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50

2006.08.29

사회 교과서는 이 시대의 거울

  • 최진규 충남 서령고등학교 국어 교사·‘교과서로 배우는 통합논술’ 저자

    입력2006-08-28 10:0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회 교과서는 이 시대의 거울
    통합교과 논술은 말 그대로 개별 교과의 단편적인 지식이 아니라 전체 교과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지식을 묻는 문제를 출제합니다. 즉 문제 상황의 이해 여부와 분석 능력, 그리고 배경 지식을 활용한 논증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수험생의 학업성취 능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통합교과 논술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교과 간의 연계학습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히 논쟁의 단초와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사회 교과는 더욱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발표된 주요 대학의 예시문항을 살펴보면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먼저, 기존의 철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지문 분석과 논리적 글쓰기에서 더 나아가 교과서의 기본 개념 및 원리를 다양한 문제 상황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울대가 발표한 2008년 통합교과 논술 1차 예시문항(인문계열)의 경우 수학Ⅰ 교과서와 관련된 두 번째 예시문항을 제외하고 첫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예시문항이 모두 사회 교과 내용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1차와 달리 2차 예시문항(인문계열)은 사회, 역사, 문학, 미술 등 교과통합형 문제가 다수 출제됐습니다. 연세대는 각종 도표와 통계자료를 이용해 수리적 연상을 사회문제와 관련지어 논리적으로 서술할 것을 요구했으며, 고려대는 자원 고갈, 핵폐기물, 황사와 지구온난화 등 환경과 관련해 문제 상황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대안을 모색하도록 했습니다.

    아래 예시문은 서울대 통합교과 논술 1차 예시문항 가운데 세 번째 문항 제시문의 일부분입니다. 두 제시문 모두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온 내용으로 제시문 (가)는 228쪽, 제시문 (나)는 229쪽에 있습니다.

    (가) 시장이 항상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독과점의 횡포 환경오염의 피해, 공공재의 생산 부족 등이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러한 시장 실패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의 경제 활동에 개입해 왔다. 환경 보호를 위한 규제, 공기업을 통한 특정 사업의 운영, 독과점과 불공평 거래에 대한 인 허가를 특정한 업자에게만 내주기도 하는데, 이는 기업간의 과도한 경쟁 방자, 자원의 효율적 이용, 공의 중진 등을 위해서이다. - 중략 -

    (나) 정부 규제는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기업 경쟁력의 약화, 기업과 정부의 유착, 관료 집단의 이기주의와 부정·부패 등이 바로 그것이다. 1980년대 이후 세계 여러 나라들은 국민 생활과 기업 활동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제 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민간의 능동적 참여와 자발적 창의가 실현될 때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영국의 예를 들어보자. 19세기 세계 제일의 경쟁력을 보유하였던 영국은 20세기 들어 소위 ‘영국병’이라 불리게된 지속적인 생산성의 하락과 수출 시장의 축소를 경험하였다. - 중략 -




    이외에도 두 개의 제시문이 더 있는데 제시문 (다)는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를, 제시문 (라)는 캐리 폴랴니(Kari Polanyi)의 저서 ‘거대한 변환’을 활용했습니다. 첫 번째 논제의 내용은 ‘(가), (나), (다), (라)를 입장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그렇게 나눈 이유를 논술하시오’입니다.

    제시문 (가)와 관련해 교과서에는 정부가 경제활동을 규제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고, 제시문 (나)는 정부 규제 완화가 경제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논제에서 요구한 2개 그룹과 관련해 답안을 작성한다면 제시문 (가)는 시장 자율이 낳은 환경오염, 공공재 부족 등으로 인한 정부 개입의 필요성을 들어 자율적인 시장 운영의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문 (나)는 영국 정부의 개혁정책을 사례로 들어 정부 개입을 줄이고 시장의 자율적 기능에 맡기는 긍정적인 측면을 서술하면 됩니다.

    논술은 기본적으로 논쟁을 전제로 하는 만큼, 수험생들은 사회 교과에서 다루는 내용(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이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로 수용될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한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 교과 가운데서도 선택과목(윤리, 사회문화, 법과사회 등)보다 10학년 공통필수 과목인 도덕, 공통사회, 국사 교과서는 모든 학생들이 배운다는 점에서 출제의 형평성과 당위성에 적합하다는 점도 반드시 유념해야 합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