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아 역의 장진영 욕설과 애정 연기 압권
더도 덜도 말고 딱 70년대 호스티스 멜로 같은 이야기가 있다. 여자는 술집 작부이고, 남자는 어머니가 운영하는 갈빗집에 얹혀사는 할 일 없는 건달이다. 남자는 마음이 동하면 여자에게 간도 쓸개도 다 빼줄 것처럼 굴지만, 실은 약혼자가 있다. 여자는 그런 남자를 기둥서방인지 애인인지 남편인지 구분짓지 않고 사랑하면서 살아간다. 싸울 때는 악다구니를 써대며 서로의 머리끄덩이를 잡고 “죽인다” “찢어놓는다”를 입에 달지만, 남자는 술에 취해 죽도록 토하고 나서는 다시 여자의 사타구니와 입술로 기어든다. 정분이 쌓여도 한참 쌓여 물고 빨고 하는 사이. 빌어먹을, 그런데 이 남자가 결혼을 한단다. 둘의 사이를 눈치챈 남자의 어머니는 이참에 혼인신고까지 해놓았고, 눈이 뒤집힌 여자는 덮쳐오는 연애의 내리막을 막을 길 없어 어찌할 바를 모른다.
이 영화를 보니, 작부와 건달의 사회적 벽은 정말 100% 신분의 벽이라고 할 만하다. 그러니까 이것은 여의사와 조폭의 있을 수 없는 순애보도 아니고, 농부가 술집 여자를 위해 청산가리를 마시면서까지 지켜내는 ‘너는 내 운명’도 아닌 이야기다. 일상적이라고 보이는 가족이란 제도조차 꿈일 수밖에 없는 천하디 천한 것들의 순정담. 영화는 신분 차이라는 것이 이 사회 가장 낮은 동네에서도 엄연히 존재하며, 그것은 심지어 상류층과 중류층의 계급차보다 더 가혹하고 엄연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특히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은 산전수전 다 겪은 묵직한 배우가 감독을 했을 경우 빚어낼 수 있는 좋은 점과 나쁜 점을 두루 가지고 있다. 영운으로 분한 김승우와 연아로 분한 장진영은 그 어느 때보다 뛰어난 연기력으로 보는 이를 압도한다. 장진영의 연기는 근자 여배우들의 연기 가운데서 으뜸일 정도로 압권인데, 술에 취한 남자의 머리를 어루만지며 눈물 반 콧물 반 상태로 읊조리는 “넌 도대체 나한테 뭐니?”라는 대사로 이 거친 연애담의 가장 매끄러운 속살을 기꺼이 드러낸다. 김승우의 경우는 코미디 영화에서 장기를 보이던 그의 연기가 이 영화에서만큼은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없는 휴머니즘을 담보하는 장치가 된다.
반면 연출이라는 측면에서 영화는 수많은 이야기들이 마치 구전담처럼 굽이굽이 펼쳐져, 영화적으로는 지지부진하다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운이 “결혼하자”, 연아는 “첩년도 좋고 세컨드도 좋으니까 날 버리지만 말아줘”라고 애걸하는데, 그걸 그대로 믿을 관객이 있다고 믿는 감독이 너무 순진하다 싶다. 이 시대착오적인 대사가 절절하게 들리기 위해서는 연아라는 캐릭터에 좀더 공을 들여야 했는데, 아무리 봐도 남자들 이야기에 능해 보이는 감독은 이야기의 태반을 놀고 먹는 장면에 써버린다(게다가 클로즈업도, 줌도, 360도 트레킹도, 슬로모션도 장르적 감수성을 가지고 관객들을 흡인하기에는 효율성이 떨어진다).
뒷골목의 다양한 인간군상 모습 선보여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의 한 장면.
예술영화도, 장르영화도 아닌 ‘참을 수 없는 모호함’
그래서 영화는 ‘라이방’과 ‘파이란’의 어딘가에서 서성인다. ‘연애의 목적’보다 질척거리고, ‘너는 내 운명’보다 비루하다. 나는 김해곤 감독의 육화된 밑바닥 자산이 ‘순정’이나 ‘의리’ 같은 클리셰에 매달리기보다 폭발적인 어떤 상상력이 깃든 새로운 것으로 환골탈태하기를 바란다. 사람 입 속에 도시가 있어, 거기서 먹고 마시기만을 반복하는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같은 그로테스크한 패러디나 과장된 입담도 좋고, ‘파이란’처럼 아예 원작이 있어서 그 순백의 원작에 생생한 온기와 힘을 불어넣는 일이어도 좋다. 그러나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은 아직은 감독 자신의 이야기다. 기이하게도 줄거리는 매우 통속적인데, 일반 대중에게 통하는 통속성은 부족하다. 그러니 배우도 좋고 시나리오도 좋지만, 예술영화도 아니고 장르영화도 아니다. 거참, 참을 수 없는 김해곤 영화의 모호함이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