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日 무역 적자 고질병 대책 없나](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06/01/04/200601040500041_1.jpg)
2005년 5월25일 열린 ‘2005 부산국제기계대전’ 모습.
대일무역 적자는 우리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향한 수출을 늘리려면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일본제 부품이나 소재, 기계류를 수입해 휴대전화와 자동차 등 완제품을 수출해야 하는 것이 우리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런 탓에 엄청난 대일무역 적자에도 2005년 1~11월 우리나라의 전체 무역흑자는 219억 달러를 기록했다(표1 참조).
독점력 가진 반도체 부품 등 주종
물론 각 나라별로 국제수지 균형을 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있다. 자원을 수입해야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자원 보유국에 대해서도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원유 수입을 줄여 사우디에 대한 무역적자 폭을 줄이자고 주장하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對日 무역 적자 고질병 대책 없나](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06/01/04/200601040500041_3.jpg)
![對日 무역 적자 고질병 대책 없나](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06/01/04/200601040500041_2.jpg)
LG필립스LCD 구미 공장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직원.
특징적인 것은 대일 수입 주종 품목은 우리나라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대단히 높다는 점이다. 기타 잡제품의 시장점유율은 70%를 넘고 있으며 플라스틱 제품, 광학기기도 6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대일 수입이 많은 품목은 일본 기업이 독점력을 가지고 있어서 수입선 전환이 어려운 품목들이라고 할 수 있다. 상위 20대 대일 수입품의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평균(가중평균) 39.3%라는 높은 수준이다.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
- 1
팔란티어, 엔비디아 바통 넘겨받아 AI 시장 선도주로 급부상
- 2
[오늘의 급등주] 유일로보틱스, 실적 확대 기대감에 장중 신고가
- 3
‘편리한 이동 수단’에서 ‘바퀴 달린 컴퓨터’로 진화하는 자동차
- 4
해외펀드 배당소득 이중과세 현실화 충격
- 5
[영상] “범용인공지능 가장 먼저 개발하는 기업이 시장 독식”
- 6
전한길 “국가 원수 탄핵 가리는 엄중한 사안… 공정하게 재판해야 국민이 승복”
- 7
[단독] 법무법인 광장,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인수 자문에서도 미공개 정보 유출
- 8
“금값은 한 번 오르면 10년간 올라… 이번 사이클은 2019년 시작”
- 9
‘나치 논란’ 지드래곤 세계 투어 포스터
- 10
‘우물 안 개구리’ 한국 AI 산업이 나아갈 길
[오늘의 급등주] LS네트웍스, 머스크 xAI 새 모델 공개에 15.63% 급등
딥시크 R1, 챗GPT는 하지 않는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수집
한국 AI 산업 성패, 데이터 확보에 달렸다
전투기 공중전, 초장거리 교전 대비가 대세… 한국은 걸음마
국민 대다수 찬성에도 미뤄지는 ‘내장형 동물등록 일원화’
[오늘의 급등주] 유일로보틱스, 실적 확대 기대감에 장중 신고가
팔란티어, 엔비디아 바통 넘겨받아 AI 시장 선도주로 급부상
‘편리한 이동 수단’에서 ‘바퀴 달린 컴퓨터’로 진화하는 자동차
해외펀드 배당소득 이중과세 현실화 충격
‘나치 논란’ 지드래곤 세계 투어 포스터
에디터 추천기사
딥시크 R1, 챗GPT는 하지 않는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수집
전문가 “현행법상 중국 정부가 개인정보 마음대로 볼 개연성 배제 못 해”
“딥시크 R1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중 특히 눈에 띄는 건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Key-stroke patterns or rhythms)’이다. 이 정보가 있으면 사용자가 인공지능(AI) 채팅창에 입력한 내용을 직접 쓴 건…
임경진 기자
[오늘의 급등주] LS네트웍스, 머스크 xAI 새 모델 공개에 15.63% 급등
이한경 기자
한국 AI 산업 성패, 데이터 확보에 달렸다
김지현 테크라이터
전투기 공중전, 초장거리 교전 대비가 대세… 한국은 걸음마
이일우 자주국방네트워크 사무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