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B형간염은 일반적으로 만성 간염을 거쳐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최근 국내 연구 자료에 따르면 간암의 약 70%가 B형간염 바이러스와 관련 있다는 것. 더욱이 B형간염 환자는 질환으로 인한 고통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받는 여러 불이익 때문에 이중으로 힘든 생활을 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로 인해 생계의 위협을 받고 있는 환자들도 적지 않다고 한다.
만성 B형간염의 치료는 우선, B형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거나 억제해 염증(지속적이며 반복적인)에 의한 간기능 저하나 간경변으로의 진행을 중단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간부전으로 인한 사망이나 간암을 저지하는 것이다.
만성 B형간염의 치료 역사를 살펴보면, 90년대 초반 이전에는 주로 인터페론 주사가 사용되었으나 낮은 효과와 부작용으로 인해 임상에서 별 호응을 받지 못했다. 그리고 90년대 중반까지는 라미부딘이 등장하면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듯했지만 이마저도 장기 투여에 따른 내성바이러스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2세대 항바이러스 제제가 개발 중인 상황. 현재까지 라미부딘 내성바이러스에 대한 국제 공동 연구 결과, 아데포비어·엔테카비어·클레부딘·텔비부딘 등의 효과가 인정되어 일부 약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다.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아데포비어가 2세대 항바이러스 제제로 인정받아 라미부딘 내성 환자에게 보험적용 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만성 B형간염은 일반적으로 악화와 회복의 경과를 반복하므로 병의 호전을 스스로 판단하지 말고 전문의의 지침에 따라 치료받아야 한다.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간기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른 영양식과 충분한 휴식이 필수. 과음, 과로와 검증되지 않은 생약 혹은 민간보조요법은 자칫 간을 더욱 해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방을 통해 환자 수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300만명에 달하는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들이 제대로 치료를 받아 간경화·간암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그것 역시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