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81

2007.04.17

포털 공룡 “미디어 권력 사수하라”

정책부서 대대적 인력 충원 … 뉴미디어 시장 새판짜기 적극 대응

  • 정호재 기자 demian@donga.com

    입력2007-04-11 18:3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포털 공룡 “미디어 권력 사수하라”
    “지난해 신문법 논란 때는 무슨 오해가 있으려니 했다. 그런데 올해 공정거래위원회 직권조사 결정을 보고는 심각하다고 느꼈다.”

    2월 말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지배적 사업자인 포털업체들의 독과점 및 불공정거래 행위를 조사하겠다고 밝힌 직후 한 대형포털 관계자가 보인 반응이다. 그동안 포털업체들은 “인터넷 서비스 산업에서 독점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해왔기 때문에 공정위의 제재 가능성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한다.

    지난해 불거진 포털의 신문법 적용 논란 및 음란물 시비 등 시민사회의 ‘포털 견제론’에 정치권과 공권력의 압박까지 더해지자 대형 포털업체들은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바로 정책부서의 강화다. 이제까지 인터넷 기업들이 기술력과 마케팅에 승부를 걸었다면, 앞으로는 입법·행정·사법기관과 친화적인 인물을 수혈해 ‘포털 권력화’ 논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도다.

    NHN은 지난해 홍은택 전 오마이뉴스 국장을 네이버의 정보 흐름을 관리 감독하는 이사급인 ‘NAO(Naver Architecture Officer)’로 임명한 데 이어, 올해는 문화일보 한종호 사회부 차장을 정책담당 이사로 영입해 정책팀의 진용을 갖췄다. 법조 및 정치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한 이사를 중심으로 언론계, 입법기관 출신을 추가 영입해 네이버를 둘러싼 압박 여론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자체 취재기자 6명, 편집기자 20명을 두고 ‘미디어’를 표방해온 다음커뮤니케이션도 정책 업무를 담당하는 대외협력실의 기능을 강화했다. 다음은 또 대선에 대비해 공정보도 기치를 내걸고 미디어협력팀을 신설, 언론계 인사 영입에 나섰다. 다음 미디어협력실 관계자는 “포털 뉴스의 소임과 책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진 데 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야후나 SK커뮤니케이션 또한 정책부서와 미디어기획실을 신설해 대관(對官) 업무와 공정보도 관리를 맡겼다.



    야당 견제론에 잔뜩 긴장

    예전과 달리 포털들이 정책부서를 강화하는 이유는 코앞에 닥친 대선도 문제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신문법 재개정, 저작권 강화, IPTV(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도입 등 미디어 시장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포털들은 대선 전후로 펼쳐질 미디어 시장의 새판짜기에 좀더 적극적으로 참여해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미디어 시장을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전쟁’을 앞둔 포털들은 여타 미디어에 비해 실탄도 충분한 편이다. NHN의 경우 2006년 영업이익이 무려 2296억원에 이를 정도. 이에 따라 새로 영입한 인력에 주식매수선택권까지 부여하며 정책부서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기세등등한 포털에도 고민은 있다. 야당과의 불편한 관계가 그것. 집권 시 신문법 개정을 당론으로 정한 한나라당은 포털의 권력화를 막겠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어 포털업체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포털의 불공정거래를 규제하기 위한 ‘검색사업자법’이나 포털의 외국인 지분율을 50%로 제한하는 법안 등이 모두 한나라당에서 시작됐다. 따라서 포털업체들로선 야권 사정에 밝은 인재 확보가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3월28일 국회에서 열린 `포털의 언론기능과 신문법` 토론회에서 박형준 한나라당 의원은 “인터넷 포털은 이미 언론”이라며 “포털에서 제공하는 뉴스의 배치에 따라 여론이 뒤바뀔 수 있다”고 포털 경계론을 펼쳤다. 전여옥 한나라당 최고의원 역시 자신이 직접 경험한 네이버와의 소송 사례를 거론하며 거대 포털의 횡포를 성토했다. 과연 포털의 정책담당 인재들이 야당의 견제론을 돌파할 수 있을까? 포털 뉴스의 공정보도와 맞물리는 또 하나의 대선 관전포인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