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KBS와 MBC가 메인 뉴스 등을 통해 SBS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SBS도 이에 질세라 자사 뉴스를 통해 반격에 나섰다. 방송사들이 서로 비방전에 가까운 논란을 벌이는 이유는 SBS의 올림픽과 월드컵 중계권 독점계약 때문이다.
SBS는 최근 자회사인 SBS 인터내셔널을 통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네 차례의 동·하계 올림픽 중계권을 7520만 달러(약 710억원)에 따냈다. 이외에도 SBS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월드컵과 2014년 월드컵(개최지 미정)을 한데 묶은 월드컵 중계권을 국제축구연맹(FIFA)으로부터 아시아 지역 월드컵 중계 및 재판매권을 사들인 일본 덴쓰(電通)와 최소 1억3000만 달러(약 1250억원)에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KBS와 MBC는 방송 3사 합의를 파기한 계약의 부당성, 절차상의 문제, 국부 유출 등을 지적하며 SBS를 집중적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SBS는 방송사 간 합의를 깬 데 대해서는 사과하면서도 국부 유출이란 말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미 MBC와 KBS가 미국 메이저리그 중계계약 등에서 합의를 깬 전례가 있고, 당시에도 국부 유출이라는 비판을 받았다는 게 SBS 측의 주장이다.
이번 방송 3사의 중계권 전쟁은 시청자 주권이나 질 높은 스포츠 중계 보장이라는 명분보다는 이미지 및 시청률 제고라는 자사 이기주의와 이윤 창출에 근거한다는 데 심각한 문제가 있다. 각 방송사는 너나 할 것 없이 월드컵과 올림픽 같은 스포츠 중계를 통해 지상파 TV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야심을 품고 있다. 스포츠 마케팅이 시청률을 높이고 방송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는 최고의 이벤트이자 도약의 발판이라는 인식이 뿌리내린 지도 이미 오래다.
그러나 방송사의 이익이 아무리 중요하다고 해도 지금 같은 상대사 흠집내기식 소모성 싸움은 결국 시청자를 무시하는 처사라고밖에 할 수 없다. 과도한 계약료를 보전하고 광고 수입을 창출하기 위해 방송사들이 지나친 중복 편성을 한다든가 재탕, 삼탕하는 행태는 결국 시청자의 프로그램 접근권을 원천적으로 제한한다는 비판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을 제외한 세계 다른 국가들처럼, 월드컵이나 올림픽 같은 지구촌 스포츠 이벤트의 경우 정부가 중재자로 나서 IOC나 FIFA로부터 최소의 계약금으로 최대의 경기 중계권을 따내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무한질주하는 상업주의에 바탕을 둔 이번 방송 3사의 중계권 전쟁의 결과는 종국에는 승자가 없는 패자만 남는 전쟁으로 끝나기 쉽다. 외형상 올림픽과 월드컵의 중계를 둘러싼 전쟁에서 누군가는 승자로 남겠지만 방송의 진정한 주인인 시청자에게는 어떠한 형태로든 피해가 발생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KBS, MBC, SBS는 속 보이는 자사 이기주의가 짙게 깔린 비방전을 즉각 중단하고 머리를 맞대어 시청자를 진정으로 위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것만이 지상파 방송사에서 점차 멀어져 가는 시청자의 눈길을 되돌리는 길이다.
SBS는 최근 자회사인 SBS 인터내셔널을 통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네 차례의 동·하계 올림픽 중계권을 7520만 달러(약 710억원)에 따냈다. 이외에도 SBS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월드컵과 2014년 월드컵(개최지 미정)을 한데 묶은 월드컵 중계권을 국제축구연맹(FIFA)으로부터 아시아 지역 월드컵 중계 및 재판매권을 사들인 일본 덴쓰(電通)와 최소 1억3000만 달러(약 1250억원)에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KBS와 MBC는 방송 3사 합의를 파기한 계약의 부당성, 절차상의 문제, 국부 유출 등을 지적하며 SBS를 집중적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SBS는 방송사 간 합의를 깬 데 대해서는 사과하면서도 국부 유출이란 말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미 MBC와 KBS가 미국 메이저리그 중계계약 등에서 합의를 깬 전례가 있고, 당시에도 국부 유출이라는 비판을 받았다는 게 SBS 측의 주장이다.
이번 방송 3사의 중계권 전쟁은 시청자 주권이나 질 높은 스포츠 중계 보장이라는 명분보다는 이미지 및 시청률 제고라는 자사 이기주의와 이윤 창출에 근거한다는 데 심각한 문제가 있다. 각 방송사는 너나 할 것 없이 월드컵과 올림픽 같은 스포츠 중계를 통해 지상파 TV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야심을 품고 있다. 스포츠 마케팅이 시청률을 높이고 방송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는 최고의 이벤트이자 도약의 발판이라는 인식이 뿌리내린 지도 이미 오래다.
그러나 방송사의 이익이 아무리 중요하다고 해도 지금 같은 상대사 흠집내기식 소모성 싸움은 결국 시청자를 무시하는 처사라고밖에 할 수 없다. 과도한 계약료를 보전하고 광고 수입을 창출하기 위해 방송사들이 지나친 중복 편성을 한다든가 재탕, 삼탕하는 행태는 결국 시청자의 프로그램 접근권을 원천적으로 제한한다는 비판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을 제외한 세계 다른 국가들처럼, 월드컵이나 올림픽 같은 지구촌 스포츠 이벤트의 경우 정부가 중재자로 나서 IOC나 FIFA로부터 최소의 계약금으로 최대의 경기 중계권을 따내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무한질주하는 상업주의에 바탕을 둔 이번 방송 3사의 중계권 전쟁의 결과는 종국에는 승자가 없는 패자만 남는 전쟁으로 끝나기 쉽다. 외형상 올림픽과 월드컵의 중계를 둘러싼 전쟁에서 누군가는 승자로 남겠지만 방송의 진정한 주인인 시청자에게는 어떠한 형태로든 피해가 발생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KBS, MBC, SBS는 속 보이는 자사 이기주의가 짙게 깔린 비방전을 즉각 중단하고 머리를 맞대어 시청자를 진정으로 위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것만이 지상파 방송사에서 점차 멀어져 가는 시청자의 눈길을 되돌리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