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에 이어 2005년에도 은행권이 사상 최대 순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되면서, 연간 순이익이 1조원에 달하는 이른바 ‘1조 클럽’ 금융사가 5개사에 이를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금융권 역사상 최초로 2조원 돌파 회사도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2005년도 1조 클럽 가입이 확실시되는 금융사는 은행권의 국민은행, 우리금융, 신한지주, 외환은행과 비은행권의 LG카드 등 5개사다. 2004년 3개사였던 것에 비하면 큰 발전이 아닐 수 없다. 2004년엔 1조 클럽 회원이었다 탈락한 금융사는 하나은행 한 곳인데, 이 역시 경영을 못해서라기보다는 서울은행 합병으로 인한 법인세 감면효과를 2005년부터는 누릴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산업은행도 2조원 안팎의 순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책은행이기 때문에 제외됐다.
1조 클럽의 ‘신입생’ 국민은행과 외환은행, LG카드는 수년간 부실로 고생했던 회사라는 공통점이 있다. 국민은행은 옛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 직후인 2002년에 1조31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한 적이 있지만 가계대출과 신용카드 위기가 닥치면서 2003년에는 6406억원의 적자를 냈고, 2004년에는 5552억원 흑자에 그쳤다.
수년간 고생 고생, 화려한 부활
외환은행 역시 IMF 구제금융 위기를 거치면서 대규모 기업대출 부실화로 오랫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다. LG카드 또한 2003년 말 부도 위기에 몰려 지금까지도 채권단의 관리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이들 회사가 화려하게 부활한 이유는 무엇일까. 부실 요인을 꾸준히 제거해온 노력에다가 경기회복이란 호재가 더해진 덕분이라는 것이 금융권의 공통적인 분석이다.
국민은행은 최근 몇 년간 부실로 고생한 것은 사실이라 하지만 매년 은행권에서 가장 많은 5조원 이상의 ‘대손충당금 적립 전 영업이익(충전이익)’을 내고 있었다. 문제는 부실자산이 많아 대손충당금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어야 했다는 것. 때문에 손익계산서의 맨 마지막 항목인 당기순이익은 형편없이 쪼그라들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국민은행은 2003년에 5조5300억원의 충전이익을 기록했지만 6조7000억원을 대손충당금으로 쌓고 결국 적자기업으로 전락했다. 2004년에도 충전이익은 5조3800억원으로 전년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대손충당금이 4조6200억원에 달해, 흑자전환을 이룬 것에 만족해야만 했다. 많이 벌어도 그에 못지않게 뒤로 까먹는 돈이 많았다는 의미다.
하지만 2005년 국민은행은 3/4분기까지 3조4100억원의 충전이익을 기록한 가운데 대손충당금으로는 1조2000억원만 적립했다. 2004년 3/4분기까지의 대손충당금이 3조1700억원에 달했던 점을 생각하면 올해 국민은행의 막대한 이익이 어디서 나왔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이 같은 성과는 2004년 11월부터 국민은행호(號)의 키를 잡은 강정원 행장이, 2005년을 내부정비의 해로 정하고 바깥 상황보다 집안 정리에 주력한 덕분이다. 이로 인해 국민은행은 2005년 금융회사 사상 처음으로 2조원 순이익 고지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외환은행의 약진도 국민은행처럼 대손충당금이 급감한 것이 원인이 됐다. IMF 구제금융 사태 이후 2004년까지만 해도 외환은행은 기업들의 잇단 부도로 막대한 부실자산을 짊어져야 했다. 하지만 2005년은 달랐다. 부실자산의 대부분이 정리돼 더 이상 막대한 대손충당금이 필요치 않게 됐다. 실제 외환은행의 충전이익은 2004년 3/4분기 1조111억원에서 2005년 같은 기간 1조2852억원으로 27.1%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대손충당금은 5731억원에서 541억원으로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골칫거리였던 부실기업의 출자전환 주식이 경기회복에 따른 주가상승으로 ‘복덩이’가 돼 돌아온 것도 큰 보탬이 됐을 것이다.
은행이 아닌 금융회사로선 처음 1조 클럽에 들어가게 된 LG카드 또한 부실자산 정리가 수익성 개선의 주원인이 됐다. 2003년 말 전체 금융 시스템의 위기를 불러올 정도로 휘청거렸던 LG카드는 채권단의 두 차례 긴급수혈(자금 지원)과 자체 구조조정을 통해 2005년 말엔 새로운 회사로 거듭났다는 평을 듣고 있다. 여러 금융사들이 서로 새 주인이 되겠다며 군침을 흘릴 정도다.
2004년부터 구조조정에 돌입한 LG카드는 신용도 나쁜 고객을 내보내고 부실자산을 처분하는 방법으로 위험자산 규모를 2003년 말 9조4000억원에서 2005년 11월 말 2조1600억원 수준으로 크게 줄였다. 이에 따라 2003년 말 7조원이 넘던 대손상각(부실자산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쌓고 장부에서 처분하는 것) 규모도 2005년 11월 말 현재 690억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 같은 자산 클린화 과정을 거치며 LG카드의 자산규모는 2003년 말 21조원에서 2005년 11월 11조원으로 확 줄어들었다. 1200만명에 달하던 회원 수도 980만명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카드자산의 수익성이 워낙 높아 자산 감소에도 큰 폭의 순이익을 낼 수 있었다.
*에프엔가이드 추정치
2005년도 1조 클럽 가입이 확실시되는 금융사는 은행권의 국민은행, 우리금융, 신한지주, 외환은행과 비은행권의 LG카드 등 5개사다. 2004년 3개사였던 것에 비하면 큰 발전이 아닐 수 없다. 2004년엔 1조 클럽 회원이었다 탈락한 금융사는 하나은행 한 곳인데, 이 역시 경영을 못해서라기보다는 서울은행 합병으로 인한 법인세 감면효과를 2005년부터는 누릴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산업은행도 2조원 안팎의 순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책은행이기 때문에 제외됐다.
1조 클럽의 ‘신입생’ 국민은행과 외환은행, LG카드는 수년간 부실로 고생했던 회사라는 공통점이 있다. 국민은행은 옛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 직후인 2002년에 1조31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한 적이 있지만 가계대출과 신용카드 위기가 닥치면서 2003년에는 6406억원의 적자를 냈고, 2004년에는 5552억원 흑자에 그쳤다.
수년간 고생 고생, 화려한 부활
외환은행 역시 IMF 구제금융 위기를 거치면서 대규모 기업대출 부실화로 오랫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다. LG카드 또한 2003년 말 부도 위기에 몰려 지금까지도 채권단의 관리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이들 회사가 화려하게 부활한 이유는 무엇일까. 부실 요인을 꾸준히 제거해온 노력에다가 경기회복이란 호재가 더해진 덕분이라는 것이 금융권의 공통적인 분석이다.
국민은행은 최근 몇 년간 부실로 고생한 것은 사실이라 하지만 매년 은행권에서 가장 많은 5조원 이상의 ‘대손충당금 적립 전 영업이익(충전이익)’을 내고 있었다. 문제는 부실자산이 많아 대손충당금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어야 했다는 것. 때문에 손익계산서의 맨 마지막 항목인 당기순이익은 형편없이 쪼그라들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국민은행은 2003년에 5조5300억원의 충전이익을 기록했지만 6조7000억원을 대손충당금으로 쌓고 결국 적자기업으로 전락했다. 2004년에도 충전이익은 5조3800억원으로 전년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대손충당금이 4조6200억원에 달해, 흑자전환을 이룬 것에 만족해야만 했다. 많이 벌어도 그에 못지않게 뒤로 까먹는 돈이 많았다는 의미다.
하지만 2005년 국민은행은 3/4분기까지 3조4100억원의 충전이익을 기록한 가운데 대손충당금으로는 1조2000억원만 적립했다. 2004년 3/4분기까지의 대손충당금이 3조1700억원에 달했던 점을 생각하면 올해 국민은행의 막대한 이익이 어디서 나왔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이 같은 성과는 2004년 11월부터 국민은행호(號)의 키를 잡은 강정원 행장이, 2005년을 내부정비의 해로 정하고 바깥 상황보다 집안 정리에 주력한 덕분이다. 이로 인해 국민은행은 2005년 금융회사 사상 처음으로 2조원 순이익 고지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외환은행의 약진도 국민은행처럼 대손충당금이 급감한 것이 원인이 됐다. IMF 구제금융 사태 이후 2004년까지만 해도 외환은행은 기업들의 잇단 부도로 막대한 부실자산을 짊어져야 했다. 하지만 2005년은 달랐다. 부실자산의 대부분이 정리돼 더 이상 막대한 대손충당금이 필요치 않게 됐다. 실제 외환은행의 충전이익은 2004년 3/4분기 1조111억원에서 2005년 같은 기간 1조2852억원으로 27.1%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대손충당금은 5731억원에서 541억원으로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골칫거리였던 부실기업의 출자전환 주식이 경기회복에 따른 주가상승으로 ‘복덩이’가 돼 돌아온 것도 큰 보탬이 됐을 것이다.
은행이 아닌 금융회사로선 처음 1조 클럽에 들어가게 된 LG카드 또한 부실자산 정리가 수익성 개선의 주원인이 됐다. 2003년 말 전체 금융 시스템의 위기를 불러올 정도로 휘청거렸던 LG카드는 채권단의 두 차례 긴급수혈(자금 지원)과 자체 구조조정을 통해 2005년 말엔 새로운 회사로 거듭났다는 평을 듣고 있다. 여러 금융사들이 서로 새 주인이 되겠다며 군침을 흘릴 정도다.
2004년부터 구조조정에 돌입한 LG카드는 신용도 나쁜 고객을 내보내고 부실자산을 처분하는 방법으로 위험자산 규모를 2003년 말 9조4000억원에서 2005년 11월 말 2조1600억원 수준으로 크게 줄였다. 이에 따라 2003년 말 7조원이 넘던 대손상각(부실자산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쌓고 장부에서 처분하는 것) 규모도 2005년 11월 말 현재 690억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 같은 자산 클린화 과정을 거치며 LG카드의 자산규모는 2003년 말 21조원에서 2005년 11월 11조원으로 확 줄어들었다. 1200만명에 달하던 회원 수도 980만명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카드자산의 수익성이 워낙 높아 자산 감소에도 큰 폭의 순이익을 낼 수 있었다.
회사 | 2004년 순이익 | 2005년 말 순이익 | 2005년 순이익* |
국민은행 | 5552억 | 1조8285억 | 2조1208억 |
우리금융 | 1조1262억 | 1조3841억 | 1조6678억 |
신한금융 | 1조503억 | 1조2659억 | 1조6239억 |
외환은행 | 5221억 | 1조1695억 | 1조4041억 |
LG카드 | -816억 | 1조1350억 | 1조4399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