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62

..

문제풀이 북클럽, 프리토킹 Debate 개선돼야

  • 케빈 리 미주교육신문 발행인

    입력2006-11-27 10:3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제풀이 북클럽, 프리토킹 Debate 개선돼야

    11월12일 열린 제3회 ‘동북아시아 오픈 디베이트 대회’에는 총 4팀이 출전했다.

    이번에 한국에 와서 여러 교육기관을 방문하고 있습니다. 유난히 눈에 띄는 것이 북클럽과 디베이트 관련 홍보물들이었습니다. 한국에 토론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것을 입증한다는 점에서 반가웠습니다. 그래서 몇 곳의 교육기관을 방문하고 웹사이트에 들어가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아직은…’이었습니다. 조금 아쉬웠습니다. 기대가 커서였을까요?

    제가 방문한 교육기관이 한국의 교육기관을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 점에서 오늘 이 칼럼에서 지적하는 내용이 한국의 모든 교육기관에 해당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다만 제가 방문한 곳이 나름대로 평판이 있거나 열심히 한다는 평을 듣는 교육기관이라는 점에서, 제가 느낀 아쉬움을 말씀드리고 그 발전 방향을 같이 모색해볼까 합니다.

    걸음마 수준의 토론 교육 … 그래도 희망의 싹 보여

    먼저 북클럽의 경우는 심하게 이야기하면 책을 이용한 문제풀이 수준을 크게 넘지 않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그러니까 이전에 한국에서 우리가 영어공부를 할 때 흔히 봤던 ‘영어지문 + 문제’ 형식이 ‘책 + 문제’ 형식으로 바뀌었다고 할까요? 물론 본격적인 영어 텍스트를 교재로 활용하고, 에세이 첨삭지도까지 한다는 점에서 이전과는 다른 ‘진일보한 교육모델’인 것은 분명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커리큘럼을 충분히 검토해 미국 내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 스케줄을 짠 것은 ‘교육의 세계화’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보였습니다. 하지만 북클럽 활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토론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는 점은 아쉬웠습니다. 마치 기대를 잔뜩 하고 찾아간 고급 레스토랑에서 주 요리는 빼고 에피타이저만 먹고 나온 느낌이라고 할까요?

    디베이트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논술교육이 중시되면서 한국의 영어학원마다 디베이트를 표방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정작 그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분들에게 ‘디베이트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라고 묻자 많은 분들이 ‘글쎄요, 토론 아닐까요?’라는 식의 모호한 대답을 했습니다. 어떤 분은 Debate와 Discussion의 차이를 분명히 알지 못했습니다. 실제로 이런 클래스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준비도 없이 클래스에 참여해 그날그날 주어진 주제로 프리토킹을 하는 식으로 운영하는 곳도 있었습니다. 디베이트가 주어진 주제에 대해 찬반으로 나눠 상대방을 설득하고 반박하는 과정에서 주제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함께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 요체를 놓치고 있다는 점에서 안타까웠습니다.



    최근 한국에서 논술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봅니다. 비판적인 사고능력은 모든 공부의 기본이니까요. 그런 맥락에서 각종 논술교육 프로그램이 성황을 이루는 것 역시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하지만 일부 논술교육 프로그램은 주어진 주제에 대해 가능한 모범답안을 제시받아 학생들이 이를 외우는 식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논술공부에 가장 도움이 되어야 할 북클럽과 디베이트 활동이 문제풀이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거나 프리토킹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었습니다. 한편으로는 한국적 현실이 이해가 되면서도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아쉬웠습니다.

    오래전 대학에서 역사학개론 시간에 ‘역사란 굴곡을 거치되, 그럼에도 자기 지향성을 관철해 나가는 것’이란 설명을 들었던 것을 기억합니다. 한국의 논술교육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본고사 음모다’ ‘사교육 조장의 주범이다’라는 원색적인 비난에서부터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교육모델을 강요한다’는 지적에 이르기까지 온갖 의견이 난무합니다. 어떤 분은 ‘몇 년이 지나면 교육정책이 바뀌어 논술이 시들해질 것’이란 전망도 내놓더군요. 하지만 저는 이러한 혼돈 속에서도 한국 교육의 기축을 바꿔 나가려는 필요성 내지 움직임이 그 중심에 있음을 실감합니다. 이제는 주입식이 아니라 ‘Academic Activity다!’라는 움직임 말입니다.

    우리 자녀를 더 나은 방법으로 교육하고 싶어하는 것은 학부모들의 변치 않는 바람일 것입니다. 이 바람이 좀더 빨리 현실화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교육모델들이 바르게 정착했으면 합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