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류 인플루엔자의 판데믹화는 시간문제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5월16일, 세계 컴퓨터 시장의 지배자 IBM은 세계보건기구(WHO), 미 질병제어예방센터 등 세계 20여 주요 공중보건단체와 손잡고 ‘글로벌 판데믹 이니셔티브(Global Pandemic Initiative)’의 개시를 선언했다. 이는 자사의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방, 공동으로 활용함으로써 전염성 질환의 확산에 대비하는 전 세계적 협력체계를 갖추기 위한 것이다.
장면 #2
5월23일(현지 시각), 스위스 제네바의 WHO 총회장. “한국은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인력 양성과 AI(조류 인플루엔자) 등 신종 전염병 퇴치를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다.”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은 기조연설에서 신종 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동북아지역 공조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장면 #3
5월30일, 월스트리트저널은 WHO가 현 상황을 조류 인플루엔자 전염 3단계 경계 태세로 규정했다고 보도했다. 3단계는 ‘인체 간 전염이 안 되거나 극히 제한적인 전염’이 이뤄지는 단계. WHO의 전염병 경고 시스템은 ‘인간 전염 가능성이 낮은’ 1단계부터 ‘지속적인 인체 간 전염’까지 6단계로 이뤄진다
각기 별개인 듯한 이 세 가지 사례가 공통으로 시사하는 것은 뭘까. 바로 ‘판데믹의 급습’이 전 인류에게 ‘발등의 불’이 됐다는 사실이다. ‘판데믹(pandemic)’은 특정한 전염성 질환이 전 지구적으로 급속히 확산돼 크게 유행하는 현상을 뜻한다. 한정된 지역에서 이질이나 장티푸스 등의 전염병이 유행하는 현상인 ‘에피데믹(epidemic)’의 상대적 개념이다.
특정 전염병 전 지구적 급속 유행 현상
전문가들에 따르면, 판데믹은 다음과 같은 세 조건을 갖춰야 한다. 첫째, 바이러스의 변종이 많이 생기는 대변이(하나의 숙주세포에 두 가지 바이러스가 동시에 들어가 유전자의 재조합이 일어나는 것)가 발생해야 한다. 둘째, 인체가 변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치명적인 증상을 보여야 한다. 즉, 변종 바이러스가 충분한 독성을 지녀야 한다. 셋째, 인간 대 인간의 감염이 이뤄져야 한다.
향후 도래할 것이 확실시되는 판데믹의 ‘유력 후보’로 지목되는 조류 인플루엔자의 경우 이미 앞의 두 조건을 충족했다. 1997년의 홍콩 조류 인플루엔자가 그 예다. 당시까지 인체가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H5N1형 바이러스의 출현은 조류를 통해 이에 감염된 환자 18명 중 6명을 사망에 이르게 했다. 치사율이 30%를 넘은 이 바이러스는 그동안 인체를 공격할 수 없다고 알려졌던 유형이었다. 종(種) 간의 장벽을 뛰어넘은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전혀 없었기에 환자들은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었다.
이제 남은 마지막 조건, ‘인간 대 인간의 감염’이 이뤄지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게 전 세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그 시기가 언제일지, 피해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판데믹 독감(pandemic influenza)은 반드시 온다는 것. WHO의 전염병 경고 시스템의 4단계는 일부 지역에서 인체 간 전염 사례가 발생했을 때다. 5단계는 점점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는 때를 뜻한다. 전면적인 전염이 횡행하는 6단계가 바로 판데믹 시기다.
판데믹이 세계적 이슈가 될 것이란 분석은 얼마 전 작고한 이종욱 전 WHO 사무총장도 2004년 4월 내놓은 바 있다. 그는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조류 인플루엔자가 변형을 일으켜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경고했다.
연구자에 따라 견해는 조금씩 다르지만, 인류가 20세기에 경험한 판데믹은 대략 세 차례 정도다. 1918년 스페인독감 때 H1N1형 바이러스가 유행해 당시 세계 인구 20억명 가운데 약 5억명이 감염돼 4000만~5000만명이 목숨을 잃었다. 특이한 것은 해마다 겨울철이면 유행하는 계절독감(seasonal influenza) 때와 달리, 20~40세의 청장년층 사망자가 많았다는 점. 57년 H2N2형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한 아시아독감은 100만~200만명, 68년 H3N2형 바이러스에 의한 홍콩독감은 100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20세기 세 차례 급습 엄청난 피해
세 번에 걸친 판데믹의 원인은 모두 독감바이러스. 따라서 현재 가장 우려되는 것은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언제 또다시 변이과정을 거쳐 사람 간에 전염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판데믹의 병원체가 될지 모른다는 점이다.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
- 1
국민의힘 대선 주자 재산 꼴찌는? 답은 김문수 10억… 이재명 30억 신고
- 2
‘벼랑 끝’ 관세전쟁 트럼프, 미국 국채 가격 폭락에 굴복
- 3
[단독] 야권 일각 “대검청사를 임시 대통령실로 활용”… 대선 주자들 용산 기피에 청와대 복귀론 부상
- 4
남성보다 학력은 좋은데 일자리 질은 낮은 여성
- 5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삼성전자, 개인은 사고 외국인은 팔았다
- 6
‘굴복은 없다’… 미국·중국 관세 전면전
- 7
속도 내는 김건희 검찰 수사… 조기 대선 변수 주목
- 8
불황 이겨가는 Z세대 ‘디지털 품앗이’
- 9
애순 부부처럼 성실히 살아야 횡재 기회도 온다
- 10
하나님의 교회, 산불 이재민 구호 위해 경상북도에 성금 1억 원 기탁
트럼프 관세전쟁의 무기는 ‘국제비상경제권한법’
이재명·김문수 ‘대선 3수’, 안철수 ‘4수’ 도전… ‘대선 경험치’의 힘은?
“기적적으로 화마 피한 고운사 대웅보전, 양기 강한 명당”
‘나만의’ 이색 커피 레시피
‘벼랑 끝’ 관세전쟁 트럼프, 미국 국채 가격 폭락에 굴복
속도 내는 김건희 검찰 수사… 조기 대선 변수 주목
[단독] 야권 일각 “대검청사를 임시 대통령실로 활용”… 대선 주자들 용산 기피에 청와대 복귀론 부상
애순 부부처럼 성실히 살아야 횡재 기회도 온다
에버턴, 데이비드 모이스 감독 부임 후 확 달라져
한남동 관저 떠난 윤석열 “나라 위한 새 길 찾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