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17

..

경제

손태승 우리은행장 내정자 ‘탕평인사’ 관문 뚫을까

채용비리 파문으로 지주사 전환 · 민영화에 빨간불… 한일 ·  상업銀 출신 간 갈등 잠재울지가 관건

  • 김유림 기자 mupmup@donga.com

    입력2017-12-12 16:24:05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손태승 우리은행장 내정자가 12월 1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뉴시스]

    손태승 우리은행장 내정자가 12월 1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뉴시스]

    최근 금융업계는 우리은행 채용비리 사건으로 떠들썩하다. 이 일로 이광구 전 행장은 불명예 퇴진했고, 손태승(58) 글로벌부문장이 후임 행장으로 내정됐다. 손 내정자는 12월 22일 우리은행 주주총회에서 정식 행장으로 선임될 예정이다. 이날부터 3년 임기가 시작된다. 

    현재 손 내정자의 어깨는 그 어느 때보다 무겁다. ‘신용이 생명’인 은행이 부도덕한 내부 비리로 신뢰가 바닥에 떨어졌을 뿐 아니라, 향후 우리은행의 사활이 걸린 민영화·지주사 전환 작업에도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 내정자의 급선무는 두 동강 난 조직을 추스르고, ‘비리’로 낙인찍힌 은행의 공신력을 다시 끌어올리는 것이다. 

    이번 채용비리 사태 이면에는 우리은행의 고질적 병폐로 꼽히는 상업·한일은행 출신 간 계파 갈등이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1998년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이 대등 합병된 뒤 관행적으로 두 은행 출신이 번갈아 행장을 맡아왔고 임원도 동수로 구성하는 원칙을 지켜왔다. 하지만 이순우 전 행장과 이광구 전 행장 등 상업은행 출신이 두 번 연속 행장이 되고 이광구 전 행장이 올해 초 연임까지 성공하자 한일은행 출신들의 불만이 극에 달했으며 결국 채용비리 사태가 일어났다는 의혹이 파다하다.

    “내가 행장 되면 계파 갈등 사라질 것”

    금융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우리은행 내부에서 이광구 전 행장을 끌어내리기 위한 투서가 난무했던 걸로 안다. 결국 안에서 해결이 안 되자 외부 유출이라는 극단의 선택을 했다는 게 정설처럼 퍼지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채용비리는 10월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우리은행의 ‘2016년 신입사원 공채 추천현황’ 문건을 공개하면서 불거졌다. 당시 공개된 문건에는 국가정보원(국정원) 직원, 금융감독원 직원, VIP 고객 등의 자녀·친인척 및 지인들의 명단이 들어 있고, 이들 모두 최종 합격했다는 주장이 담겨 있었다. 



    이 일로 우리은행은 금융감독원 감사 후 세 차례에 걸쳐 검찰로부터 압수수색을 받았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 형사5부는 서울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과 마포구 상암동 전산센터, 경기 안성시 연수원을 압수수색했고, 11월 28일에는 우리은행 본점에서 인사부 실무자 3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체포했다. 또한 은행가에는 우리은행이 채용 관련 문서들을 파기하고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교체하는 등 대대적인 증거 인멸 작업을 벌였다는 얘기도 떠돌고 있다. 만약 이 일이 사실로 드러나면 우리은행이 입을 타격은 더욱 클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은행의 계파 갈등은 합병 20년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고 있다. 이광구 전 행장은 올해 초 연임 당시 파벌에 얽매이지 않고 실력과 성과로 인정받는 조직문화를 만들었다는 점을 높게 평가받았지만, 결과적으로는 고착화된 계파 갈등을 타파하는 데 실패했다. 

    이광구 전 행장의 후임자를 선정하는 과정도 험난했다. 후임자를 선정하는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에 우리은행 최대주주(지분 18.52%)인 예금보험공사(예보)가 추천한 사외이사가 포함되는지를 두고 우리은행 노조와 금융권의 반발이 거셌다. 예보가 추천한 사외이사가 임추위에 들어갈 경우 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수 있는 외부 공모가 될 개연성이 크다는 이유에서였다. 

    우리은행 노조는 “후임 은행장 자리에 정권 입맛에 맞춘 낙하산 인사는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 외압과 관치에서 벗어나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과 도덕성을 검증받은 내부 출신 인사가 은행장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예보는 “우리은행 대주주로서 임추위에 참여하겠다”는 당초 태도를 바꿔 최종 불참 의사를 밝혔고, 11월 30일 한일은행 출신인 손태승 글로벌부문장이 차기 은행장으로 내정됐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내부 인사 중에서 뽑았다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다. 또한 손 내정자는 ‘기획통’으로 통한다. 이는 전체적인 은행 흐름에 밝다는 얘기다. 성품이 차분해 주변에 적을 많이 만드는 스타일도 아니다. 무엇보다 정치색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평했다.

    종합금융그룹 추진 목표 변동 없어

    최근 일어난 채용비리 사태로 우리은행의 민영화 및 지주사 전환에 제동이 걸렸다.[동아일보 홍진한 기자]

    최근 일어난 채용비리 사태로 우리은행의 민영화 및 지주사 전환에 제동이 걸렸다.[동아일보 홍진한 기자]

    임추위 역시 손 내정자가 영업을 비롯해 전략과 글로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다는 점을 높게 평가해 차기 은행장으로 낙점했다고 밝혔다. 특히 글로벌부문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담당하던 투자은행(IB), 자금시장, 외환 등 전 부문에서 목표를 초과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 내정자는 전북 전주고와 성균관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법학석사를 취득한 뒤 1987년 한일은행에 입행했다. 이후 전략기획팀 부장, 미국 로스앤젤레스(LA)지점장, 우리금융지주 상무, 관악동작영업본부장, 자금시장사업단 상무를 거쳐 2014년 글로벌사업본부장을 맡으면서 집행 부행장으로 승진했다. 2015년에는 글로벌을 총괄하는 그룹장에 올랐다. 이처럼 현직 프리미엄이 있는 데다 한일은행 출신이자 현 정부의 지지기반인 호남 출신이라는 점에서 처음부터 유력 후보로 꼽혔다. 

    손 내정자는 차기 행장으로 선임된 날 바로 기자회견을 열어 “계파 갈등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그는 “내가 행장이 되면 계파 갈등은 분명히 사라질 것이다. 시스템에 의한, 능력에 의한 인사를 하면 단언컨대 이런 갈등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한편 우리은행의 민영화·지주사 전환 문제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를 두고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예보의 지분 매각으로 상당 부분 민영화에 성공했다. 현재 우리은행은 과점주주 체제로 IMM프라이빗에쿼티(PE), 동양생명, 키움증권, 한화생명, 한국투자증권 등 5곳이 지분 28.74%를 보유하고 있다. 과점주주 지분을 모두 합하면 예보보다 많지만, 단일 주주로는 여전히 예보가 최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예보가 보유한 지분을 추가 매각하려면 우리은행이 좋은 실적을 내고 주가를 올려 기업 가치를 높여야 한다. 특히 예보 지분 매각에 대한 의사결정은 엄연히 정부에 있다. 특히 이번 채용비리 사건으로 우리은행 조직의 치명적 결함이 드러난 상황에서 섣불리 정부에 지분 매각을 주장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지분 매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지주사 전환에도 빨간불이 들어올 수 있다. 자유로운 환경에서 지주사 전환 등을 추진하려면 예보 지분 매각이 선결 과제임은 분명하다. 

    손 내정자는 지주 체제 전환을 염두에 두고 자산운용사 인수합병(M&A)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종합금융그룹으로 가려면 일정 부분 비(非)은행 회사를 가져야 한다는 논리에서다. 현재 시장에 나온 적당한 매물은 없지만 조만간 자회사 가운데 우리프라이빗에쿼티자산운용과 합병해 몸집을 키우겠다는 생각이다. 

    업계에서는 내년 금융지주사들의 비은행 회사 인수합병이 본격적으로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을 통한 성장에 한계를 느낀 금융지주사들이 자산운용사나 손해보험, 증권사를 인수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실제로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 KEB하나금융지주 등은 내년도 주요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비은행 M&A’를 내세우고 있다. 특히 KB금융지주는 지난해 현대증권을 인수하면서 KB증권의 입지를 강화하고 LIG손해보험을 사들여 KB손해보험의 덩치를 키운 결과, 올해 상반기 신한금융지주로부터 금융지주사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은 더욱 절박할 수밖에 없다. 우리은행 한 관계자는 “지주사로 전환해 종합금융그룹으로 나아가려는 방향성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다. 특히 손 내정자는 지금까지 이광구 전 행장과 손발을 맞춰 민영화와 지주사 전환을 추진해왔기에 수장이 바뀌었다고 목표 자체가 바뀌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 임원 인사에 주목

    우리은행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의 우리은행 잔여 지분 매각이 언제쯤 추진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뉴시스]

    우리은행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의 우리은행 잔여 지분 매각이 언제쯤 추진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뉴시스]

    일각에서는 이번 채용비리 사태 역시 ‘주인 없는’ 우리은행의 취약한 지배구조가 불러온 비극인 만큼 더는 외풍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우리은행의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예보의 잔여 지분을 마저 처분해 하루빨리 완전한 민영화를 이루고, 이를 기반으로 지주사로 전환해 ‘지주회장-은행장’ 체제로 권력을 분배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 시간 차가 있긴 하겠지만 예보의 지분 매각 계획에도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박경서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고려대 교수)은 “예보 잔여 지분 매각에 대한 의지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채용비리 사건으로 11월 예정돼 있던 회의가 뒤로 밀리긴 했지만, 하루빨리 지분 매각을 추진할 생각이다. 새 정부 출범 후 관심 밖에 있던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이 다시 탄력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 다만 지주사 전환 후 주식을 매각할지, 그 전에 매각할지를 놓고 좀 더 고민해야 할 것 같다. 만약 지주사 전환을 먼저 시행한다고 하면 내년에도 지분 매각을 종결짓기 쉽지 않을 듯하다. 우리는 가능하다면 2018년 안에 우리은행의 완전한 민영화가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다만 “경영권 안정화가 먼저 해결돼야 한다”는 조건이 따라붙었다. 박 위원장은 “채용비리 사태로 우리은행의 신뢰에 큰 흠집이 난 이상 은행장 취임 후 안정화 국면에 접어들면 바로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손 내정자의 행장 첫 업무는 임원 인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우리은행은 손 내정자가 12월 22일 취임할 때를 기다려 임원 임기 만료일을 29일로 늦췄다. 올해 임기가 만료되는 부행장은 11명, 상무 3명, 영업본부장은 약 10명에 달한다. 연말까지 임원뿐 아니라 33명의 영업본부장 인사까지 마무리 지으려면 취임과 동시에 인사를 바로 진행할 것으로 예측된다. 사실상 ‘물갈이 인사’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손 내정자가 강조한 ‘탕평인사’가 제대로 펼쳐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