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을 움직일 때마다 허리와 다리에 통증을 느끼면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척추질환 전문 나은병원의 김기준 원장.
송씨처럼 걷거나 움직일 때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심하고, 쉬면 괜찮아진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같은 증상은 척추를 잡아주는 디스크나 인대의 약화로 척추가 흔들리는 ‘척추불안정증’ 때문에 생긴 것이다.
컴퓨터 영상 신경치료로 통증 해소
척추질환 전문 안양 나은병원의 김기준 원장은 “척추불안정증은 그 위치에 따라 전방 전위 불안정증, 후방 전위 불안정증, 척추 디스크의 차이로 각이 지는 불안정증, 축이 돌아가 허리 몸통뼈가 비정상인 측회전 불안정증 등이 있다”며 “이는 대부분 퇴행성 변화에 따른 것이지만 최근엔 잘못된 자세의 지속, 외상, 허리 관리에 소홀한 젊은 층에서도 척추불안정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한다.
척추불안정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몸을 움직일 때마다 허리나 다리에 통증이 나타나고 허리를 구부리거나 뒤로 젖힐 때 극심한 통증이 찾아온다는 것이다. 결국 운동 범위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또 오래 앉아 있기 힘들어지고, 오래 누워 있어도 허리 통증으로 숙면을 취하기가 어렵다.
척추불안정증은 대부분 노화로 인해 척추뼈를 연결해주는 인대나 관절, 그중에서도 후방관절에 염증이 생겨 척추가 불안정한 상태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척추 뼈마디가 불안정하다는 것은 척추관까지 불안정성을 가져오는 것을 뜻하는데, 이 경우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까지 자극을 받게 된다. 따라서 증상을 방치하다 보면 신체 마비까지도 올 수 있다.
척추불안정증의 치료법으로는 비수술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이 있다. 김 원장에 따르면 “우리나라 환자들은 허리에 통증이 있으면 침이나 뜸, 물리치료 등으로 통증을 다스리다 증상이 악화된 뒤에야 병원을 찾아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은데, 조기에 병원을 찾으면 비수술적 요법으로 얼마든지 치료할 수 있다”고 밝힌다.
비수술적 요법 중 가장 각광받는 시술이 ‘컴퓨터 영상하 심층신경근 치료술(FIMS)’이다. 수술을 하지 않고 주사로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법인 FIMS는 컴퓨터 영상촬영을 통해 모니터로 눌린 신경근을 보면서 다친 신경에만 선택적으로 약물을 투여하고 신경을 자극해 통증을 없앤다.
척추불안정증으로 인한 허리 통증은 척추 뼈마디를 불안정하게 함으로써 척추관에까지 불안정성을 가져와,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에 자극을 줘 염증을 불러오기도 한다. 이때 FIMS는 특수 조영증강 영상장치로 염증을 감소시키는 약물을 신경 가까이에 주입하는 소염작용을 해 통증을 완화한다. 이후엔 운동치료를 병행해 척추근력을 강화해야 한다.
나은병원의 척추불안정증 환자 진단 모습.
FIMS는 척추불안정증 외에 물리치료로도 통증이 완화되지 않거나 초기 디스크로 인한 통증, 수술 후 잔여 통증이 있을 때도 효과가 높은 시술법이다. 시술시간은 5~10분이며, 환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1~2주 간격으로 3회 정도 시술한다. 시술 후 1~2시간 안정을 취하면 곧바로 일상에 복귀할 수 있으며, 시술 후 즉시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컴퓨터 영상을 통해 바늘로 시술하는 예민한 작업인 데다, 근육이 약한 환자의 경우 시술 후 시술 부위가 더 아프거나 어지럼증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에 임상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에게 시술받는 게 바람직하다. 시술 후 일주일 정도는 무리한 운동을 하거나 무거운 물건은 들지 않는 것이 좋다. 또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시술 후 24시간 내에는 샤워를 하지 말아야 한다. 시술 후엔 물리치료를 받으면서 척추근육 강화운동을 하는 것이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는 길이다.
척추의 흔들림이 심하다면 수술이 필요한데, 수술은 흔들리는 척추를 잡아주는 것과 눌린 신경을 풀어주는 것이 관건이다. 수술 방법은 척추뼈가 흔들리는 정도에 따라 미세현미경 신경감압술이나 인대성형술, 척추유합술 등 다양하다. 최근엔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최소침습술을 시행해 수술에 부담을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김 원장은 “환부를 3cm 정도 절개한 뒤 미세현미경을 통해 망가진 신경을 복원하고 흔들리는 관절을 유합시키기 때문에 시술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절개 부위가 작아 주변 근육을 다치지 않게 하므로 회복이 빠르고 부작용의 위험도 없다”고 덧붙인다. 무엇보다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으로 걷기운동을 하면서 체중조절을 통해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는 예방법이 최선의 방책이라는 것이 김 원장의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