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49

..

국제기구 취업은 빛 좋은 개살구?

최고 스펙에도 무급여 ‘忍턴십’ … 바늘구멍 정식 채용돼도 힘든 생활

  • 이근희 인턴기자·원광대 한의대 2학년

    입력2014-08-04 10:5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제기구 취업은 빛 좋은 개살구?

    미국 뉴욕에 위치한 유엔 건물.

    “한국인이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2012년 10월 22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만난 자리에서 잇따른 한국인 국제기구 수장 배출을 언급하며 던진 농담이다.

    고(故) 이종욱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김용 세계은행 총재 등 많은 한국인이 국제무대에서 적극적인 활약으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이들의 뒤를 잇고 싶어 하는 젊은이들 또한 국제기구 진출에 높은 관심과 열정을 보이고 있다.

    복수의 국가가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하려고 모인 협력체인 국제기구는 세계의 정부 유엔을 비롯해 WHO, 세계무역기구(WT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노동기구(ILO) 등 130여 개에 이른다. 이 중 50여 개 국제기구에 한국인 530명 정도가 진출해 있다. 언론을 통해 전해지는 이들의 국제무대에서의 활동, 외국 생활, 고액 연봉은 젊은이 사이에서 ‘워너비’가 됐지만 그 화려함 속에 숨겨진 그들의 피나는 노력은 워너비가 아니었다.

    젊은이들의 워너비일 뿐



    젊은이의 동경 대상인 국제기구 진출 첫걸음은 인턴생활이다. 한국의 조직문화처럼 불특정 다수의 신입사원을 뽑아 처음부터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즉시 가용한 인력을 원하기 때문에 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인턴십은 매우 중요하다. 유엔 등 모든 국제기구에서는 매년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실무 경험을 쌓고 인맥도 만들 수 있어 많은 학생이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국제기구 진출이 ‘빛 좋은 개살구’라는 비판이 여기저기서 나온다. 국제기구 진출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인턴십부터 엄청난 벽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현재 국제기구 인턴십은 취업에 준할 만큼 높은 스펙을 요구하는 데다 급여가 없어 지원자들을 힘들게 한다. 인턴에 합격한다 해도 해당 국제기구가 자리한 나라까지 가는 항공비부터 생활비까지 본인이 다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니 집안에서 지원해줄 수 없는 저소득층 학생에게는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

    2013년 유네스코(UNESCO)에서 인턴을 했던 정모(25) 씨는 “나는 운 좋게 여성가족부의 지원을 받아 갈 수 있었지만, 지원을 못 받으면 실제 합격한다 해도 가기 힘들다”고 말했다. 2월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WHO에서 인턴생활을 했던 강모(27) 씨도 자신의 경험을 이렇게 털어놓았다.

    “제네바 물가가 너무 비싸 밖에서 사먹을 엄두를 못 냈어요. 햄버거 세트가 거의 2만 원이었다니까요. 6주 동안 인턴생활하면서 든 비용만 500만 원이 웃돌아요. 아는 인턴 중에는 집을 구하는 과정에서 사기당할 뻔한 적도 있었고요. WHO 처지에선 오겠다는 사람이 많으니 아쉬울 게 없죠.”

    제네바에 있는 수많은 국제기구 중 급여를 주는 곳은 ILO밖에 없다. 또 막상 일을 해보니 생각과는 다른 근무환경에 실망한 이도 적잖다. 2013년 국제형사재판소(ICC)에서 근무했던 이모 씨는 “팀별로 권한이 다르긴 하지만 사실 인턴이라 비공개 문서에 대한 권한이 없다. 보고 싶은 서류가 있어도 무조건 허락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인턴으로서 실무 경험을 쌓는 데 별 도움이 되지 못했던 부분도 없지 않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치열한 경쟁에 취업 위한 사설 강의도

    2006년 ‘월간중앙’에서 외교부 국제기구의 협조를 받아 확인한 조사에 따르면, 이렇게 힘든 인턴생활을 거쳤어도 국제기구 취업으로 바로 이어지는 경우는 설문조사 응답자 50명 중 12%(6명)밖에 되지 않았다. 게다가 나중에 국제기구에 지원할 때 경력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 정도 일해야 하는데 그 기간 무급으로 외국생활을 한다는 것은 평범한 한국 대학생에게는 현실적으로 힘든 일이다.

    인턴십을 거쳤어도 국제기구 채용까지 극복해야 할 것은 산 넘어 산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제기구에 들어가는 길은 국가별 경쟁채용시험(NCRE)과 공석공고(결원 발생 시 치르는 시험), 국제기구초급전문가(JPO) 시험 등을 통해서다. 국제기구에서 직접 시험을 치르는 NCRE 또는 공석공고 방식과 달리 JPO는 외교부에서 선발해 2년 정도 국제기구로 파견근무를 나간다. 이는 정식 직원 채용을 지원하는 제도로 모든 경비를 정부에서 부담한다. 만 32세 이하 학사 이상 학력을 가진 대한민국 국민 중 텝스(TEPS·민간자격국가공인 영어능력검정) 900점 이상인 자만 지원 가능하며 영어면접, 영어작문, 제2외국어, 경력, 학위 등을 평가한다.

    JPO 시험에 합격하려면 실질적으로 텝스 930점 이상, 유창한 영어회화 실력, 제2외국어 능력, 전문 분야에서의 6개월 이상 경력, 석사 이상 학위 등 최고 수준의 스펙이 필요하다. 정부로부터 경비지원을 받고 2년간 파견 기간이 만료되면 80% 이상이 정식 직원으로 채용되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다. 실제 2013년 말까지 JPO를 수료한 73명 중 61명이 국제기구 정식 직원이 됐다.

    이처럼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시중에는 국제기구 취업을 위한 사설강의까지 개설돼 있다. 인터넷에선 열기가 뜨겁다. 2001년 개설된 ‘유엔과 국제활동 정보 센터(ICUNIA)’라는 인터넷 카페에는 5만 명 정도가 회원으로 가입해 해외 진출을 위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전문 경력과 스펙 등을 준비하다 보니 국제기구 취업은 서른 살이 넘어서야 가능한 경우가 많다. 실제 한국에서 국제기구에 취업한 이들 중 70%가 서른 살 이상이었으며, 국제기구가 첫 번째 직장인 사람은 4%에 불과했다(‘월간중앙’ 조사자료). 직장을 다니며 국제기구 진출 준비를 한다는 것은 실제 만만한 일이 아니다. 공기업에 다니며 3~4년간 국제기구 진출을 준비하다 포기한 30대 직장인 박모 씨는 “영어시험 준비나 면접시험 대비는 내 힘만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면서 합격에 필요한 추가 점수를 얻으려고 박사학위를 받거나 전문 경력을 쌓는 건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두세 번 도전했다 포기했다”고 말했다.

    “국제기구에 가고 싶다고 오는 분 가운데많은 경우가 막연한 기대를 갖고 찾아옵니다. 그런 분들은 시간만 끌다 한두 번 시도하고 그만두죠. 중요한 것은 체계적으로 목표를 세워 경력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국제기구 진출 준비학원 톰슨에듀의 지현욱 대표는 “국제기구 진출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실현 가능한 목표”라고 말했다. 최고 수준의 인재가 그토록 바라던 국제기구에 파견되지만 한국 JPO들은 초기 업무에서 난항을 겪는다. 어학 실력은 높지만 외국 JPO들에 비해 경험과 경력 면에서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어학 실력이 뛰어나고 스펙이 좋아 선정된 JPO 중에는 국제기구에 대한 막연한 동경으로 온 경우가 많다. 이들은 업무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 하다 파견 기간도 채우지 못한 채 그만두고 만다.

    중도에 포기하는 여성 많아

    국제기구 취업은 빛 좋은 개살구?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세계보건기구(WHO).

    힘든 과정을 거쳐 국제기구에 채용된 다음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국제기구는 정부 간 합의하에 이뤄진 기구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일하는 이들도 있지만, 결국 사업은 여러 나라 정부와 함께 추진하게 된다. 말 그대로 ‘활동가’가 아니라 국제 ‘공무원’인 것이다. 그래서 많은 이가 ‘열정과 동정심으로 아픈 사람들을 구원하겠다’같은 감상적인 기대를 안고 들어왔다 반복되는 행정업무에 실망하곤 한다. 동남아지역 국제기구에서 근무했던 이모(40) 씨는 유엔의 폐단에 대해 이렇게 지적했다.

    “국제기구는 너무 관료주의적이에요. 서로 다른 이들이 모이고 여러 나라 정부를 상대하다 보니 작은 일에도 하나하나 규칙을 만들어 처리해야 해 전문 업무보다 행정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해요. 하루의 반을 문서 작성하는 데 할애합니다.”

    또한 많은 준비기간을 거쳐 국제기구에 정식 채용됐다 해도 세계 곳곳을 3~4년 주기로 옮겨 다니다 보니 가정을 꾸리기가 어렵다는 것도 애로사항 중 하나다. 평균 취업 연령도 30대를 훨씬 넘어 국제기구의 평균 초봉 6만 달러는 비슷한 스펙을 가지고 한국 대기업에 다니는 동년배에 비해 높은 편이 아니다. 한국인의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 비율은 줄고 남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느는 이유도 중도에 포기하는 여성이 그만큼 많기 때문이다.

    겉보기에는 화려하지만 실상은 고되고 힘든 국제기구 생활. 만약 국제기구 진출에 뜻을 둔 사람이라면 진로에 대한 부단한 탐색과 국제사회를 위한 봉사라는 사명감이 없다면 재고에 삼고를 하는 게 옳을 듯하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