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32

2006.04.25

참을 수 없는 복제의 진부함

  • 배국남 마이데일리 대중문화 전문기자 knbae24@hanmail.net

    입력2006-04-24 10:0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참을 수 없는 복제의 진부함
    참을 수 없는 복제의 진부함

    ‘사랑과 야망’의 한 장면과 ‘돌아온 몰래 카메라’의 이경규(왼쪽).

    브라운관에 낯설지 않는 프로그램이 하나 둘씩 생겨나고 있다. 예전 프로그램을 리메이크한 것들이다. 리메이크되는 프로그램의 장르는 버라이어티쇼, 교양 프로그램, 게임쇼, 코미디에서 드라마까지 광범위하다. 한때, 아니 현재진행형인 가요의 리메이크 열풍이 브라운관으로 이동하는 형국이다.

    우선 눈에 띄는 프로그램은 20년 세월을 건너온 김수현 작가의 SBS 주말극 ‘사랑과 야망’과 6년 만인 KBS ‘파워 인터뷰’, 14년 만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 MBC ‘돌아온 이경규의 몰래 카메라’ 등이다.

    방송사들이 리메이크 프로그램을 만드는 의도는 명백하다. 리메이크의 ‘원전’ 프로그램을 접했던 중·장년층의 향수를 자극하면서 동시에 복고마저 새 트렌드로 소화해내는 신세대의 왕성한 문화 욕구에 기대어 시청률을 올려보자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얄팍한 의도는 두 계층 모두에게 외면당하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리메이크의 성공 요건은 원전의 익숙함에 더해 시청자의 시선을 잡아당길 수 있는 신선함을 창조해내는 데 있다. 거기에 새로운 시대정신과 문화 코드, 그리고 대중 정서의 변화마저 담아내야 한다. 기존 포맷을 그대로 원용하거나 똑같은 내용을 다시 전개하는 것은 리메이크가 아니라 복제일 뿐이다.

    1986년에 선보인 ‘사랑과 야망’은 70%라는 엄청난 시청률을 기록했을 정도로 당시 장안의 화제였다. 고도성장 시기에 배금주의가 고착화되며 ‘사랑’과 ‘야망’ 양쪽의 추가 흔들리던 상황에서 이 드라마는 시청자의 폐부를 예리하게 찔렀다. 하지만 2006년의 상황은 다르다. 지금은 조건, 야망, 사랑이 대립하기보다는 병립하는 시대이며 일회용의 쿨한 사랑이 젊은이들의 의식을 지배하는 시대다. 이런 상황에서 20년 전의 플롯을 재탕한 ‘사랑과 야망’은 더 이상 대중문화의 소비계층을 잡을 수가 없는 것이다.



    6년 만에 시청자와 만난 ‘파워 인터뷰’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인터뷰는 이제 ‘파워 없는 인터뷰’로 전락하고 있다. 6년 사이 인터넷 등 대중매체가 발달하면서 시청자들은 수많은 다양한 인터뷰들을 봐왔다. 이런 시청자들이 본질을 파고들지 못한 채 덕담 수준의 질문과 답변으로 이어지는 ‘파워 인터뷰’ 리메이크판에 만족할 리 만무하다. 이 역시 제대로 된 리메이크가 아닌 복제에 안주한 결과다.

    관음증 조장 등 숱한 비판에도 시청자 호응에 힘입어 1988년부터 92년까지 오락 프로그램의 정상을 차지했던 ‘몰래 카메라’는 ‘돌아온 몰래 카메라’로 2006년의 시청자와 다시 만나고 있다. 하지만 예전의 인기는커녕, ‘돌아오지 말았어야 할 카메라’라는 비아냥만 사고 있다. 1980년대 후반, ‘몰래 카메라’가 드러내는 스타의 연출되지 않은 장면은 대중의 관음증 욕구를 충족시키며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14년 사이 농도가 더욱 강해진 몰래 카메라의 범람, 일반인들마저 몰래 카메라를 활용해 영상물을 제작하는 현실, 스타들이 토크쇼에 나와 몰래 카메라보다 리얼한 이야기를 털어놓는 상황 등은 ‘돌아온 몰래 카메라’의 효용가치를 뚝 떨어뜨렸다.

    새로운 요소가 없는 리메이크 프로그램들의 성패는 불을 보듯 뻔하다. 제대로 된 리메이크에 자신이 없거든 차라리 새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낫지 않을까? 그렇지 않으면 시청자는 원전에 대한 향수 대신 참을 수 없는 진부함만 느끼며 채널을 돌려버릴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