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인제군 용대리 풍광.
모든 것이 다만 사라져간 것만은 아니었다. 헐벗은 민둥산이 울창한 숲으로 변하기도 했고 광막한 들판에는 송신탑을 중심으로 해 전신주가 열병을 하고 있다. 그곳에서 나고 자란 아이는 어른이 됐고 그 세월의 풍화에 어른은 더 늙어 노인이 됐다. 그 마을의 하나인 인제 용대리에서는 너와집들이 다 허물어지거나 사라졌고 시멘트로 된 신작로가 산골짜기 깊숙한 곳까지 들어갔다. 그리고 그곳은 국내 총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황태 집산지가 됐다.
이중섭의 ‘흰 소’ 같은 눈과 바람
그렇게 사람살이의 여러 면모는 바뀌었지만, 올 겨울 내설악 용대리의 바람은 여전히 매서웠다. 얼마 전 다녀온 용대리 곳곳에는 나무를 엮어 만든 황태 덕장이 설치돼 있었고 아직 녹지 않은 눈이 바위와 나무와 물과 집을 덮고 있었다. 진부령과 미시령, 그 사이의 덕장에 내걸려 한겨울을 다 지낸 용대리의 1600여 만 마리(매년 평균적으로 그렇다) 명태는 올 3월 말까지 제 몸을 눈과 바람에 맡긴 채 얼었다 녹았다 하며 노르스름한 황태로 바뀌어갈 것이다.
평창군청에 근무하는 이우식 씨는 여러 신문의 신춘문예에 시와 시조 그리고 동시로 당선된 시인이기도 한데, 그는 지난 2006년에 시조 용대리 황태 덕장에서 이곳의 눈과 바람과 삶을 이렇게 썼다.
저들은 지금 한껏 목청 돋우고 있다
동해 푸른 목숨 비릿한 몸을 빌려
가슴속 대못 지우며 뽑아내는 판소리
파도가 울어대고 폭풍이 내달리는 건
결코 환청(幻聽)이 아닌 누군가의 거친 숨결
본능의 아름다움이란 아, 바로 이것인가
벌떡 일어나서 성큼성큼 다가온
산이 불을 토하듯 단숨에 휘갈겨버린
그것은 저 이중섭의 ‘흰 소`’같지 않은가
서릿발 맺힌 매듭 한결 풀어젖히고
언 몸 서로 부딪쳐 뜨겁게 비비다가
벼랑 끝 붙잡은 손을 타악 놓은 그 장엄.
인제의 용대리는 만해 한용운의 유허(遺墟)가 담긴 백담사와 그것을 기반으로 조성된 만해마을로 인해 깊은 산중의 문학 성소이기도 하다. 만해 한용운은 18세 때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다 실패하고 설악산 오세암에서 출가했다. 그 후 만주와 저 멀리 시베리아까지 돌아다니다가 다시 백담사로 돌아와 불교 유신론을 썼고, 한국 근대문학의 관절이 되는 시집 님의 침묵을 썼다. 백담사 아래에 ‘만해마을’이 조성된 것은 그 때문이다.
깊은 산속 문학의 성소 만해마을
이곳은 만해 한용운의 뜻을 기리고 또한 널리 펴기 위해 조성한 마을로, ‘문인의 집’ ‘만해문학박물관’ ‘만해학교’ ‘심우장’ ‘서원보전’(법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추념의 공간들이 대체로 옛 형태의 단순한 재현에 그치는 데 비해, 이 만해마을 전역은 내설악의 강건한 흐름 속에 들어앉은 단단한 현대 건축물이다. 지난 2003년에 한국건축가협회 대상을 받았다. 그에 걸맞은 문학 행사도 연중으로 열린다.
도회지의 재빠른 생활 패턴이 깊은 산중의 오랜 삶의 관습까지 바꾸는 세태가 되었지만 그래도 내설악 골짜기의 시간은 조금은 더디게 흐른다. 아열대로 변해간다는 이 한반도의 기상 변화에서 ‘따뜻한 겨울’이라는 형용모순도 어느덧 익숙해져가고 있지만, 그래도 내설악 깊은 곳의 바람은 차고 햇살은 귀하다. 그래서 도회지의 여행자는 내설악의 깊은 골짜기에 이르러 끝없이 서성대기만 하는 것이다.
직접적으로 용대리 일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은 아니지만, 42회 현대문학상 수상작인 이순원의 은비령은 느리게 흐르는 내설악의 시간 속으로 주인공이 사무쳐 들어가는 이야기를 쓰고 있다. 주인공 ‘나’는 소설을 쓰는데, 아내와는 별거한 상태다. ‘나’는 무슨 일로 서해의 격포에 가려다가 목적지를 은비령으로 바꾼다. 은비령으로 향하던 ‘나’는 눈길에 사로잡히고 차까지 고장나게 되는데, 사소한 찰과상 덕에 우연히 한 여자를 만나게 된다. 두 사람은 하룻밤을 같이 보낸다. 대설이 내린 설악의 밤하늘, 그 광막한 시간의 별들을 보면서.
“별처럼 여자는 2천5백만 년 후 다시 내게로 오겠다고 했다. 나도 같은 약속을 여자에게 했다. 벗어나면 아득해도 은비령에서 그것은 긴 시간이 아니었다. 어쩌면 그때 은비령 너머의 세상은 깜깜하게 멈추어 서고, 나는 2천5백만 년보다 더 긴 시간을 그곳에 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아니, 그보다 이제 겨우 다섯 달이 지난 2천5백만 년 후 우리는 그 약속을 지킬 수 있을까.”
인제군 만해마을. 만해기념관의 종과 내부에서 바라본 한용운 동상(위부터 시계 방향). 인제군 용대리 백담마을 심우장(우측 위).
이 소설이 발표되어 널리 사랑을 받고, 또 텔레비전 드라마로 그윽하게 각색되기 전까지 내설악 일원에 은비령은 실재하지 않았다. 설악의 소설가 이순원이 은비령(隱秘嶺)이라고 지어낸 것이다. 내설악의 용대리와 한계령 사이, 필례 약수터로 빠지는 작은 고갯마루를 소설 속에서 그렇게 불렀던 것이다. 그랬는데, 이제는 이 지역 사람들도 ‘은비령’으로 부르게 됐고 이정표까지 붙게 되었다. 꽃이라고 부르는 순간 키 작은 식물이 ‘꽃’이 된 셈이다.
이순원은 소설 속의 남녀를 통해 내설악의 겨울 풍경을 ‘은비팔경’이라고 불렀다. 이 산하 도처에서 볼 수 있는 명명법이지만, 소설 속의 내용은 당연히 문학적인 비유로 가득하다. 그러니까 이순원은 인간이 어떤 문명의 수단이나 매개 없이 거룩한 자연을 맨몸으로 만나는 순간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그 한 대목을 아래에 옮긴다.
“우리가 정하고 붙인 제1경은 우리가 방을 들고 있는 화전마을에서 마주 바라보이는 ‘삼주가병풍’이었다. 원통에서 한계령으로 오를 때 오른쪽으로 보이는 옥녀탕과 하늘벽, 장수대 뒤편의 삼현제봉과 주걱봉, 가리봉이 화전마을에선 병풍처럼 우뚝 막아선 앞산처럼 보였다. 모두 해발 1200미터에서 1500미터가 넘는, 태백산맥의 한 가지를 이루는 가리산맥의 준령들이었다. 제2경으로는 겨울 은비령의 눈 내리는 풍경으로 은비은비(隱秘銀飛)를 꼽았고, 제3경으로는 마을 서쪽 한석산에 지는 저녁노을로 한석자운(寒石紫雲)을 꼽았다. 제4경으로는 맑은 날 아침에도 구름처럼 걸쳐진 우풍재의 안개, 제5경으로는 가리봉을 주봉으로 한 가리산의 가을 단풍, 제6경으로는 필례골의 흰 돌 틈 사이로 작은 폭포처럼 가파르게 흐르는 여울, 제7경으로 장작으로 밥을 지을 때 안개처럼 낮게 피어올라 바깥마당을 매콤하게 감싸는 우리 공부집의 저녁연기로 은자당취연을 꼽았고, 마지막 8경으로 맨눈으로도 밤하늘의 은하수를 볼 수 있는 은궁성라를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