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79

..

‘수’ 재일교포 최양일 감독

“킬러의 처절한 액션 싸우며 살아남은 내 언어”

  • 입력2007-03-30 15:2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 재일교포 최양일 감독
    영화 ‘수’에서 1인 2역으로 열연한 배우 지진희가 최양일 감독을 처음 봤을 때 “야쿠자 같다”라고 말했다. 맞다. 최 감독은 야쿠자처럼 무섭게 생겼다. 우리 식으로 말하면 산적처럼 장대한 몸집에 얼굴에 턱수염과 구레나룻까지 났다. 눈빛도 사납고 무섭다. 깊은 산속에 떨어뜨려도 억센 생존본능으로 살아 돌아올 것 같은 이 남자 최양일.

    ‘수’ 시사회에서 감독과 배우의 무대 인사를 기다리는데, 주최 측에서 “조금 늦는다. 양해를 바란다”고 했다. 최 감독이 일본어로 말하기 때문에 통역하느라 더 시간이 걸린다고도 했다. 그리고 15분쯤 지나서 ‘수’의 감독과 배우들이 무대로 올라왔다.

    먼저 최 감독이 무대 인사를 했다. 그러나 주최 측의 설명과 달리 그는 한국어로 말했다. 능숙하지는 않지만 같이 일한 스태프들과 배우들에게 한국어로 고마움을 표현했고, 시사회 참석자들에게도 재미있게 봐달라고 인사했다.

    일본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활동하면서 일본 국적이 아님에도 일본영화감독협회 이사장을 두 번이나 역임하고 있는 최양일 감독. 그가 한국어를 큰 불편 없이 구사할 수 있는 것은 (재일 조선학교를 나오기도 했지만) 몇 년 전 한국에 와서 한국어를 공부했기 때문이다.

    최 감독은 1949년 나가노현에서 태어났다. 우리 나이로 예순이 다 된 그는 재일교포 2세인 셈이다. 그러나 그가 한국을 방문하기 시작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그는 도쿄에 있는 조선 중고급 학교를 졸업했다. 재일 조선학교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우리 학교’를 보면 일본 내 소수자로서 재일 한국인이 어떤 차별대우를 받으며 살아가는지 잘 알 수 있다.



    민단 계열이 아니라 조총련계 학교를 나온 최 감독은 학창 시절을 전투하다시피 살았다. ‘우리 학교’를 보면 여학생들이 검은 치마저고리를 입고 등교할 때 남학생들은 일본 우익으로부터 여학생들을 지키기 위해 긴장했고, 학교를 사수하기 위해 몽둥이를 들고 싸워야 했다는 술회가 나온다. 최 감독이 조선학교를 다녔을 때는 일본 사회가 정치적으로 가장 요동쳤을 때였다.

    반미·반제국주의 투쟁이 격렬하던 1968년, 최 감독은 조선학교를 졸업하고 영화 현장으로 뛰어들었다. 무라카미 류의 소설 ‘69’(이 소설은 2005년, 역시 조선학교를 졸업한 재일교포 이상일 감독에 의해 영화화됐다)의 배경을 봐도 ‘전공투 사건’ 등으로 당시 일본 사회가 얼마나 혼란스러웠는지 잘 알 수 있다. 최 감독은 그 시절 선배를 따라 영화 현장에서 일했다. 조명 조수이자 소도구 담당이었다. 72년부터는 TV 프로그램의 조감독으로 일하기도 했다.

    ‘수’ 재일교포 최양일 감독
    데뷔작은 ‘10층의 모기’ … 1993년부터 국내 언론에 등장

    태평양전쟁 직후 아베 사다라는 매춘부가 남자의 성기를 절단한 실제 사건을 소재로 한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영화 ‘감각의 제국’에서 그는 조감독을 맡았다. 주연 남녀 배우의 실제 섹스가 등장하고, 특히 남자의 성기를 자르는 마지막 장면이 국제 영화계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던 작품이다. 최 감독의 회고에 따르면 오시마 나기사 감독은 ‘성질이 불같은 사람’이었다. 최 감독도 수없이 야단을 맞았는데, 촬영 막바지에는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지적에 그도 상을 엎으며 대들었다고 한다.

    1983년 최 감독은 데뷔작 ‘10층의 모기’를 찍었다. 그는 이 작품으로 마이니치 신인감독상과 요코하마 영화제 신인감독상을 받았다. 흥행에서도 성공했다. 하드보일드 야쿠자 영화로, 기타노 다케시가 비트 다케시라는 이름으로 출연했다.

    그러나 일본에서 사이 요이치라고 불리는 최 감독의 이름이 국내 언론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0년 뒤인 1993년 무렵부터였다.

    최 감독의 작품 중 가장 흥행에 성공한 영화가 바로 1993년작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다. 도쿄의 밤거리를 달리는 심야 택시 운전사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이 작품은 재일교포 문제를 제기한 사회 코미디다. 데뷔작 이후 ‘언젠가 누군가 살해당한다’(1984년) ‘친구여, 조용히 잠들라’(1985년) ‘검은 드레스의 여자’(1987년) ‘A사인 데이즈’(1989년) 등의 영화에서 하드보일드 스타일을 고수해온 그가 이 작품을 통해 변신을 시도한 것.

    그러나 최 감독은 다시 ‘막스의 산’(1995년), 국내에도 소개된 ‘개 달리다’(1998년) 등에서 예전 스타일로 돌아왔다. 그래도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 이후 작품 스타일이 조금 달라졌다.

    “나는 학생 때 운동권이었다. 나도 청춘의 기억에서 해방되고 싶다. 정치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니 모든 게 별거 아닌 것으로 보인다.”

    2004년 한국에서 최 감독의 회고전이 열렸다. 일본에서 개봉된 최 감독의 영화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그리고 2006년 최 감독이 직접 각본 작업에 참여한 ‘수’의 촬영이 시작됐다.

    ‘수’는 한국 관객들에게 상당히 낯선 영화가 될 것이다. ‘수’는 복수의 이야기다. 동시에 ‘수’는 ‘수’라고 불리던 암흑가의 해결사 장태수(지진희 분)를 뜻하기도 한다. 장태수는 19년 전 헤어진 쌍둥이 동생 장태진(지진희 분)과 재회하는 순간, 동생이 킬러가 쏜 총에 맞아 숨지는 것을 목격한다. 태수의 복수 상대는 19년 전 그들 형제를 헤어지게 했던 마약 보스 구양원(문성근 분)이다.

    ‘수’ 재일교포 최양일 감독

    ‘수’

    손으로 귀를 잡아뜯고 눈알을 뽑는 잔혹한 액션, 양동이로 쏟아부은 듯 검붉은 피로 흥건한 화면은 원초적 생명력을 갖고 있다. 서사적 전개에서 큰 얼개는 있지만 각 장면이 갖는 미시적 정치함은 부족하다. 중요한 것은 세밀한 인간관계나 섬세한 감정묘사가 아니라 액션 자체이기 때문이다. 공중을 날아 멋진 이단옆차기를 한다거나 벽을 타고 점프해 두세 명의 적을 한 번에 쓰러뜨리는 장쾌한 액션은 아니다. 서로의 목을 조르고 엉겨붙는 개싸움 같은 육탄전이 화면을 가득 메운다.

    “한국사 비극 제주도 4·3사건 영화화가 오랜 소원”

    ‘수’의 ‘복잡한 문제’는 오랫동안 일본에서 처절하게 싸우며 살아온 한국인 감독이 처음으로 한국 영화인들과 한국어로 영화를 만들면서 오는 시차에서 발생한다. ‘수’에는 지금까지 어떤 한국 영화에서도 볼 수 없는 처절한 액션이 등장하고 피비린내가 진동한다. 하지만 이상하게 그런 것들이 현실감을 갖고 정서적 울림을 전해주지 못한다. 왜 그럴까? 나는 그것이 최 감독의 시차 적응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최 감독은 아직 한국어로 사고하고 한국어로 발성하는 방법과 자신의 코드를 일치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자신의 문화권을 벗어나 다른 문화권에서 영화를 만드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단순히 언어 차이 때문만은 아니다. 무대 인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최 감독은 한국말로 소통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

    그런데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나 ‘개 달리다’ ‘피와 뼈’ 같은 작품과는 달리 ‘수’가 입천장에 착착 달라붙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작품을 바라보고 캐릭터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감독과 배우 혹은 감독과 스태프, 그리고 감독과 한국 관객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젊은 한국 영화의 도전정신이 좋았다.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영화를 만드는 게 꿈이었고 그 출발점이 서울이기를 바랐다.”

    최 감독의 오랜 소원은 제주도 4·3사건을 소재로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그는 한국 내에서는 잊힌 한국사의 거대한 비극을 연출하기 위해 조선학교를 졸업한 뒤 거의 쓰지 않던 한국어를 다시 배웠다. 최 감독이 4·3사건을 소재로 한국에서 영화를 만들 수 있을지 ‘수’의 흥행이 말해줄지 모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