 가를 민감한 사안이 될 공산이 크다.
정치권에서 물밑 논의가 한창인 정계개편의 방향은 여권 내 제 정파 간 이해관계는 물론, 야당의 대응까지 맞물려 있어 쉽게 예단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이탈을 감수하더라도 색깔이 분명한 ‘개혁 진영’을 정비하겠다는 노 대통령의 의지는 분명해 보인다.
현재로선 노 대통령이 먼저 탈당을 결행할 가능성은 희박한 편이다. 대신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탈당해 ‘비노(非盧) 반(反)한나라당’의 새 정치세력을 결집할 가능성이 높다.
일단 각개약진을 통해 국민적 검증을 거친 뒤 대선에 임박해 극적으로 개혁 진영의 후보단일화를 모색한다는 시나리오가 바로 그것. 역대 대선 구도가 ‘양자(兩者) 대결, 제3후보 몰락’의 궤적을 걸어온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한 소장파 정치학자는 “노 대통령이 ‘역발상’의 승부수를 던질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이 손잡을 제휴 세력의 범위도 관심이다. 가급적 여당 쪽을 선택하겠지만, 여야를 넘나들 것이라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형국이다. 한나라당의 이명박 전 서울시장,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에 대한 영입설이 끊이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각자의 정치적 색깔을 유지한 채 대선 승리를 위한 정치적 ‘M·A’는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임기 말 대통령의 영향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노 대통령의 ‘선택’이 힘을 발휘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회의론도 많다.
정체성 정립에 골몰하는 노 대통령의 행보는 퇴임 후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도 있다. 색깔만 분명하다면 야당을 하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말이다. 노 대통령이 퇴임 시 나이가 62세로, ‘정치 연령’으로는 젊은 편이어서 현실 정치와의 연을 끊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점도 고려됐다. 일부 측근들은 “노 대통령은 어떤 방식으로든 정치를 재개할 것”이라고 단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