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5년 5월25일 열린 ‘2005 부산국제기계대전’ 모습.
대일무역 적자는 우리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향한 수출을 늘리려면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일본제 부품이나 소재, 기계류를 수입해 휴대전화와 자동차 등 완제품을 수출해야 하는 것이 우리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런 탓에 엄청난 대일무역 적자에도 2005년 1~11월 우리나라의 전체 무역흑자는 219억 달러를 기록했다(표1 참조).
독점력 가진 반도체 부품 등 주종
물론 각 나라별로 국제수지 균형을 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있다. 자원을 수입해야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자원 보유국에 대해서도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원유 수입을 줄여 사우디에 대한 무역적자 폭을 줄이자고 주장하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LG필립스LCD 구미 공장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직원.
특징적인 것은 대일 수입 주종 품목은 우리나라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대단히 높다는 점이다. 기타 잡제품의 시장점유율은 70%를 넘고 있으며 플라스틱 제품, 광학기기도 6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대일 수입이 많은 품목은 일본 기업이 독점력을 가지고 있어서 수입선 전환이 어려운 품목들이라고 할 수 있다. 상위 20대 대일 수입품의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평균(가중평균) 39.3%라는 높은 수준이다.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
- 1
삼성전자, 메모리 상승 사이클로 2분기 실적 개선될 듯
- 2
트럼프 상호관세 덜 타는 전력·방산·조선 기업 주목
- 3
“대형 싱크홀 원인은 부실 지하 공사 개연성”
- 4
[영상] “과대평가 기업 많은 한국 증시, 공매도로 주가 하락하는 건 필연적”
- 5
우원식 “대선일에 개헌 국민투표 동시 실시 제안”
- 6
美 ‘관세 폭탄’에 SK하이닉스·삼성전자 매도한 외국인
- 7
홍준표 대구시장 “30여년 정치인생의 마지막 사명” 사실상 대선 출마 선언
- 8
M7 조정으로 미국 증시 비싼 단계 지나
- 9
‘미런 보고서’ 따라 관세전쟁 나선 트럼프, 다음 카드는 환율전쟁
- 10
헌재 “尹 헌법질서 침해, 민주공화정 안정성에 심각한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