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80

2005.04.12

“대중성 좇아야 하나 … 갈등 많이 했죠”

  • 입력2005-04-08 10:5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중성 좇아야 하나 … 갈등 많이 했죠”

    데뷔작 ‘여자, 정혜’로 세계 영화제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는 이윤기 감독. 뒤늦게 영화를 시작했지만 영화계의 기대는 적지 않다.

    ‘여자, 정혜’의 이윤기 감독을 만난 것은 서울 논현동 언덕배기에 있는 LJ필름 2층 사무실에서였다. 강남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입지 좋은 주택가에 자리한 LJ필름의 2층 양옥집 넓은 뜰 아래로 초봄의 따뜻한 햇볕이 내리쬐고 있었다. LJ필름은 주택을 그대로 사무실로 쓰고 있어, 오피스 건물에 들어서 있는 대부분의 영화사보다 훨씬 인간적인 냄새가 났다.

    이 감독의 데뷔작 ‘여자, 정혜’는 2004년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뉴커런츠상을 받으며 처음 소개된 이후, 올 1월 선댄스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되었고, 2월에는 베를린영화제에서 넷펫상을 받았다. 또 3월22일 개막한 홍콩국제영화제에도 초청받았다. 싱가포르국제영화제를 비롯해서 수많은 해외 영화제의 러브콜이 쏟아지고 있다.

    ‘수취인 불명’부터 ‘나쁜 남자’ ‘해안선’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까지 김기덕 감독과 함께 작업해온 LJ필름에 대해서, 이제 새로운 작가주의 감독 이윤기에게 투자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해외 영화제에서 이 감독을 바라보는 시선이 김기덕 라인이라는 것이다. 독특한 개성을 가진 작가주의 감독이고, 제작사도 같다. 이 감독의 다음 영화인 ‘러브 토크’역시 LJ필름에서 제작한다.

    -‘여자, 정혜’가 홍콩국제영화제에 초청되었고, 또 ‘러브 토크’ 프로젝트가 홍콩 아시안필름 파이낸싱 포럼에 초청되었다.

    “‘러브 토크’는 ‘여자, 정혜’보다 훨씬 먼저 쓴 시나리오다. 내가 영화를 하게 된 계기가 ‘러브 토크’ 때문이다. 1996년, 시네마서비스와 삼성 영상사업단에서 ‘좋은 영화 시나리오 공모’를 한 적이 있는데 그때 ‘자귀모’가 대상을 받았고, ‘러브 토크’가 입상되었다. ‘러브 토크’는 LA에서 외롭게 사는 한 남자와 두 여자의 사랑 이야기다. 그들은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그런 소극적인 사람들의 얽히고설킨 사랑 이야기인 것이다. 큰 스토리는 없고 자잘한 일상들이 펼쳐진다. 서로 만나서 이야기하다가 뿔뿔이 흩어진다. 다시 말하자면, 한심한 사람들의 사랑 이야기다. 영화화하려고 시도해보았지만 비상업적 냄새가 많이 나서 그런지 잘 안 되었다. 이번에 ‘여자, 정혜’ 제작사인 LJ필름이 CJ와 해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예산을 많이 들이지 않는 선에서 만들어보자고 했다.”



    -‘러브 토크’는 언제 크랭크인하는가?

    “서두르고 있다. 여름에 촬영할 계획이다. ‘여자, 정혜’를 찍고 나서 감성이 피폐해졌는데 또 힘들어질 것 같다. 속된 말로 대중적 인기 같은 것은 포기하고 시작하는 영화다. 대중성이 약한 영화를 또 해야 하나, 갈등도 많이 했다. 한 신만 빼고 모두 해외에서 찍는다.”

    “관객 수에 관심 보이면 다음 영화 만들기 힘들어요”

    -그렇다면 영어를 잘하는 배우를 캐스팅해야 되는가?

    “한 사람만 잘하면 된다. 빅 스타를 동원하는 규모는 아니다.”

    “대중성 좇아야 하나 … 갈등 많이 했죠”

    매일 똑같은 패스트푸드, 똑같은 일, 똑같은 슬픔으로 살아가는 여자, 정혜.

    -‘여자, 정혜’는 우애령 씨의 단편을 이 감독이 직접 각색한 것이지만, 자신의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영화로 만들 때는 느낌이 조금 다르지 않겠는가?

    “‘러브 토크’의 주인공 세 사람은 예전에 외국생활을 할 때 주의 깊게 살폈던 주변 사람들에게서 캐릭터를 빌려왔다. 내가 만난 사람들 중에서도 가장 연민이 가는 캐릭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만들었다. 그런 의미에서 그 캐릭터들은 나에게 생생하고 많은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영화를 보면, 이게 현실적인 이야기인가 하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사실 지금까지 영화에서 잘 이야기되지 않은 부류의 사람들이다. 사랑 이야기지만 드라마틱하지는 않다. 겉으로 드러나는 특별한 이야기도 없다. 그러나 깊은 상처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그런 사람들을 내가 개인적으로 유심히 관찰하는 것 같다. 그 안에 내 개인적인 경험도 있을지 모른다. 촬영도 오래 걸릴 것 같지는 않다.”

    -LJ필름과 계속 작업할 생각인가?

    “영화의 앞날은 예측할 수 없다. 이승재 대표와는 오래전부터 만나왔다. 내 영화가 계속 좋은 반응을 얻어야 같이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을 것이다.”

    -‘여자, 정혜’는 관객이 얼마나 들었나?

    “(옆에 있던 LJ필름 직원이 3만5000명 들었다고 대답한다.) 나도 지금 알았다.”

    -그 정도면 괜찮은 성적 아닌가? 김기덕 감독의 데뷔작 ‘악어’는 1만명도 안 들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내 영화는 관객들이 많이 볼 영화는 아니라고 생각해서 가능하면 그 부분에 관심 갖지 않으려고 한다. 태생이 그런데, 관객 수에 관심을 보이면 다음 영화 만드는 데 힘들어진다. 원작자에게 인정을 받았고, 전부라고는 할 수 없지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 영화에 공감했다고 판단돼 더 바랄 게 없다. 정혜를 보고, 사람들이 울지는 않아도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는 인물이었으면 좋겠다고 스태프들과 이야기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꾸 생각나는 인물을 만들려고 노력했다. 나 스스로는 내 작품이 어설프게 생각된다. 자기 작품이니 애정은 가지만, 어쩐지 사생아 같고 이야기를 하다 만 것 같다. 좀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게 정혜를 더 디테일하게 알려줬어야 했다. 그랬다면 완성도에서도 좀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주어진 조건 아래서 최선을 다했다.”

    -앞으로 대중적인 영화도 찍을 생각이 있나?

    “어떤 것이 대중적인지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이 정도면 대중들과 소통되지 않을까 하는 소재들도 요즘 방식으로 풀어내지 못하면 대중영화가 될 수 없다. 물론 대중과 소통하지 않겠다는 것은 아니다. 소재를 표현하기 위해서 노력은 하지만, 소통되지 않는 어떤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면 기분이 좋지는 않다. 대중적인 영화, 하고 싶다. 그러나 그게 뭔지는 모른다.”

    -‘여자, 정혜’가 대단한 관심을 모으긴 했지만, 정혜의 내면에 잠복한 상처가 관습적이고 진부하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가?

    ‘정혜’라는 소설이 마음에 들었던 것은, 이상하게 작가가 정혜라는 캐릭터에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작가가 객관적 관점으로 바라본 게 아니라, 이 여자를 위로해야겠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영화로 만들었을 때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영화에 묘사된 정혜의 에피소드들은 대부분 원작에 있는 것들이다. 이 사람 어디 가서 다치기만 하며 살겠구나, 그런 느낌이 드는 사람들이 있다. 아파도 보살펴줄 이 하나 없을 것 같은 사람들. 그러나 막상 그 사람은 나는 괜찮아, 라는 표정이다. 내가 봐온 주변 사람들의 아픈 표정들, 연민들, 주변에서 흔히 보는 거라서 아무도 신경을 안 쓰는 부분들도 영화로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사소한 이야기들이 꼭 영화로 표현돼야 하느냐는 의문도 들 수 있겠지만, 나는 이 작품이 완성될 거라고 자신하지 못했다. 영화를 찍을 때는 일단 완성이라도 해보자고 생각했다. 원작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내 생각을 덧붙인다면 충분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다. 그것은 소설을 영화화하는 사람들의 의무일 것이다. 다행히 작가가 영화에 대해 만족해했다.”

    -영화화에 대한 우애령 씨의 반응은 어땠는가?

    “소설을 영화화하겠다고 했을 때, 그분은 나를 보더니, 하세요, 마음대로 바꿔도 좋아요, 이렇게 말했다. 원작료도 받지 않았다. 정혜라는 여자에게 관심을 갖는 사람이라면 돈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프로듀서가 여러 번 찾아가서 돈을 드리려고 했지만 절대 받지 않았다. 어제도 통화를 했는데, 영화를 다섯 번 보았고 볼수록 마음에 든다, 더 바랄 것이 없다고 말했다. 그분은 지금도 여성들의 심리를 치료해주는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정혜는 많은 여성들을 관찰하면서 생성된 캐릭터다.”

    “대중성 좇아야 하나 … 갈등 많이 했죠”

    ‘여자, 정혜’는 배우 김지수의 영화 데뷔작이기도 하다.

    경영학과 출신으로 서른 넘어서 영화계 입문

    -저예산 영화라서 촬영현장이 힘들었을 것 같다.

    “주목받는 영화로 출발한 것이 아니어서, 환영받지 못할 것 같은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나를 이해하는 스태프들이 없었으면 더 힘들었을 것이다. 제작 사정으로 뿔뿔이 흩어졌다가, 영화진흥위원회의 사전제작 지원이 결정된 뒤 원래 스태프들이 다시 모였다. 제작사가 LJ로 결정된 뒤 비로소 캐스팅 작업이 시작되었다.”

    -영화를 만들 때와 개봉한 뒤, 어떤 차이가 있나?

    “영화를 만들기 전에는, 불특정 다수에게 무엇인가를 이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영화라는 매체 자체가 강력하다. 사람들을 2시간 동안 극장 안에 몰아넣고, 내가 이야기하는 것을 일방적으로 보여준다는 행위는 매우 강력한 것이다. 내가 가해자가 된 느낌도 든다. 그 안에서는 독재적이다. 그런 마력 때문에 연출에 매달린다. 다른 시나리오도 있었지만, 정혜를 먼저 영화화할지는 생각지 못했다. 심적으로 갈등했다. 영화 제작과정에 많은 사람들이 얽혀 있다는 것도 부담이었다. 내가 통솔력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지금, 영화를 끝내고 나쁘지 않은 결과가 나오자 두 가지 극단적인 생각이 엇갈린다. 하나는 안도감이다. 영화를 만드는 일이 어느 정도는 가능하구나 하는. 그리고 또 하나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이 확연해졌다. 영화를 상업적 시스템으로 바라보는 상황 속에서 과연 내가 얼마나 영화를 찍을 수 있을 것인가. 나의 생각을 완전히 지지해주는 투자자나 제작자가 없다면 불안한 문제다. 두 번째 이후의 내 작품이 계속 만들어질 수 있을지, 스스로 두렵다. 그렇다고 내가 상업 영화를 찍을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도 아니다. 여전히 많은 갈등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내 색깔은 분명히 가져가는 영화를 하고 싶다.”

    -데뷔작이 이 정도 성공을 거두었으면 조금 기뻐해도 되는 것 아닌가.

    “현재 상황은 굉장히 행복하다. 그러나 나 스스로 어려운 상황, 외로운 작업에 대해 자꾸 생각하는 것 같다. 어떤 어려움과 고독한 상황을 스스로 만든다. 해외 영화제에서도 사람들이 왜 얼굴이 어둡냐고 묻는다. 그러나 상을 받아도 마냥 좋아할 수가 없다. 아직 내 영화가 해외에서 얼마나 시장성을 가졌는지 판단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외에서 생각보다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어떻게 영화를 시작하게 되었는가?

    “난 1965년생, 우리 나이로 마흔이 넘었다. 원래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영화를 하겠다고 생각한 것은 서른 넘어서였다. 그전에는 성격에 맞지 않는 일을 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회사에도 다니고 돈도 좀 벌어볼까 해서 사업도 구상하고. 그러나 끈기도 없고 게을러서 하다가 쉽게 그만두었다. 노는 시간들이 많아지다 보니 어렸을 때부터 좋아하던 영화와 가까워지게 됐다. 영화 하는 사람들과 친분이 많아서 어깨 너머로 배웠다. 95년도에 ‘필름인’이라는 영화 모임에 들어가서 단편영화 작업하는 거 도와주고 내 작품도 만들었다. 습작이나 다름없는 형편없는 작품이 서울단편영화제에 나가게 되었다.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시나리오도 쓰고 영화공부도 했다. 그때 쓴 시나리오로 상도 타자, 영화가 내가 할 수 있는 분야라고 착각하기 시작했다. 김인식 감독이나 육상효 감독의 연출부에도 들어갔지만, 모두 중간에 엎어졌다. 그래서 결국 내 작품을 내가 연출하는 단계에까지 오게 되었다.”

    “대중성 좇아야 하나 … 갈등 많이 했죠”

    ‘여자, 정혜’ 촬영현장에서 이윤기 감독(왼쪽)과 배우 김지수.

    일반적인 질문 순서와는 반대로 이루어진 이 감독과의 인터뷰가 끝난 뒤, 나는 더욱 그의 다음 작품이 기다려졌다. 자신의 내면을 깊이 응시하고 그 사색의 결과를 영화에 반영한다는 것은, 영화라는 매체를 상업적 시스템에서 멀어지게 할지 몰라도 그것을 통해 삶의 본질에 다가가려는 노력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태도이기 때문이다.



    댓글 0
    닫기