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66

..

과잉 포장이 환경호르몬 주범

  • 김정금 JK 수리논술연구소장·제일아카데미 대표

    입력2006-12-26 11:0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환경호르몬, 얼마나 위험한가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라고 하는데, 우리 몸속의 정상적인 작용을 방해하는 인공 화학물질로서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하는 ‘유사 호르몬’이다.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환경호르몬은 생식기 기형, 정자 수 감소, 성장 지연, 면역 기능 이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남성 불임이 증가한다거나 소아암이나 백혈병으로 죽는 어린이가 늘고 있는 것도 모두 환경호르몬과 무관하지 않다.

    최근 환경호르몬의 유해성에 대한 내용이 공중파 방송을 타면서 환경호르몬이 다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극심한 생리통을 호소하는 여성 중 대부분이 중증의 자궁내막증에 걸렸으며, 자궁내막증이 환경호르몬과 관련 있다는 것과 유아에게서 나타나는 성 조숙증과 요도하열증 역시 환경호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방송이 나간 뒤 여성들의 공포심은 극에 달한 상태다.

    환경호르몬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사용을 줄이는 방법은?

    환경호르몬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물론 제도적인 규제도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소비재가 환경호르몬을 담고 있음을 생각할 때 소비재에 대한 현명한 선택은 환경호르몬을 줄이기 위해 개인이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쓰레기를 태우면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수은이나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 농약이나 살충제 성분, 플라스틱 성분,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가소제와 살균제 등은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받는 물질들이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라는 소재가 열을 받으면 비스페놀A라는 환경호르몬이 발생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젖병, 물통, 선글라스, 헤어드라이어, 선풍기 부품 등 거의 모든 생활필수품에 광범위하게 쓰인다. 또 캔 내부 코팅제, 병마개, 수도관 내장 코팅제로도 쓰인다. 결국 환경호르몬의 위험성을 알면서도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피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랩의 원재료에는 화학물질이 많이 들어 있지만 폴리에틸렌(PE) 제품은 비교적 안전해서 태울 때 다이옥신이 나오지 않는다. 또한 음료 보관용기로 쓰이는 캔은 환경호르몬을 함유하지 않은 용기를 골라야 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코팅된 캔 제품은 환경호르몬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은데, 이를 구분하는 방법은 일체형 캔을 고르는 것이다. 일체형 캔은 바닥에 덮개가 없는 형태로 바닥 색깔이 은색이 아닌 흰색을 띤 것이다.

    폴리염화비닐(PVC) 랩은 접착력이 좋아 공업용으로 많이 쓰이는데, 식품이나 음식물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폴리염화비닐 랩으로 포장한 식품이나 음식물은 구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난감도 PVC 제품은 구입하지 않는 것이 좋다.

    스티로폼의 원료인 스티렌은 생식기 이상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만큼 독성이 강하다는 증거다. 스티렌은 여성호르몬을 증가시켜 자궁암, 백혈병, 췌장암 등의 발병을 증가시킬 수 있다. 환경호르몬 물질은 뜨거운 물, 기름, 알코올 등에 쉽게 녹는 성질이 있다. 가능하면 컵라면 같은 스티로폼 용기는 뜨거운 물을 붓거나 기름이나 알코올과 닿지 않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스티로폼 용기는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최선이다.

    염소계 플라스틱 제품은 구입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환경호르몬이 배출되는 재질은 피해야 하며, 플라스틱 밀폐용기를 구입할 때는 재질 표시를 반드시 확인한다. 백화점이나 대형 할인마트에서는 과일, 채소, 일반 식품에 이르기까지 각종 비닐팩이나 플라스틱 용기에 깔끔하게 포장해 판매한다. 하지만 이런 과잉 포장이야말로 환경호르몬의 주범이다.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다이옥신류는 일반 쓰레기를 태우면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문제)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설명하시오.
    호르몬은 혈액을 타고 목표 지점에 도착해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한다. 호르몬 특정 부위(열쇠)가 수용체(자물쇠)와 결합하면 이 신호가 세포 내 유전자에 도달해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활성화함으로써 우리에게 필요한 단백질이 합성되어 생리작용을 돕게 된다. 만일 환경호르몬이 수용체와 결합하면 세포 내 유전자는 비정상적인 활동을 벌이게 된다. DDT(제초제 성분), 다이옥신, 다염소화 비페닐(PCB) 등 현재 약 100종의 환경호르몬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제노에스트로겐’이라는 물질은 에스트로겐과 비슷하게 작용해서 유방암이나 자궁암에 걸릴 확률을 높인다. 또 DDT는 남성호르몬이 붙을 자리에 대신 결합해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감소시키므로 ‘여성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 결과 생물체의 성장이나 생식 등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정상적인 작용을 방해해 정자 수 감소, 암수의 변환, 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