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17

..

전시

Hi, POP : 거리로 나온 미술, 팝아트展

팝아트 거장들의 날카로운 ‘농담’

  • 김유림 기자 mupmup@donga.com

    입력2017-12-12 10:43:35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로이 릭턴스타인의 ‘헤어리본을 한 소녀’(1965)

    로이 릭턴스타인의 ‘헤어리본을 한 소녀’(1965)

    로이 릭턴스타인, 앤디 워홀, 키스 해링, 로버트 라우션버그, 로버트 인디애나…. 이름만 들어도 고개가 끄덕여질 세계적 팝아티스트들의 작품이 대거 한국을 찾는다. 12월 15일부터 2018년 4월 15일까지 총 4개월간 서울 강남구 M컨템포러리(르 메르디앙 서울) 아트센터에서 열리는 ‘Hi, POP : 거리로 나온 미술, 팝아트展’이 바로 그것. 

    이번 전시는 각국 개인이 소장한 작품 가운데 엄선한 160여 점을 국내 최대 규모로 선보이는 기획전시다. 미국 팝아트운동의 부흥을 이끈 대표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의 삶과 당대 문화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 1960년대 팝아트운동이 일어난 초창기는 물론, 부흥기 작가들의 미국 뉴욕 생활상도 엿볼 수 있다. 또한 우리 삶 곳곳에 산재한 팝아트적 요소를 찾아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대중적(popular)’이라는 말에서 따온 팝아트는 최초의 팝아티스트로 알려진 리처드 해밀턴의 표현대로 ‘순간, 저가, 대량생산, 위트, 상업성’의 속성을 지닌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영원, 고급, 유일성, 미학, 가치’로 그 의미가 변하고 있다. 1960년대 모더니즘 미술의 정수였던 팝아트는 반세기란 시간을 뛰어넘어 어느덧 최상위 미술로 인정받고 있다. 

    이번 전시는 대중문화에서 시작된 팝아트의 발자취를 다섯 작가의 활동으로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미술관 벽에서 거리로 나온 미술’은 라우션버그에서 출발해 릭턴스타인과 워홀을 지나 인디애나, 해링으로 이어지는 팝아트의 변화상을 뜻한다. 서로 다른 활동 시기와 독자적인 주제의식을 고려해 각각의 특색이 드러나는 공간으로 연출했다.

    평범한 삶 곳곳에 녹아든 팝아트

    로버트 라우션버그의 ‘축제’(1991~92), 로버트 인디애나의 ‘LOVE’(2002)(왼쪽부터)

    로버트 라우션버그의 ‘축제’(1991~92), 로버트 인디애나의 ‘LOVE’(2002)(왼쪽부터)

    1950년대 콤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s)을 창안한 라우션버그는 신문, 거울, 침대 등 일상의 사물을 작품 주재료로 삼았다. 이로써 작품은 벽이 아닌 곳에 놓이게 됐다. 이후 릭턴스타인과 워홀은 라우션버그의 사물 활용법을 평면으로 옮겨 벤 데이(ben day) 인쇄방식과 실크스크린을 통해 대량생산을 이뤘다. 



    릭턴스타인의 ‘행복한 눈물’이나 워홀의 ‘메릴린 먼로’는 단 하나의 원본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무한 복제되는, 값싸지만 신성한 아이콘으로 거듭났다. 인디애나의 ‘LOVE’도 미술관보다 일상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이처럼 팝아트가 대중문화에 뿌리를 둔 것처럼 이들의 작품 역시 미술관보다 평범한 삶의 순간순간에 녹아든다. 

    이번 전시는 일상과 경계가 점차 흐려지는 미술관에서 팝아트를 만나는 일종의 시간여행이다. 미술관 벽에서 빠져나온 팝아트가 거리 풍경을 바꾸고, 다시 미술관에 안착했다는 점 또한 흥미롭다. 

    팝아티스트 5명의 작품을 감상하는 전시장 외에도 체험공간 ‘프린트팩토리’에서는 워홀이 즐겨 사용하던 실크스크린 기법을 체험해볼 수 있다. 

    소정의 금액을 내면 실크스크린으로 자신이 직접 찍은 팝아트 이미지가 담긴 에코백을 가져갈 수도 있다. 

    팝아트라는 거대한 퍼즐의 한 조각이자, 그 자체로서 하나의 완벽한 세계를 구축한 다섯 작가의 방은 시간과 공간이 뒤섞인 팝의 도시, 뉴욕을 닮았다. 그 시절 예술가의 날카로운 언어가 유쾌한 농담이 돼 친근하게 우리를 부른다. 문의 02-3451-8187, www.m-contemporary.com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