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97

..

나쁜 일 훌훌 털고 꿈꾸고 즐겨보라고!

과거 편집하는 법

  • 김용길 동아일보 편집부 기자 harrison@donga.com

    입력2011-07-25 11:0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또 하루를 ‘살아냈다’. 만만한 삶이 어디 있으랴. 다들 버겁게 생업을 치러내고 오늘을 어제로 보냈다. 지난 일이 과거라는 고샅길을 지나 레테의 강을 건널 채비를 한다. 지나온 시간과 밟아온 궤적 모두를 기억 속에 보관하지는 않는다. 바닥 모르는 심연으로 가라앉거나 먼지처럼 허망하게 부유하기도 한다. 회상의 뚜껑을 열자마자 휘발하거나 탈색하기도 한다. 기억의 창고엔 추억의 편린이 경중 완급 없이 흩어져 있다. 과거를 꺼내 만져보는 일은 감성적 되새김질이다.

    우리는 언제 과거를 꺼내보는가. 대부분 시련을 맞닥뜨릴 때다. 과거는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도 없다. 과거는 내 희로애락의 스토리와 버무려져 기억의 시렁 위에 얹혀 있다. 말라버린 꽃다발처럼 향기가 없고 다가오는 시선도 드물다. 과거는 추억이라는 고갱이로 갈무리되면 더욱 외로워진다. 추억은 무작위로 출몰한다. 한의원 약장처럼 이름표 달고 일목요연하게 분류되지 않는다. 도서관 서적 분류 방식처럼 논리적이지도 않다.

    추억이란 수많은 기억 요소 가운데 간추려 편집한 한 장의 삽화다. 퇴적된 과거 에피소드 뭉치를 단층 촬영한 추억은 기쁨, 슬픔, 상처, 이별 모두를 담는다. 영국 역사학자 E. H. 카(1892~1982)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 과정”이라고 말했다. 마찬가지로 추억도 과거와 현재의 심경이 맞물려 빚어낸 머릿속 임시 파일이 아닐까. 고정 불변한 추억은 없다. 추억의 수명과 생명력은 현재의 처지에 따라 출렁거린다. 과거를 편집해 흐뭇한 추억으로 추려보는 세 가지 요령을 살펴본다. 왜냐하면 숱한 과거를 다 품고 껴안기에는 우리 생이 너무 짧기 때문에.

    첫째, 과거에 사로잡히지 마라. 토크쇼의 최고 브랜드로 자리 잡고 국제적 사회사업가로 활동하는 오프라 윈프리. 그는 자신이 미혼모의 딸로 태어나 어릴 때 사촌형제에게 성폭행당해 14세에 임신까지 했다고 고백했다. 가난한 흑인 소녀의 기념비적 성공담은 많은 미국인에게 감동을 줬다. 그는 과거의 절대 불행에 사로잡히지 않고 그 과거와 싸워 이겼다. 세상과의 소통을 선택해 자신을 건강하게 일으켜 세웠다. 누구든지 윈프리와 대화를 나누면 스스로 알아서 자신을 오픈하는 현상도 생겼다. ‘뉴욕타임스’는 이를 ‘Oprahization(오프라화)’이라고 명명했다. 이 신조어는 ‘속마음이나 과거의 철없는 행동을 만인에게 털어놓으려는 사람이 늘어나는 현상’으로 풀이할 수 있다.

    둘째, 현재를 즐겨라. 라틴어로는 카르페 디엠(Carpe diem).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영어 선생님 존 키팅(로빈 윌리엄스 분)이 성적 향상만 중시하는 삭막한 교실에 갇힌 학생들에게 외친 말이다. 명문대 입학을 지상 과제로 삼도록 강요당하는 제자들. 키팅 선생님은 청춘이 마땅하게 누려야 할 인문학적 상상력을 강조하며 “현재를 즐겨라”라고 설파한다. 카르페 디엠은 ‘향락하라(Enjoy the present)’라는 말이 아니다. 이 순간을 놓치지 말고 자신을 펼치면서 표현하라는 의미.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셋째, 꿈꾸기를 멈추지 마라. 미래 설계도가 없을 때 과거에 붙들린다. 해야 할 과제가 없으면 허망한 추억만 들춰 감상에 빠지기 일쑤다. 본래 흐뭇한 추억이란 꿈꾸기를 시도하다 생겨난 ‘훈장’이다.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 명예회장의 최고 어록은 “이봐, 해봤어?”다. 과도한 심사숙고는 패배주의다. 돌다리마저 두들기다간 인생 다 간다. ‘생의 편집력’에서 기본은 나쁜 일은 줄이고 좋은 일은 늘리는 것이다. 부정적 과거는 털어내고 현재에 다 걸어라.

    나쁜 일 훌훌 털고 꿈꾸고 즐겨보라고!

    광화문 세종로 네 거리를 건너면서도 동해 속으로 내달리던 청춘의 7번 국도를 떠올린다. 추억은 일상을 다독인다. 현재가 튼실해야 추억도 아름답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